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KDB산업은행이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가 칠레에서 추진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사업에 자금을 지원했다. 우리 기업의 중남미 인프라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마루베니는 칠레 북부 해안 토코피야 지역에 건설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사업과 관련해 대주단과 차관 계약을 맺고 공사를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자금 조달에는 산업은행을 비롯해 △미즈호은행 △노린추킨은행 △MUFG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 △SBI신세이은행 △빌바오 비스카야 아르헨티나 은행 △산탄데르은행 △크레딧아그리콜 △소시에테제너럴 △KfW은행 등이 참여했다. 이 사업은 하루 처리 용량 7만㎥ 규모 역삼투압방식(RO)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이다. 향후 17만㎥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아르헨티나 건설사 데친트(Techint)가 설계·조달·시공(EPC) 사업을 수행한다. 마루베니는 완공 후 20년간 운영한다. 담수화 플랜트에서 생산된 물은 북부 라도미로 토믹·추키카마타·미니스트로 하레스 등 구리 광산 세 곳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 광산 세 곳은 칠레 국영 구리기업 코델코(Codelco)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코델코는 세계 최대 구리기업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녹색 금융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BIDV는 지난 25일 퐁 토 지구 반 랑 지역에서 2500 그루의 나무 심기 행사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BIDV가 창립 65주년을 맞아 추진 중인 ‘100만 그루 나무 심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퐁 토 지구 반 랑 지역은 평소 홍수와 폭풍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BIDV는 이번 나무 심기 행사를 통해 자연재해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쩐 프엉 BIDV 부국장은 “자연재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나무 심기 행사를 진행하게 됐다”면서 “올해는 베트남 전 지역에 총 25만 그루의 나무를 심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선 BIDV 기부 프로그램 ‘BIDV러너(BIDVRUNNERS)’ 회원들이 퐁 토 지구 반 랑 지역 불우 이웃을 돕기 위해 정수기 6대 등 4500만 동(약 248만 원) 상당의 물품을 전달하기도 했다. BIDV는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매년 4000억 동(약 22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지역 사회 지원에 투입하고 있다. 라
[더구루=정등용 기자] BIDV(베트남투자개발은행)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재활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BIDV는 28일 청년의 달을 맞아 꽝 빈 성에 위치한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서 ‘자선 주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꽝 빈 성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는 자신을 스스로 돌볼 수 없는 젊은 정신질환자들이 입원 중이다. 이들은 정신질환으로 인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센터 직원과 간호사 등 의료진으로부터 24시간 동안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환자들은 집안 사정도 매우 어려워 지역 사회와 정부 기관의 도움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IDV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꽝 빈 성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 1000만 동(약 55만 원) 상당의 치료·재활 물품을 제공했다. 또한 BIDV 대표단이 센터를 직접 방문해 무료 식사 배급 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편, BIDV는 최근 지역 사회와의 교류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2월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공동체 문화 주택’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한 데 이어 1월엔 설 연휴를 맞아 불우 이웃 돕기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BIDV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수출신용기관인 수출금융청(UKEF)이 한국에 사무소를 설립한다. 양국간 무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UKEF는 첫 한국 국제수출금융집행부(International Export Finance Executive·IEFE)를 임명했다고 28일 밝혔다. UKEF는 영국 수출업체와 협력하려는 한국 기업에 금융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국은 영국의 18번째로 큰 수출 시장으로 2021년 3분기~2022년 2분기 102억 파운드(약 16조2590억원) 규모 수출액을 기록했다. 팀 리드 UKEF 청장은 "한국의 처음으로 UKEF 인력을 배치함으로써 영국 기업이 한국과의 무역을 늘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한국은 이미 우리의 주요 수출국으로 기존 무역 관계를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 경제의 혁신과 창의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IEFE 임명은 두 나라 무역 관계가 미래를 위해 계속 발전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과 영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 공급망, 중소기업, 탄소중립, 팬데믹 대응 등 신통상규범 분야 협력 방안을 반영해 논의할 예정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카자흐스탄 녹색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카자흐스탄은 206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그린 이코노미 전환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해서 늘어나는 상황이다.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27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친환경 사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1억5000만 달러(약 2000억원) 규모로 펀드(GEFF 카자흐스탄 Ⅱ)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EBRD는 이 자금을 신한은행과 센터크레딧뱅크, KMF 등 현지 금융사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자금은 기업과 일반 가정에 지원된다. 이와 함께 여성 기업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신한은행과 EBRD는 앞서 지난 2021년 12월 카자흐스탄 녹색금융 조달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EBRD는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과 구소련 국가의 시장경제 체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1991년 설립된 지역개발 금융기구다. EBRD는 동유럽 국가의 탄소중립을 지원하기 위해 GEFF(Green Economy Financing Facility)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본보 2021년 12월 14일자 참고 : [단독] 신한은행, EBRD 녹색금융 프로그램 합류…"ESG 경영 강화"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현대캐피탈 독일 자회사 얼라인 모빌리티 그룹(Allane Mobility Group)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영업 실적을 감소했지만 감가상각비 감소 등으로 재무 상태는 나아졌다. 얼라인은 지난해 세전이익이 전년 대비 109.0% 증가한 1280만 유로(약 180억원)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결 기준 영업 수익(판매 수익 제외)은 3억8540만 유로(약 5380억원)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연결 기준 매출은 7억1700만 유로(약 1조원)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다.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은 0.6% 증가한 1억8510만 유로(약 2580억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신규 계약 건수는 11만5900건으로 전년 대비 10.1%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리테일 리스 사업부문 계약은 3만5300건으로 전년보다 3.5% 줄었다. 법인 리스 사업부문은 3만3600건으로 소폭 늘었다. 법인 관리 사업부는 4만7000건으로 전년 대비 20.3% 급감했다. 신동림 얼라인 대표는 "지난해 영입이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며 "자체 개발한 딜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베트남 자동차금융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현지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자동차 금융 수요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은 현지 폭스바겐 차량 공식 딜러인 트렌드모터와 자동차 할부금융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이에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은 트렌드모터에서 폭스바겐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차값의 최대 80%의 자금을 지원한다. 대출 기한은 최대 8년이다. 최초 6개월 동안 무이자 혜택을 제공하고, 이후 54개월간 10%대 고정금리를 적용한다.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동남아에서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이어 네 번째로 크다. 지난해 사상 최초로 연간 판매량 50만대를 돌파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빠르게 늘고 있어 판매량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자동차금융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할부금융은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낮으면서도 장기 고객을 유치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사업으로 꼽힌다. 한편,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은 지난해 198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신한은행은 1993년 국내 금융회사 중 가장 먼저 베트남에 진출해 외국계 은행 가운데 가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베트남석유가스그룹(Petrovietnam)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양측은 그동안 유지해 온 신용 거래 관계를 확대하는 등 전방위적 협력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BIDV는 지난 20일 베트남석유가스그룹과 회담을 갖고 협력 관계 강화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회담엔 판 둑 뚜 BIDV 이사회 의장과 라 응옥 람 BIDV 회장이 참석했다. 베트남석유가스그룹에선 르 만 훙 그룹 회장과 응웬 반 마우 등 이사회 임원들이 자리했다. 회담 결과 양측은 지난 2021년부터 이어온 높은 수준의 신용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투자 및 대출 처리 관계를 조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BIDV는 베트남석유가스그룹 직원을 위한 적절한 신용 정책을 개발해 베트남석유가스그룹의 거버넌스와 은행 상품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더불어 거시 경제 및 금융 통화 시장에 대한 심층 연구 보고서를 베트남석유가스그룹에 주기적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양측은 이 같은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강력한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해 지속적인 친선 관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판 둑 뚜 의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진옥동 회장이 신한금융지주 회장으로 공식 취임한다. 신한금융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의 반대도 대세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신한금융지주는 23일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본사에서 제22기 정기주주총회와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주요 안건인 재무제표 결산과 이사 선임의 건을 승인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 신한금융지주는 신임 대표이사 회장으로 진옥동 회장을 선임했다. 앞서 국민연금은 '기업가치 훼손과 감시 의무 소홀'을 이유로 진 회장 선임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지만 재일교포를 비롯한 다른 주주들의 지지 의사를 뒤집지 못했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지주는 곽수근·배훈·성재호·이용국·이윤재·진현덕·최재붕·윤재원 사외의사의 유임 안건도 통과시켰다. 올해 이사회 의장으로는 이윤재 사외이사를 선임했다. 연간 배당금은 전년 대비 105원 오른 2065원으로 의결했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이날 주주총회 인사말을 통해 “지난해 우리 사회 모두는 불안한 국제 정세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도전적인 한 해를 보냈다”며 “신한금융은 '고객중심'과 '금융보국'이라는 창업 정신을 바탕으로 끊임 없는 변화와 도약을 통해 '선한 영향력 1위'라는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OK금융그룹 인도네시아 사업이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OK뱅크 인도네시아의 순이익은 132억 루피아(약 11억원)로 전년 175억 루피아(약 15억원) 대비 24% 줄었다. 이는 지난해 1454억 루피아(약 122억원) 규모 금융자산 손실이 발생한 영향이다. 이는 전년 대비 140%나 급증한 수치다. 대출 잔액은 8조600억 루피아(약 6740억원)로 전년보다 46.1% 성장했다. 일반예금(DPK) 잔액은 5조3600억 루피아(약 4480억원)로 36.6% 늘었다. 총자산은 10조1800억 루피아(약 8510억원)로 1년 전보다 31.9% 증가했다. 공격적인 영업으로 비용도 늘었다. 실제로 지난해 프로모션 비용은 180억 루피아(약 15억) 수준으로 전년보다 3배가량 증가했다. OK금융은 지난 2016년 안다라뱅크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에 진출했고, 2018년 디나르뱅크를 추가로 인수했다. 이어 2019년 두 은행을 합병해 통합 은행을 공식 출범시켰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이 인도네시아 주택담보대출 사업 확대에 나선다. 현지 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 시나르마스랜드(Sinarmas Land)와 협업을 통해서다.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KB부코핀은행은 23일 시나르마스랜드와 업무 협약을 맺고 ‘스마트 무브(Smart Move)’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스마트 무브는 시나르마스랜드가 인도네시아 지역 사회의 주택 금융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 중인 모기지 금융 프로그램이다. 고객은 최대 18%의 부동산 할인과 5.5%의 캐시백, 최대 6%의 모기지 이자 보조금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B부코핀은 스마트 무브 프로그램을 통해 주택구입자금대출(KPR)과 토지구입자금대출(KPT), 아파트구입자금대출(KPA) 등에 대한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KB부코핀은 시나르마스랜드와 협력을 통해 기존 주력 사업 부문이었던 소매 금융 외에 모기지 금융 사업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부동산 시장의 경우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만큼 모기지 금융 유통 확대에 보다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이우열 KB부코핀은행장은 “스마트 무브 프로그램 참여는 인도네시아 주택담보대출 시장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은행 고객 만족도 조사에서 순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는 톱3에 올랐다. 전통적인 시중은행의 경우 전반적으로 고객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금융 전문지 아시안뱅커(The Asian Banker)가 조사한 고객 만족도 평가에서 카카오뱅크는 아태 지역 은행 중 14위로 지난해 1위에서 크게 미끄러졌다. 카카오뱅크는 앱 편의성과 특색있는 상품을 통해 지난 2021~2022년 2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지난 2021년 10월 영업을 시작한 국내 3호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는 단숨에 3위를 차지했다. 토스뱅크는 출범 후 1년 반 새 600만명의 고객을 모았다. 국내 금융사 최초로 선보인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가 큰 주목을 받았다. 이는 수시입출금 통장을 보유한 고객이 매일 한 번씩, 자신이 원할 때 즉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이에 반해 시중은행들은 전반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신한은행이 39위, KB국민은행이 49위, NH농협은행이 81위에 머물렀다. 국내 시중은행은 손쉬은 이자 장사로 사상 최대 수익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