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모바일 메신저 스냅챗(Snapchat)을 개발한 스냅(Snap)의 최고경영자(CEO)가 메타의 모방 전략을 비판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에반 스피겔(Evan Spiegel) 스냅 공동창업자 겸 CEO는 링크드인을 통해 "사랑스러운 남편, 네 아들의 아버지, 메타의 제품 부사장(Loving husband, father of four boys, VP Product @ Meta)"이라고 소개했다. 업계에서는 스냅의 CEO인 에반 스피겔이 뜬금없이 메타 부사장이라고 자기를 소개한 것은 메타의 모방 전략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라는 평가다. 스냅과 메타의 악연은 2013년부터 시작됐다. 메타는 당시 인기를 끌던 스냅챗을 30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에반 스피겔 등 스냅 경영진은 해당 제안을 거절했다. 이후 메타 SNS 플랫폼에서는 스냅챗에 존재하는 기능과 유사한 기능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그중 대표적인 기능인 인스타그램에 '스토리'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24시간동안 게시하는 스토리는 인스타그램의 대표 기능이다. 스토리는 스냅챗에서 먼저 제공된 기능으로, 원하는 사람에게만 스토리를 노출할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 AMD와 세계 최대 석유 기업 아람코(Aramco)가 인공지능(AI) 동맹을 맺었다. AMD와 아람코는 산업용 AI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AMD와 아람코가 9일(현지시간) AI 부문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MoU에 따라 AMD의 제품과 기술을 평가하고 에너지 산업용 AI 배포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MOU 주요 관심 분야는 AMD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중앙처리장치(CPU) 기능 활용, 산업용 엣지 AI 배포 탐색, 클라우드 전략, AI/머신러닝, 예측 분석, 데이터 센터 현대화 등이다. 또한 AMD ROCm 소프트웨어에 대한 교육과 에너지 부문 운영 최적화, 디지털 트윈 기술에 대한 AMD AI 기능 평가도 진행된다. AMD ROCm 소프트웨어는 GPU를 활용한 병렬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GPU 컴퓨팅 플랫폼으로 엔비디아 쿠다(CUDA)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아람코는 AMD와 협력을 통해 AI, 빅데이터, 예측 분석 기술을 발전시켜 에너지 사업 운영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AMD도 아람코와 협업을 통해 중동지역에서 AI 제품 포트폴리오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빅테크들이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딥시크가 AI 산업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20여곳의 글로벌 테크기업이 딥시크 AI 모델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다. 면면도 화려하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AMD,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웹 서비스(AWS), 인텔 등 미국 빅테크와 메타엑스, 일루바타 코어엑스, 하이곤 인포메이션 등 중국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업이 포함됐다. 또한 화웨이 클라우드, 텐센트 클라우드, 톈이 클라우드, 알리바바 클라우드, 바이두 AI 클라우드, 바이트댄스 볼케이노 엔진 등 중국 클라우드 기업들도 딥시크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외에도 무어 스레드, 인피니전스, PPIO 클라우드, 360 디지털 시큐리티, Z스택, 바이렌 테크놀로지도 딥시크를 지원한다. 세부적으로는 엔비디아가 'NIM(Nvidia Inference Microservices)' 플랫폼에서 딥시크-R1 모델 프리뷰를 제공한다. NIM은 엔비디아의 AI 운영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프리뷰 기능을 이용하면 개발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겪고 있는 인텔이 인공지능(AI) 사업 수장도 잃게됐다. 인텔은 팻 겔싱어(Pat Gelsinger) 최고경영자(CEO) 사임 2개월만에 추가로 주요 리더십을 상실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노키아는 10일(현지시간) 저스틴 호타드(Justin Hotard)를 새로운 사장 겸 CEO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저스틴 호타드는 4월 1일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0년부터 노키아를 이끌어온 페카 룬드마크(Pekka Lundmark) CEO는 3월 31일까지 근무하며 연말까지 CEO 고문으로 활동한다. 저스틴 호타드는 고성능 컴퓨팅(HPC) 전문가로 1995년 인텔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모토로라, NCR 코퍼레이션,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 등에서 근무했다. 저스틴 호타드가 인텔에 복귀한 것은 지난해 2월이다. 저스틴 호타드는 1년여간 데이터 센터 및 AI 사업 그룹 부사장 겸 총괄로 근무하며, 인텔의 AI 사업을 총괄했다. 저스틴 호타드가 영입됐을 때 업계에서는 "인텔이 AI 인재 경쟁에서 큰 승리를 거뒀다"며 팻 겔싱어 CEO를 높게 평가하는 분석이 나왔다. 노키아는 페카 룬드마크
[더구루=홍성일 기자]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업자인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회장이 로봇이 인간을 지배할 것이라는 것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레이버트 회장은 과도한 규제가 로봇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며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레이버트 회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사우디판 CES' 글로벌 IT 전시회 리프(LEAP) 2025에서 진행된 AI 이벤트인 '딥페스트(DeepFast)' 연단에 올랐다. 그는 전 유로뉴스 앵커인 이사벨라 쿠마르(Isabelle Kumar)의 진행에 따라 '로봇공학과 AI의 미래'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의 역할을 강조했다. 레이버트 회장은 "우리는 물리적 디자인을 연구하는 팀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능과 인식에 관한 것"이라며 AI를 강조했다. 또한 그는 로봇에 의한 과도한 두려움으로 인한 규제에 대해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레이버트 회장은 "로봇이 어떻게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져 세상을 장악하고 사람들을 제거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다"며 "저는 그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과도한 규제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거대언어모델(LLM) 라마(Llama) 훈련을 위해 테라바이트(TB) 규모 전자책, 기사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다운로드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메타가 불법적으로 데이터셋을 활용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소송의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 개발진들이 나눈 이메일 대화 내용이 공개됐다. 해당 문건은 리차드 캐드레이(Richard Kadrey) 및 작가 2인이 지난 2023년 11월 메타를 저작권 위반으로 고소하면서 벌어지고 있는 재판 과정에서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이메일은 2024년 4월과 9월에 진행된 대화다. 해당 대화에는 메타 연구원인 니콜라이 바슬리코프(Nikolay Bashlykov), 프랭크 장(Frank Zhang), 샤오란 왕(Xiaolan Wang)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이들은 토렌트를 활용해 립젠(LibGen) 데이터셋을 다운로드하는 것과 메타 IP 주소를 통해 토렌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얘기한다. 니콜라이 바슬리코프는 메타 IP에서 토렌트를 이용해 해적판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것은 우려하며 "회사 노트북에서 토렌트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대부'로 불리는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 토론토대학교 명예교수가 'AI 무기화 불가' 조항을 삭제한 구글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구글의 이번 결정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코드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내부 반발도 우려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리 힌튼 교수는 구글을 향해 "안전과 이익이 충돌할 때 기업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여주는 또 다른 안타까운 예"라고 밝혔다. 지난해 인공신경망을 통한 머시러닝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튼 교수는 명실상부 '현대 AI의 대부'로 불린다. 제프리 힌튼 교수는 지난 2012년 컴퓨터 비전 스타트업 DNN 리서치를 설립했으며 2013년 구글에 매각했다. 이후 제프리 힌튼 교수는 2023년까지 구글의 AI 기술 발전을 주도했다. 제프리 힌튼 교수가 구글을 퇴사한 것은 자유로운 비판을 위해서다. 제프리 힌튼 교수는 기업들이 안전을 도외시한 채 AI 기술 개발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제프리 힌튼 교수가 10년간 근무했던 구글을 비판하고 나선 것은 구글이 AI원칙에서 AI를 무기화 하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수장을 맡고 있는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이하 DOGE)가 미국 행정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챗봇을 개발에 나섰다. DOGE는 AI챗봇 도입으로 업무 속도 향상은 물론 비용 절감 효과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미국 IT전문 월간지 와이어드(WIRED)에 따르면 DOGE는 연방총무청(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GSA)를 위한 맞춤형 생성형 AI 챗봇 'GSai' 개발을 추진한다. DOGE는 GSai를 GSA에 도입해 약 1만2000명에 달하는 공무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목표다. GSA는 미국 연방정부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청사 및 인프라 관리, 물품 조달 등의 업무를 총괄한다. 와이어드에 따르면 GSA 기술 혁신 서비스 부서를 이끄는 토마스 셰드(Thomas Shedd)는 내부회의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계약 분석을 위한 것"이라며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진행해왔던 작업이다. 다른 점은 전체 시스템을 사내에서 구축해 매우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DOGE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이 영국 국방부(Ministry of Defence, MoD)와 위성 통신 시스템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밀착 행보를 이어가면서 스타링크의 대안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마존 위성 통신 자회사인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는 영국 국방부와 67만 파운드(약 12억원) 규모 통신 네트워크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 프로젝트 카이퍼는 계약에 따라 영국 우주 사령부와 협력한다. 아마존은 관련 내용에 대해서 별도의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번 계약을 통해 프로젝트 카이퍼는 영국군이 준비하고 하고 있는 위성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또한 영국군을 위한 트랜스레이터 위성 활용 방안도 모색한다. 현재 위성은 대부분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위성이나 우주선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반면 트랜스레이터 위성은 군, 정부, 민간, 동맹국 등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위성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영국 국방부는 현재 군용 통신 위성인 스카이넷의 세대 교체와 이스타리 프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팹리스 기업 미디어텍(MediaTek)이 미국發 관세를 앞두고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 모습이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나 관세 품목이 확실히 정해지진 않았지만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매출과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철저하게 대비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릭 차이(Rick Tsai) 미디어텍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현지시간) 열린 2024년 4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미국 정부가 대만에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 "매우 예측하기 힘든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론 우리는 앉아서 아무것도 안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나름대로 가정을 세우고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릭 차이 CEO는 시뮬레이션 내용에 대해서 공개하지 않았지만 관세 부과 여부, 규모, 범위 등 다양한 변수를 두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릭 차이 CEO는 "변수가 너무 많다"며 "지금은 정확한 예측을 하기 매우 어렵다. 매우 복잡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만 정부도 반도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장원뤄 경제부 정무차장(차관)을 필두로한 대표단을 파견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공급 대란을 겪고 있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최대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출시된 모델 외에도 추가로 출시될 제품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영국 컴퓨터 하드웨어 소매 판매기업 '오버클러커스UK'에 따르면 현재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과 RTX 5080의 재고가 매진됐으며 사전 주문도 중단됐다. 오버클러커스UK는 RTX 5090이 재입고되는 시기는 빠르면 3주, 늦으면 16주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했다. RTX 5080은 최소 2주, 최대 6주가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RTX 5080, RTX 5090은 출시 전부터 공급 대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턱 없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에서는 처음부터 RTX 5090 자체를 확보하지 못한 소매업체들이 있을 정도였다. RTX 5080의 경우 RTX 5090보다 재고가 있었지만 1월 31일 출시와 함께 순식간에 동이 났다. 대만의 컴퓨터 부품 전문매체 벤치라이프는 RTX 5090과 RTX 5080이 출시 초기 공급 부족 문제를 겪게 된 것은 엔비디아와 애드
[더구루=홍성일 기자] 시프트업이 개발한 모바일 스쿼드 역할수행게임(RPG) '승리의 여신: 니케'(이하 니케)가 누적 매출 10억 달러(약 1조4480억원)를 돌파했다. 니케는 중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어 매출 상승이 기대된다. 9일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니케는 지난달 출시 2년3개월여만에 누적 매출 10억 달러를 달성했다. 니케는 출시 이후 전세계 모바일 게임 중 매출 순위 29위를 기록했으며, 모바일 스쿼드 RPG 중에서는 1위에 올라 장르를 대표하는 게임으로 자리잡았다. 지난 2022년 11월 출시된 니케는 몰입도 있는 스토리, 뛰어난 일러스트, 삼인칭 슈팅 게임(TPS) 장르의 게임성을 기반으로 한국, 일본, 북미 등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니케의 글로벌 퍼블리싱은 중국 텐센트의 자회사인 레벨인피니트가 담당하고 있다. 니케가 가장 큰 인기를 끈 지역은 서브컬처의 본고장인 일본이었다. 니케의 전체 매출 중 54%가 일본에서 발생했으며 그 뒤를 한국(16.2%), 미국(16%) 이었다. 니케는 텐센트의 주요 매출 동력이면서도 글로벌 포트폴리오의 핵심 게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출시 이후 니케가 올린 매출은 텐센트 모바일 게임 매출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