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의 모바일 배틀로얄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ATTLEGROUNDS MOBILE INDIA, 이하 BGMI)'가 이달 서비스를 재개한다. 크래프톤은 18일(현지시간) 인도 당국으로부터 차단 해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크래프톤은 빠른 시일 내에 인도 현지 앱 마켓에 재등록돼 정상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크래프톤은 2021년 7월 BGMI를 출시했다. 이후 출시 1년여 만에 누적 이용자 수 1억 명을 돌파하고 현지 앱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하며 인도의 국민 게임으로 자리매김했다. BGMI는 인도 역사상 최초로 TV를 통해 생중계된 e스포츠 종목으로 동시 시청자 수 2400만 명, 전체 시청자 수 2억 명을 기록하며 인도의 e스포츠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BGMI는 단순히 게임을 넘어 인도 내에서 소셜 커뮤니티의 역할도 수행하는 등 인도 모바일 생태계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던 지난해 7월 28일(현지시간) 인도 정부는 갑작스럽게 BGMI의 서비스를 중단시키기로 결정했다. 이에따라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등 양대 앱마켓에서 BGMI가 사라졌다. 인도 현지에서는 다양한 업계 관계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2023년 4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 순위에서는 3월에 이어 2위 자리를 수성했다. 엔씨소프트 '리니지M'은 구글플레이 매출 톱10 자리를 유지했다. 19일 글로벌 모바일 시장 조사기관 센서타워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4월 한 달동안 1억5400만 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전체 매출의 62.2%는 중국 iOS 마켓에서 발생했다. 그 뒤를 미국 9.4%, 사우디아라비아 3.3%를 기록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게임 스킨 한정 판매 등으로 4월 21일 하루에만 1000만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4월에는 글로벌 최고 매출 모바일 게임은 텐센트의 왕자영요였다. 왕자영요는 2억1300만 달러를 벌어드렸다. 3위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과 2위 싸움을 벌이고 있는 미호요의 원신이었다.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도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7위에 랭크됐다. 한편 2023년 4월 세계 모바일 게임 시장은 63억 달러 매출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2.9%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9.3%, 중국 iOS 부문이 19.1%, 일본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텐센트가 개발하고 있는 우주배경 오픈월드 샌드박스 모바일게임 '아워플래닛(Our Planet Mobile)'이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텐센트는 지난 15일(현지시간) 개최된 스파크 2023을 통해 아워플래닛의 비공개 베타 테스트 일정을 발표했다. 텐센트는 내달 15일부터 아워플래닛의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안드로이드, iOS 운영체제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를 원하는 유저는 이달 30일부터 참여 등록을 할 수 있으며 위챗 또는 QQ의 계정이 필요하다. 아워플래닛은 얼리언 엔진4를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월드 샌드박스형 게임으로 지난해 열린 2022 스파크를 통해 공개됐다. 유저들은 미지의 행성에서 모험을 펼치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나간다. 이 과정에서 유저는 다양한 생물군과 접촉하게되며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전투를 벌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구조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111퍼센트의 자회사 리치에일리언(Rich Alien)은 115억 규모의 시드 라운드 투자를 유치,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공동 리드 투자사인 스톤브릿지벤처스와 SV인베스트먼트를 포함해 베이스인베스트먼트, 스위 등 국내 유수 투자사가 참여했으며, 모회사인 111퍼센트가 20억 규모로 출자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리치에일리언은 인기 IP 기반의 고품질 미드코어 캐주얼 게임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투자를 기점으로 리치에일리언은 일본의 유명 만화인 ‘도박묵시룩 카이지’ IP를 기반으로 한 도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카이지: 격렬의 도시'를 올 하반기 일본을 시작으로 글로벌 론칭 할 계획이다. ‘도박묵시룩 카이지’는 전 세계적으로 3000만명 이상의 독자수를 보유하며 장기간 탄탄한 팬 층을 보유해 온 일본 인기 만화로, 애니메이션은 물론 일본과 중국에서 영화로도 제작될 만큼 오랜 시간 사랑을 받아온 만화다. 게임은 카이지 본편 3부 도박 파계록과 연결되는 오리지널 스토리로, 카이지의 “늪” 돌파로 삶에 희망을 갖게 된 플레이어가 지하 강제 노역 시설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정부에 의해 앱 마켓에서 삭제된 크래프톤의 모바일 배틀로얄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디아(BGMI)'가 조건부 차단이 해제될 것이라는 현지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지난해 7월 앱 마켓 접근이 차단된 BGMI가 10개월여 만에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인도 뉴스채널 CNN 뉴스18은 17일(현지시간) 익명의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해 "BGMI가 곧 임시허가를 받아 90일간 조건부로 차단이 해제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뉴스18에 관련 소식을 전한 고위관계자는 "전자정보통신부(MeitY)가 BGMI의 앱 마켓 접근 차단을 해제하라는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제 이유에 대해 "인도 관할 당국이 BGMI에 대한 분석과 재평가를 진행할 것"이라며 "부정적인 활동이 확인될 시 다시 금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 현지에서는 BGMI의 복귀 소식에 기대감을 표하면서도 MeitY의 공식 발표가 있기 전까지는 기다려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뉴스18은 BGMI가 조건부 차단 해제와 함께 연속 플레이 제한, 혈흔 표현 색상 변경 등의 업데이트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인도 정부는 지난해 7월
[더구루=홍성일 기자] 펄어비스가 검은사막을 활용한 이색 콜라보를 연이어 진행하고 있다. 펄어비스는 해외 유저를 대상으로 한 콜라보레이션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펄어비스는 검은사막에 조선 배경의 신규 지역 '아침의 나라' 출시를 기념해 '검은사막걸리'가 출시했다고 밝혔다. 펄어비스는 식품은 물론 자동차, 게이밍 장비 등 다양한 브랜드와 콜라보를 진행하고 있다. 검은사막 콜라보 시리즈는 2019년 6월 첫 선을 보인 '껌은사막(껌)'을 시작으로 김은사막(김) 감은사막(샴푸) 검은사각(속옷) 검은돌침대(침대) 검은녹용(녹용) 등 게임과 거리가 멀어보였던 제품군과 독특한 제품명으로 출시 때 마다 크게 이슈가 되고 있다. 지난해 '이마트24'와 콜라보를 통해 조성된 팝업스토어 '24BLACK'에는 버거, 삼각김밥, 커피 등 편의점 제품 총 9종을 출시해 흥행하기도 했다. 검은사막 콜라보 시리즈는 검은사막 모험가에게 게임 안에서의 재미를 넘어 게임 밖까지 재미 확대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진행하는 이벤트다. 콜라보 제품들은 저렴한 가격에 이색적인 재미요소까지 더해져 구매자는 일석이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출시 제품들마다 인기가 이어지고 있다. ◇글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공공투자기금 PIF(Public Investment Fund)가 2023년 1분기 닌텐도 외에도 미국의 게임사 일렉트로닉 아츠(EA) 지분도 대량으로 매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PIF는 EA 외에도 모바일 게임사 가레나의 모회사 SEA의 지분도 확대했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는 15일(현지시간) PIF가 제출한 13-F 문서를 공개했다. 13-F은 1억 달러 이상의 지분 자산을 관리하는 기관 투자자가 제출하는 분기 보고서로 주식, 옵션 등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증권의 소유 정보를 공개한다. 공개된 문서에서 가장 큰 폭의 변화는 EA의 보유 주식수 변동이다. 지난 2월 14일 공개된 2022년 4분기 13-F 문서에서 PIF는 EA의 주식을 1601만 1844주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서는 보유 주식수를 2480만 7932주로 보고, 약 880만 주를 추가 매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유한 지분의 가치도 19억5632만 달러(약 2조6230억원)에서 29억8811만 달러(약 4조원)로 1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또한 가레나 프리파이어 등으로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가레나의 모회사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게임기업 닌텐도가 현 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내 휴대용 콘솔 '스위치'의 신형 모델 출시는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신형 콘솔 모델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닌텐도는 젤다의 전설 등을 앞세워 스위치 생태계를 확장하는데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후루카와 슌타로(Shuntaro Furukawa) 닌텐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9일 진행된 2022년 회계연도(2022년 4월~2023년 3월) 실적 발표에서 진행된 투자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이번 회계연도 내 신형 하드웨어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4월까지 스위치의 후속모델이 출시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은 셈이다. 닌텐도의 주력 콘솔 모델인 스위치는 지난 2017년 3월 출시, 만 6년이 넘게 판매되고 있다. 닌텐도 스위치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 슈퍼 마리오 시리즈 등을 앞세워 휴대용 콘솔 시장의 절대강자로 군림해왔다. 출시 이후 판매량은 1억2500만 대를 넘어섰다. 하지만 출시 7년차에 접어들면서 판매량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닌텐도 스위치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게임 수요가 폭증한 2020년 회계연도에 2880만 대를 판매했으며 2
[더구루=홍성일 기자] 넷마블이 신작 실시간 액션 배틀로얄 PC 게임 '하이프스쿼드(HypeSquad)'의 북미 포커스 테스트를 시작했다. 넷마블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북미(NA) 서버 포커스 테스트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북미 포커스 테스트는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을 통해 진행되며 오는 29일 종료된다. 북미 포커스 테스트는 현재까지 진행된 테스트 중 가장 긴 기간동안 진행되는 테스트로 북미 유저들의 피드백을 통해 정식 출시 전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진행된다. 북미 포커스 테스트에는 유저간 실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경쟁모드가 추가된다. 유저들은 경쟁모드를 통해 자신의 티어를 확인할 수 있다. 티어는 루키,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으로 구분되며 각 티어마다 보상이 제공된다. 또한 배틀 패스 베타도 출시됐다. 이 기간 획득한 캐릭터 스킨, 무기 스킨, 감정표현 등의 보상은 정식 출시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성장 시스템, 전투 시스템, 서바이벌 모드 규칙 등이 기존 버전에서 변경돼 북미 유저들의 평가를 받게 된다. 하이프스쿼드는 미래 도심에서 펼쳐지는 실시간 액션 배틀로얄 PC 게임으로, 글로벌 게임유통 플랫폼 스팀과 에픽게임즈 스토어를 통
◇틸팅포인트 글로벌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틸팅포인트는 영국 공영 BBC의 인기 SF 드라마 '닥터 후(Doctor Who)'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닥터 후: 언라이클리 헤이스트(Doctor Who: An Unlikely Heist)'를 애플의 구독형 게임 서비스 '애플 아케이드'를 통해 정식 론칭했다고 발표했다. 닥터 후는 BBC 채널에서 지난 1963년에 첫 방영되고 2005년 재개가 시작된 이래 최근 시즌 13편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릴 때까지 오랜 시간 안방 팬들의 인기를 독차지해 온 SF 드라마이다. 타디스로 명명된 닥터의 전용 우주선이자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와 과거를 넘나들며 외계인들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닥터의 시간 여행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닥터 후: 언라이클리 헤이스트는 13대 닥터와 동반자인 야스민 칸(Yasmin Khan)과 함께 닥터 후의 우주선인 타디스에 탑승해 우주 공간을 여행하며 닥터 후 시리즈 뒷이야기부터 숨겨진 각종 히든 스토리를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미니 게임 및 퍼즐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모바일 어드벤처 게임이다. 유저는 스토리 진행을 위해 퍼즐 게임을 맞춰 나가며 게임에서 제시되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YG엔터테인먼트 걸그룹 블랙핑크의 첫 공식 게임이 곧 정체를 드러낸다. 국내 대표 아이돌 게임 제작사 테이크원컴퍼니는 자사가 개발 및 서비스하는 ‘블랙핑크 더 게임’을 오는 18일(한국 시간 기준) 모바일 양대마켓에 글로벌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블랙핑크 더 게임’은 육성 퍼즐 SNG 장르로, 게임 유저가 멀티버스 세계 속 블랙핑크의 프로듀서가 되어 멤버를 성장시킨다. 이 게임은 ▲독점 실사 포토 카드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퍼즐 ▲멤버를 매니지먼트하고 회사를 성장시키는 육성 시뮬레이션 ▲나만의 스타일로 꾸민 블랙핑크 아바타로 전 세계 유저와 소통하는 ‘블랙핑크월드’로 구성되어 있다. 블랙핑크의 독점 실사 콘텐츠와 3D 아바타를 활용한 고퀄리티 캐주얼 게임으로, 팬덤뿐 아니라 모바일 게임 유저도 함께 즐길 수 있다. 테이크원컴퍼니는 블랙핑크 멤버의 축하멘트 2편과 비하인드 메이킹 영상 8편을 연이어 SNS에 공개하며, 게임 내 포함된 다수의 실사 독점 콘텐츠를 예고했다. 또한 뉴욕, 파리, 방콕, 도쿄 등 전 세계 주요 도시 전광판을 통해 블랙핑크 더 게임의 출시 소식을 알리며 글로벌 대세감을 고조시켰다. 테이크원컴퍼니 정민채 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게임회사 반다이남코가 2022년 회계연도(2022년 4월 1일~2023년 3월 31일) 실적을 발표했다. 반다이남코는 2023년에도 다수의 신작을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간다. 반다이남코는 10일(현지시간) 2022년 회계연도에 9900억엔(약 9조8000억원)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1.3%가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1164억엔(약 1조1500억원)으로 7.2% 감소했다. 반다이남코의 매출은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대부분 발생했다.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건담, 드래곤볼, 원피스 IP(지식재산권) 등을 기반으로 한 완구 부문과 엘든링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큰 매출을 발생시키는 부문은 반다이남코의 IP를 활용한 완구 부문이다. 해당 부문은 4474억엔(약 4조4270억원) 매출을 올려 19.8% 성장했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3856억엔(약 3조8150억원) 매출을 기록, 2.0% 증가했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눈에 띄는 것은 네트워크 콘텐츠(모바일, 일부 PC타이틀)와 홈 비디오 게임 간의 매출 차이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2021년 회계연도 네트워크 콘텐츠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