[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글로벌 차원에서 재활용 소재를 직원 유니폼 원단 등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오는 2050년 넷제로(Net Zero·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순환 경제 실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 남미 프랜차이즈업체 아르코 도라도스(Arcos Dorados)는 이스라엘 자원순환 전문기업 UBQ머티리얼즈(UBQ Materials)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UBQ머티리얼즈는 재활용이 어렵다고 인식되는 폐기물을 원료로 플라스틱을 대체할 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를 생산하는 업체다. 지난달 30일 브라질 상파울루에 UBQ머티리얼즈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매장을 오픈했다. UBQ머티리얼즈의 친환경 소재가 △키오스크 △전기 도관(전선 보호용 튜브) △목재 보드 △전선 배선용 배관박스 등의 제작에 쓰였다. 향후 다른 매장으로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양사는 앞서 지난 2021년 브라질과 캐러비안 지역 매장에 환경친화적 소재로 만든 쟁반을 도입한 바 있다. 아르코 도라도스는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UBQ머티리얼즈 친환경 소재 1kg 사용 시 △매립 또는 소각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치킨이 말레이시아에서 국경일 기념 이벤트를 열고 현지 입맛 잡기에 나섰다. 한국 인기 길거리 음식인 '소떡소떡'(소시지와 떡을 번갈아 꽂은 꼬치)를 선봬 고객 접점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30일 교촌치킨에 따르면 최근 소떡소떡 증정 이벤트를 진행했다. 행사 기간 70링깃(약 2만200원)이상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소떡소떡 샘플러를 증정했다. 교촌치킨은 말레이시아에서 무슬림이 높은 인구 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소떡소떡을 할랄 제품으로 준비했다. 이번 이벤트는 지난달 31일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 '메르데카 데이'(Merdeka Day)를 맞아 국경일 프로모션을 확대 진행한 것이다. 앞서 교촌치킨은 무료 치킨 증정 이벤트를 열었다. 교촌치킨은 젊은 층 소비자를 유입하기 위해 행사 수주 전부터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벤트 소식을 알렸다. 소떡소떡은 현지에서 '맛있고 재밌다'는 입소문을 타고 흥행에 성공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소떡소떡은 한국 인기 길거리 음식인 만큼 주목도가 높았다는 전언이다. 한류 영향력에 K-푸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점도 교촌치킨의 사업 확대 기회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교촌치
[더구루=김형수 기자] 과거 중화권에서 치맥 열풍을 불러일으켰던 K-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이하 별 그대)'가 브라질에서 방영된다. '별 그대'가 한식 세계화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하는 브라질에서도 'K-푸드' 열풍의 '디딤돌'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미디어그룹 WBD는 28일(현지시간)은 '별 그대'를 HBO맥스를 통해 브라질에서 상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별 그대'는 400년전 지구에 도착한 외계인 도민준(김수현 분)과 톱스타 천송이(전지현 분)가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로맨틱 코미디다. 국내에선 지난 2013년 12월부터 지난 2014년 2월까지 SBS에서 방송됐다. 최고시청률 28.1%를 기록한 히트작이다. 당시 '별 그대'는 중국 등 중화권 시청자들의 눈과 귀도 사로잡았다. 중국 내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으로 30억뷰를 달성했다. 무엇보다 별 그대 인기는 극중에 등장한 치맥(치킨+맥주), 라면 등 K-푸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별 그대' 방영 이후 중국 내 한국식 치킨 매장 매출은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지 최대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 내 한국 라면 매출은 방송 이전에 비해 60%
[더구루=한아름 기자] 피자헛이 싱가포르에서 부대찌개를 콘셉트로 한 '한국식 피자'를 선보여 주목받고 있다. K-푸드 인기를 실감케 한다. 피자헛은 싱가포르에 K-푸드 컬렉션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오는 11월 9일까지 K-푸드 컬렉션을 한정 판매한다. 피자헛은 △부대찌개 피자 △김치 치즈 페퍼로니 빵 △김치 치즈 하와이안 떡볶이 등 다양한 메뉴를 준비했다. 부대찌개 피자는 '한국인 입맛에 가장 익숙하다'라는 콘셉트로 피자와 부대찌개의 맛을 담은 한국식 피자다. 두 가지 음식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부대찌개 피자에는 토마토소스 베이스와 함께 △햄 △라면 △떡 △김치 등이 토핑으로 들어갔다. 김치 치즈 하와이안 떡볶이는 김치 치즈 소스에 버무린 떡에 상큼한 파인애플 큐브를 더했다. 맵달(맵고 단)한 복합적인 맛이 특징이다. 여러 가지 맛을 한 번에 즐기고 싶은 소비자 입맛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자헛은 현지인들이 K-드라마·팝뿐 아니라 뷰티·음식·패션 등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한류로 형성된 문화적 친밀감을 바탕으로 싱가포르에서 실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굿즈 마케팅도 펼친다. 부대찌개 피자를 콘셉트로 한 베개·담요 세트를 판매
[더구루=한아름 기자] BBQ가 미국에서 확산일로다. 미국 중남부 테네시주에 신규 매장 오픈으로 50개주 중 절반이 넘는 26개주에 깃발을 꽂게 됐다. 지난 3년 동안 미국 매장 수가 400% 성장하며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BBQ 매장이 오는 27일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Clarksville)에 출점한다. BBQ 클락스빌 매장 인근에는 맥도날드와 스타벅스 등이 있어 지역 대표 먹자거리로 일컬어진다. 유동 인구가 많아 접객 효과가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매장은 △점심 △해피아워 △저녁 손님을 위한 서비스가 운영된다. 치킨뿐 아니라 김치볶음밥·떡볶이 등 K-푸드도 선보인다. 맥주와 무알코올 음료도 구비해 소비자 선택 폭을 넓혔다. 특히 한류에 관심이 많고 새로운 맛의 식품을 찾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겠단 계획이다. 매장 오픈 행사도 준비돼 있다. 27일에는 △허니 갈릭 치킨 △시크릿 소스 치킨 등 시식 이벤트를 연다. 내달 18일까지 추첨을 거쳐 5명에게 BBQ 치킨 기프트 박스를 증정한다. BBQ가 테네시주에 매장을 열면서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BBQ는 2006년 미국
[더구루=김형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베트남 대표 중추절 선물 품목으로 꼽히는 월병을 내세워 중추절(추석) 대목 공략에 나섰다. 25일 CJ푸드빌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베트남에서 월병 8종을 론칭했다. 뚜레쥬르가 선보인 월병은 △코코넛 밀크△그린빈&마카다미아 △블랙새서미(검은깨)&헤이즐넛 △로터스·아몬드&버즈네스트 △티라미수(Tiramisu) △홍콩 스캘롭스 △크랩 트래디셔널 믹스드 넛츠 △로스티드 페퍼 치킨 등이다. 가장 저렴한 코코넛밀크 월병은 18만동(약 9900원), 제일 비싼 로스티드 페퍼 치킨 월병은 22만동(약 1만2100원)에 달한다. 뚜레쥬르는 이색 월병을 내세워 차별화에 나섰다. 전통 월병 재료로 꼽히는 검은깨와 서양 요리에 널리 쓰이는 헤이즐넛을 접목한 블랙새서미&헤이즐넛이 대표적이다. 뚜레쥬르는 고품질 원료를 활용해 고유의 레시피로 생산해 영양가도 높다고 강조했다. 뚜레쥬르는 프로모션을 펼치며 월병 판매 촉진에 매진하고 있다. 월병 4개~6개를 한데 묶은 세트 상품 3종을 준비했다. 올해가 '토끼의 해'인 것에 발맞춰 토끼를 디자인에 활용한 상자에 월병을 담아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기업 등 대량 구입 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와튼스쿨' 출신 글로벌 대기업 임원이 파리바게뜨와 미국 가맹계약을 체결, 눈길을 끌고 있다. '비즈니스 전문가'가 파리바게뜨를 가맹 파트너로 선택, 파리바게뜨의 현지 프랜차이즈 사업 경쟁력이 입증됐다는 평가다. 25일 파리바게뜨 등에 따르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경영대학원과 글로벌 대기업 임원 출신인 안바르 툴랴그(Anvar Tulyag)와 가맹계약을 맺었다. 안바르 툴랴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Fresno) 신규 매장(290㎡)규모 점포를 오픈할 계획이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안바르 툴랴그 가맹점주가 기업 경영 분야에서 굵직한 경력을 보유한 인물이라는 것. 안바르 툴랴그 가맹점주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국립경제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뒤 미국 웨버인터내셔널 대학교(Webber International University)에서 회계 경영학석사(MBA)와 와튼스쿨에서 최고재무책임자(CFO)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글로벌 식음료 기술 솔루션기업 JBT 코퍼레이션(JBT Corporation) 북미 파이낸셜 디렉터 △세계 최대규모 관개 시스템 공급업체 네타핌(Netafim) 미국 자회사 CFO 등을 역임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더구루=한아름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에서 '커피의 날'(Coffee day) 기념행사를 열고 K-커피 알리기에 나선다. 커피 무료 증정 이벤트를 진행, 고객 접점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파리바게뜨는 내달 1일 커피의 날을 맞아 이달 29일부터 이틀간 커피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음료 제품력을 알리고 브랜드 노출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다. 파리바게뜨는 젊은 층 소비자를 유입하기 위해 행사 일주일 전부터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벤트 소식을 전달했다. 행사 기간 리워드 회원을 대상으로 제품 구매 시 커피 1잔을 무료 증정한다. 이탈리아 최대 커피 회사 라바짜 원두와 한국식 커피 제조 서비스를 결합해 풍미를 더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이벤트로 현지에서 커피 마니아를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커피를 일종의 미끼 상품으로 내걸어 다른 제품의 판매를 독려한다는 취지로 읽힌다. 한류 영향력에 K-푸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점도 파리바게뜨의 사업 확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파리바게뜨 미국법인 관계자는 "이번 이벤트를 시작으로 젊은 층 소비자들과 소통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브랜드력·매출 증진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파리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신규 매장을 오픈했다. 아세안 거점인 싱가포르 사업 확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최근 창이공항 제4터미널에 매장을 오픈했다. 이번 출점에 따라 파리바게뜨가 창이공항에서 운영하는 매장은 3곳으로 늘어났다. 파리바게뜨는 △창이공항 제3터미널 △창이공항 내 복합쇼핑몰 주얼창이공항 등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파리바게뜨 제4터미널점은 휴일 없이 1년 365일, 24시간 영업한다. 파리바게뜨는 나무 소재를 활용한 인테리어로 편안한 매장 분위기를 연출했다. 소비자들이 빵과 커피를 즐기며 쉬어갈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브런치와 패스트리 등 다양한 베이커리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또 공항 특성에 맞춰 '그랩&고(Grab&Go)' 코너를 조성했다. 공항 이용객들이 샌드위치 등 식사용 메뉴와 주스 등을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싱가포르 관문인 창이공항에 추가 출점해 파리바게뜨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코로나19 앤데믹으로 창이공항 이용객은 수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이용객은 515만명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5.1% 증가한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너시스BBQ그룹이 일본 시장에 사이드 메뉴 라인업 확대에 나섰다. 추석 달맞이 프로모션을 선봬 현지 소비자 접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BBQ는 일본 최대 외식기업 와타미와 파트너십을 맺고 시장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BBQ는 오는 21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일본에 '치즈볼과 함께 달맞이' 프로모션을 선보인다. 치즈볼이 마치 보름달을 연상시킨다며 달맞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을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치즈볼이 한국 인기 간식이라는 점을 강조해 K-푸드에 관심이 많은 현지인들의 입맛을 잡겠다는 계획이다. 가격을 낮췄다. BBQ는 △치즈볼 3개입(390엔→300엔) △치즈볼 6개입+포테이토 세트(1100엔→900엔) △치즈볼 12개입(1400엔→1200엔) 등 최대 23% 할인 판매한다. 이번 달맞이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앞서 달맞이를 기념하기 위해 한정 출시한 '토로리 츠키미 치킨버거'(Torori Tsukimi Chicken Burger)도 현지인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는 설명이다. <본보 2023년 9월 11일 BBQ, 일본서 '올리브치킨카페' 확 키운다…영토확장 속도 참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롯데리아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롯데리아를 인수한 기업이 브랜드명을 '제테리아'로 변경한 데 따른 것이다. 매각된 지 반년 만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롯데리아는 도쿄 미나토구에 위치한 롯데리아 타마치시바우라(田町芝浦)점을 오는 20일 '제테리아' 매장으로 리뉴얼 오픈할 예정이다. 제테리아는 메인 메뉴명 '제핀(絶品·우수한) 버거'와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음식점이라는 의미를 지닌 '카페테리아'를 조합한 이름이다. 소비자들에게 캐주얼하면서도 즐거운 식사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고급 버거와 공정 무역 커피 등의 메뉴를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월 일본 롯데리아를 인수한 젠쇼의 이번 브랜드명 교체는 '젠쇼' 브랜드와의 시너지 강화 차원으로 분석된다. 젠쇼는 △'부담없는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 콘셉트를 내세운 야키니쿠 레스토랑 다카시마 △공정 무역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카페 모리바커피 등 21개의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젠쇼에 매각되기 이전 일본 롯데리아 사업이 부진의 늪에 빠졌던 만큼 역량 제고는 필수 과제로 꼽혔다. 일본 롯데리아는 맥도날드, 모스버거, KFC 등과의 경쟁에서 밀
[더구루=한아름 기자] 본촌치킨이 글로벌 외식 전문가를 영입해 진용을 새롭게 갖췄다. 지난 5월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선임한 지 4개월 만에 최고성장책임자(CGO)를 새롭게 발탁하면서 미국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본촌치킨은 18일 미국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전략을 총괄하는 CGO 직책에 수지 채(Suzie Tsai)를 영입했다. 마케팅 및 성장 전략 수립 전반에서 넓은 이해도와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적임자를 내세워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을 끌어가겠단 계획이다. 마케팅통으로 통하는 채 CGO는 1995년 운수회사 그레이하운드(Greyhound)를 시작으로 키자니아와 레스토랑 체인점 운영기업 브링커인터내셔널, 온더보더 멕시칸 그릴 앤 칸티나 등에서 마케팅을 담당했다. 신규 비즈니스 시장을 개척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데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는 평가다. 본촌치킨은 본촌치킨은 200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식 치킨 프랜차이즈다. 2018년 사모펀드 운용사 VIG파트너스가 인수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미국 21개주에서 12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프랑스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등까지 포함하면 총 400
[더구루=오소영 기자] 슬로바키아 배터리 스타트업 '이노밧 오토(Inobat Auto, 이하 이노밧)'가 세르비아 재무부·지방 정부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6000억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받아 배터리 생산 기지와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건설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이노밧에 따르면 회사는 세르비아 재무부·쿠프리야 지방 정부와 배터리 생산·재활용 시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노밧은 쿠프리야에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셀 제조부터 폐배터리 재활용까지 아우르는 배터리 생태계를 조성한다. 투자 대가로 세르비아 정부로부터 4억1900만 유로(약 6000억원)의 인센티브 패키지를 받는다. 마리안 보첵 이노밧 최고경영자(CEO)는 "쿠프리야에 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환대와 열정이 가득한 지역 커뮤니티, 적극적인 지방 정부 때문"이라며 "스마트 그리드를 도입하고 재생에너지원에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도 보유했다"고 강조했다. 이노밧은 작년 1월 국제금융센터(IFC)와 공동개발계약(JDA)을 맺었다. 이어 11월 세르비아 정부와도 의향서를 맺었다. <본보 2022년 11월 17일 참고 이노밧, 세르비아에 배터리 공장 추진>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르헨티나가 셰일 유전 채굴을 시작했다. 역대 아르헨티나에서 진행된 셰일 오일 개발 프로젝트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국영 에너지 기업 YPF(Yasimientos Petroleo Fiscales S.A.)는 민간 에너지 기업 CGC(Compañía General de Combustibles S.A.)와 공동 개발한 팔레르모 아이크 지역 유전의 원유 채굴 설비 가동을 시작했다. 이 유전은 전통적인 원유 채굴 방식이 아닌 셰일 오일 채굴 유전 방식이다. YPF는 현재까지 아르헨티나에서 진행된 모든 셰일 오일 개발 프로젝트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팔레르모 아이크는 아르헨티나 남부 판타고니아(Pantagonia) 지역에 위치한 유전이다. 총면적은 약 1만2600㎢(제곱킬로미터)에 이르며 약 100억 배럴 상당의 원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발 중인 셰일 유전 바카 무에르타(Vaca Muerta) 매장량의 3분의1에 해당하는 규모다. YPF는 팔레르모 아이크 지형이 바카 무에르타와 유사한 만큼 바카 무에르타에서 쌓은 노하우를 이용해 팔레르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