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신규 조선소 건설을 검토한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연합(EU)의 제재로 선박 부품 조달이 힘들고 수리 비용 부담이 커져 새 조선소 건설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코틀린섬에서 4000억 루블(약 5조9000억원) 규모의 조선소를 건설할 전망이다. 안드레이 코스틴(Andrei Kostin) 러시아 국영은행 VTB의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11월 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의에서 선박 갱신에 대한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국내 조선소 2곳을 더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 어딘가에 조선소 배치해야 한다"며 "결정된 장소가 바로 코틀린 섬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연합(EU)의 제재, 선박 부품의 해외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 기술 및 투자부족으로 인해 조선소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아시아와 터키의 선박 수리소가 가격을 인상하면서 러시아 선주들이 해외에서 선박 수리를 하는게 부담이다. 조선 시장의 최대 80%를 점유하고 있는 USC(United Shipbuilding Corp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수십억 달러 규모를 투자하는 불하니네(Bul Hanine) 해상 유전 개발을 본격화한다. 올 상반기에 공식 입찰 프로세스에 착수해 계약자를 선정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는 전략적 석유 기반 개발 투자에 따라 불하니네 해상 유전 개발을 위한 사전자격심사를 마무리한다. 작년 10월부터 심사에 들어간 카타르에너지는 불하니네 해상 유전의 추가 개발을 위한 계약자를 선정하기 위해 입찰 문서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 카타르에너지는 "우리는 후보 업체들에게 앞으로 몇 달 안에 입찰 서류가 발행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카타르에너지는 불하니네 유전 확장을 위한 최소 3개의 대규모 패키지에 대한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및 설치(EPCI) 작업을 수행한다. 불하니네 EPCI 패키지 참여 업체로는 △한국 삼성중공업 △인도 라센 앤 투브로(Larsen&Toubro, L&T) △이탈리아 사이펨 △ 중국해양석유엔지니어링 △미국 맥더멋 △싱가포르 시트리움 △스위스 올시즈(Allseas) 등이 거론됐다. <본보 2023년 10월 11일 참고 '최소 10조원↑' 카타르 불하니네 해상유전 사전자격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의 국영 에너지 기업인 카타르에너지가 중국 후동중화조선에 8척의 초대형 Q클래스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의 건조 일감을 맡겼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후동중화와 27만1000㎥의 Q-max급 LNG 운반선 8척을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신조선은 2028년과 2029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후동중화는 Q-Max 선형에 대한 개념인증으로, 카타르 LNG선 수주전에서 더 많은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후동중화조선은 지난해 글로벌 선급으로부터 Q-Max LNG선에 대한 개념인증(AIP)을 획득했다. 후동중화가 개발한 선형은 길이 344m, 폭 53.6m, 흘수 12m이다. 기존 26만5000㎥ Q-Max 보다 많은 27만1000㎥의 LNG를 운송할 수 있다. 화물창은 한화오션과 같은 멤브레인 NO96 Super+가 적용된다. 후동중화는 오는 2028년부터 매년 12척의 Q-Max를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카타르는 지난해부터 17만4000㎥급 LNG운반선 40척에 초대형 Q클래스 발주를 계획했다. <본보 2023년 9월 21일 참고 카타르발 2차 수주전 막 올랐다…초대형 LNG선 15척 발주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수주한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VLAC)의 발주처가 튀르키예 선가 파스코가스(PascoGas)로 확인됐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파스코가스는 지난 5일 HD한국조선해양에 8만8000입방미터(㎥)급 VLAC 2척을 발주했다. 계약 금액은 총 3173억원.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7년 3월 말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선박은 구 파나마 운하(Old Panama)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규모 선형으로, LPG 이중연료 추진엔진이 탑재된다. 파스코가스는 청정 연료 사용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현대미포조선에도 가스선을 주문했다. 2021년에 4만 입방미터(㎥)급 중형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에 2척을 주문했다. <본보 2021년 4월 2일 참고 현대미포조선, '530억원' LPG선 1척 수주> 당시 계약 조건에는 확정물량 1척에 옵션물량 1척이 포함됐다. 이어 2022년 7월에 옵션 발효로 동급 선박 1척을 발주했다. <본보 2022년 7월 9일 참고 터키 선사 파스코가스, 중형 LPG선 현대미포에 발주> 이 지난해 9월에도 현대미포에 4만㎥급의 LPG운반선 1척을 주문했다. 파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의 자율운항 전문회사 아비커스가 '보트계의 테슬라'로 불리는 트윈비 파워캣츠(TWIN VEE POWERCATS)와 손을 잡았다. 양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율운항 스포츠 보트를 출시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아비커스는 트윈비 파워캣츠 자회사인 아쿠아스포츠보트와 세계 최초의 자율운항 레저 장비를 갖춘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보트 회사를 설립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올 여름 첫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보트 라인을 선보이고, 하반기에 추가 모델을 출시한다. 보트는 트윈비의 자회사인 전기 보트 제조업체 포르자 X1(Forza X1) 브랜드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아비커스와 아쿠아스포츠보트는 AI, 센서 융합 및 기계 학습의 힘을 활용해 신규 보트 사용자와 숙련된 보트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수준의 안전, 편의성 및 자신감을 제공함으로써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보트 시장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아비커스는 레저보트 자율주행 솔루션(NeuBoa't, 누보트) 기술을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보트에 도입한다. 누보트 기술은 360도 상황 인식, 3D 클러스터 뷰, 고급 경로 계획, 물체를 식별하고 잠재적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스마트 오토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가 건조 선박에 디지털 터보차저 솔루션을 적용한다. 선박용 터보차저(엔진 보조장치)를 디지털 플랫폼에 통합해 연료 비용 절감과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를 최적화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마린솔루션(옛 HD현대글로벌서비스)은 최근 액셀러론(Accelleron)과 계약을 맺고 HD한국조선해양이 건조하거나 서비스하는 선박에 디지털 터보차저 최적화 솔루션을 간소화한다. 이번 계약으로 액셀러론의 터보 인사이트 성능 분석 플랫폼이 HD현대마린솔루션의 통합스마트십시스템(ISS)에 통합되며, 추가 디지털 솔루션도 필요에 따라 ISS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터보차저 사용자가 HD한국조선해양이 건조하거나 HD현대마린솔루션이 서비스하는 선박에 디지털 최적화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단순화한다. 터보차저를 통해 선단 전체의 성능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을 모니터링하고 지원할 수 있게 된다. HD현대마린솔루션 관계자는 "HD현대마린솔루션의 ISS는 인사이트를 통해 고객에게 부가가치를 제공하며, 액셀러론의 새로운 계약과 확장된 협력을 통해 앞으로 더욱 철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이 디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가 중국 차세대 전기차 부품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휠 제조사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신제품을 출시하는 한편 현지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증설 투자를 단행하는 등 고성장이 예상되는 중국 모빌리티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10일 산동 젠위안 오토모티브 휠(Shandong Zhenyuan Automotive Wheel, 중국명 山东贞元汽车车轮)에 따르면 회사는 포스코의 자동차용 강판을 활용해 만든 28kg급 초경량 대형 트럭 휠 '사이클론 3.0'에 이어 포스코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신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포스코는 이 회사에 경량 휠용 특수강 소재를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첫 공개된 사이클론 3.0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형 트럭용 바퀴 중 가장 적은 무게를 자랑한다.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바퀴'라는 게 젠위안 오토모티브 휠의 설명이다. 강철을 사용해 내구성과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높지만 알루미늄 휠보다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동일 모델의 표준 휠보다 18kg 더 가볍다. 알루미늄 바퀴보다 6배, 일반 강철 기반 바퀴보다 3배 더 높은 강도를 갖췄다. 가격도 알루미늄 휠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삼호중공업이 카타르 국영선사 나킬라트(Nakilat)로부터 가스운반선 6척을 수주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은 전날 나킬라트와 17만4000㎥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 8만8000CBM LPG/암모니아 운반선 4척의 건조 계약을 맺었다. 총 6척의 계약 규모는 10억 달러(약 1조3200억원)이다. 신조선은 2026년부터 2027년 사이에 인도된다. 선박은 환경 친화적이고 효율적인 추진 시스템을 탑재해 연료 절약과 탄소 감축에 기여한다. 박승용 HD현대중공업 사장은 "나킬라트 수주를 통해 양사 간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가스 부문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더 긴밀한 비즈니스 관계를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킬라트는 현대삼호중공업의 신조선 주문으로 LNG 운반선 선단을 71척으로 늘리고 LPG 운반선은 8척으로 증가된다. 압둘라 알 술라이티 나킬라트 최고경영자(CEO)는 "첨단 선박에 대한 투자는 가스 운송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고, 탁월한 서비스와 환경 관리를 제공하려는 나킬라트의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나킬라트는 대규모 선박 인수를 통해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캐나다 시더 LNG 프로젝트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FLNG)의 설비를 수주하면서 FLNG의 명가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 삼성중공업은 시더 LNG의 기본설계(FEED)에 이어 EPC(설계·조달·시공)까지 맡으면서 FLNG의 경쟁력을 재확인했다. 9일 시더 LNG에 따르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캐나다 석유·천연가스 업체인 펨비나 파이프라인(Pembina Pipeline)과 하이슬라 네이션(Haisla Nation)은 삼성중공업과 미국 엔지니어 블랙앤비치(Black & Veatch)와 캐나다 시더 LNG 프로젝트의 FLNG 1기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FLNG 선체와 상부 플랜트(Topside) EPC 공정 등을 수행할 예정한다. FLNG EPC는 빠르면 오는 2분기에 시작될 수 있으며 FLNG 인도는 오는 2028년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시더 LNG 프로젝트의 최종투자결정(FID)에 따라 FLNG EPC 수행자로 낙찰됐다. <본보 2023년 8월 7일 참고 캐나다 시더 FLNG 최종투자결정 '임박'…삼성중공업 연말 '잭팟' 예고> 더그 아넬(Doug Arnell)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수주한 우드사이드에너지의 멕시코 트리온(Trion)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의 상부시설 엔지니어링을 영국 엔지니어링기업 우드(Wood)가 맡는다. 우드는 지난 10년 동안 멕시코만의 상부 시설 중 50% 이상을 설계한 이력으로 최고의 엔지니어링 작업을 수행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영국 우드와 트리온 FPU의 상부설비 상세 엔지니어링을 계약했다. 우드는 향후 3년 동안 FPU 프로젝트를 위한 상세한 상부 설계 작업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우드의 트리온 사전설계(pre-FEED)와 기본설계(FEED)의 후속 계약이다. 존 데이 우드의 석유·가스·전력 부문 사장는 "트리온의 상부 엔지니어링 공급업체로 선정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우드는 사전설계와 기본설계 작업의 혁신적인 설계 프로세스를 통해 트리온의 세부 엔지니어링 범위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드는 우드사이드와 20년 동안 함께 일해 온 검증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며 "트리온을 위한 솔루션을 설계하고 제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성을 개선하고 배기가스를 줄이며 고객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세에 따라 암모니아 운반선이 효자 선종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분류되는 만큼 수요가 늘수록 수익성이 극대화되고 실적 상승을 이끈다. 다만 암모니아 운반선 주문량은 늘어나는데 비해 선박을 채울 암모니아 생산량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LNG 운반선을 뛰어넘는 차세대 친환경 선박이라 건조 기술의 고도화와 공정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 빅3는 지난 두 달간 7만㎥ 이상의 암모니아로 장거리 운송할 수 있는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VLAC)을 옵션 물량을 포함해 최대 16척에 대한 예비 주문을 받았다.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말 3108억원에 VLAC 2척을 수주했다. 신조선은 오는 2027년 6월까지 선주사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현대삼호중공업은 지난달 초 머스크 탱커스로부터 2026년 인도를 위해 9만3000㎥ 용량의 VLAC 4척에 대한 확정 주문을 했다. 옵션이 포함돼 6척을 더 주문할 수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11월 그리스 나프토마로부터 9만3천㎥급의 VLAC 4척을 6562억원에 수주했다. HD한국조선해양이 지난해 수주한 물량을 포함하면 국내 조선소가 수주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의 2차 LNG 프로젝트가 새해에 본격화된다. 지난해 10월 HD현대중공업과 17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하면서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과도 연내 계약을 예상했지만 해를 넘겨 계약이 성사될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는 올해 2차 발주 물량으로 17만4000㎥급 LNG운반선 40척을 발주한다. 카타르에너지는 지난해 17척의 건조 계약을 맺은 HD현대중공업을 제외하고 남은 물량을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과 계약한다. 카타르에너지는 삼성중공업에 최소 6척에서 최대 11척을 주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중공업이 확보한 슬롯은 16척이나 카타르에너지의 2차 발주분에서 한화오션에 예약된 12척을 제외하면 10여척을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본보 2023년 11월 1일 참고 [단독] 삼성중공업, '1조8000억원' 규모 카타르 2차 프로젝트 6척 수주 임박> 앞서 HD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0월 카타르에너지와 LNG선 17척에 대한 수주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금액은 5조2511억원이다. 카타르 정부는 현재 연간 7700만톤(t) 수준인 LNG 생산량을 2025년까지 1억1000만t으로 늘리고, 추가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지씨셀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이하 아티바)가 온라인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 투자 유치 기회를 모색한다. 루푸스 신염 치료제 후보물질 '알로NK'(AlloNK) 기술력을 알리고 개별 상담 활동을 통해 투자자들과 소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아티바는 오는 7일부터 나흘 동안 열리는 '제24회 연례 니드햄 버추얼 헬스케어 컨퍼런스'(24th Annual Needham Virtual Healthcare Conference·이하 니드햄 컨퍼런스)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니드햄 컨퍼런스는 온라인 컨퍼런스로 북미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 성과를 소개하는 자리다. 아티바는 니드햄 컨퍼런스를 통해 알로NK 개발 현황을 알리고 기업 투자유치 활동을 펼친다. 지난해 2월 알로NK와 리툭시맙 병용요법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패스트트랙 지정을 획득한 뒤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내 임상1상 시험 초기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알로NK는 제대혈 유래 NK세포 치료제다.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B-NHL) 환자의 B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항체 활성화를 통해 B세포 고갈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가 3월 개인용 데스크톱 중앙처리장치(CPU) 판매량에서 인텔을 압도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텔이 올해 추가로 CPU를 출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AMD의 우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아마존 CPU 리테일 보고서에 따르면 AMD CPU는 올해 3월 총 3만1600개가 판매됐다. 반면 인텔 CPU는 4분의 1 수준인 7500개가 판매되는데 그쳤다. 베스트셀링 톱10 리스트에는 인텔 제품이 2종만 포함됐다. 3월 미국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CPU는 AMD 라이젠 7 9800X3D로 6000장 가량 판매됐다. 그뒤를 △라이젠 5 5500 △라이젠 7 7800X3D △인텔 코어 i5-12400F △라이젠 5 5600X가 이었다. 인텔 i7-12700K는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매출 규모는 AMD가 780만 달러(약 112억원), 인텔이 150만 달러(약 21억5000만원)로 5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다. 판매대수 차이보다 격차가 벌어진 것. 매출 규모가 벌어진 이유는 인텔 CPU가 구형 모델인 12세대와 13세대를 중심으로 판매됐기 때문이다. 실제 인텔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