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동원F&B의 ‘양반’이 한국을 넘어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 잡았다. 대표 한식 가정간편식(HMR)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0일 동원F&B에 따르면 ‘양반’은 1986년 탄생한 국내 최초의 한식 HMR 브랜드로, 재료와 맛에 집중하며, 전통과 트렌드를 이어왔다. ‘양반’의 브랜드 슬로건은 ‘한식 맛의 오리지널’이다. 한식의 본질적인 가치를 지키는 동시에, 한식의 즐거움을 지속할 수 있도록 맛과 편리함의 가치까지 제공하겠다는 철학이 담겨있다. 대표 제품으로 출시 40주년을 맞은 ‘양반김’과 30여 년 동안 한결같이 국민의 식탁을 책임져온 ‘양반죽’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밥, 국탕찌개, 떡을 비롯하여 김치, 적전류, 전통음료까지 맛과 영양이 풍부한 ‘한식 한 상 차림’을 간편하게 차려낼 수 있다. 국가대표 조미김 브랜드인 ‘양반김’은 1986년 출시 이후 약 40년 간 사랑을 받고 있는 장수 브랜드다. 양반김은 깨끗한 바다에서 자라는 고급 원초를 엄선하여 두 번을 굽는 공정을 통해 가장 좋은 맛을 담아 낸다. 양반김이 조미김 시장에서 1등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동원F&B가 운영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원초
[더구루=이연춘 기자]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대표이사에 박현수 CBO(최고사업책임)를 발탁했다. 30일 11번가에 따르면 박현수 신임 대표는 지난 2018년 11번가 경영관리실장으로 보임한 이후 Corporate Center장, CBO 등을 역임하며 11번가의 체질 개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왔다. 특히 재무분야의 오랜 경험을 기반으로 11번가가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온 수익성 중심 경영을 주도하며, 주력사업인 오픈마켓 부문에서 13개월 연속 영업이익 흑자 달성 등 11번가의 ‘질적 성장’을 일궈냈다. 또한 직매입 기반의 빠른 배송 서비스인 ‘슈팅배송’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면서 주7일 배송을 도입해 11번가의 배송 경쟁력을 강화했다. 중소 판매자를 위한 빠른 정산인 ‘안심정산’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제공하여 판매자와의 상생을 추진해왔다. 박현수 11번가 대표는 “고객과 판매자의 만족을 최우선에 두고, 11번가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면서 “올해 수익성 개선을 가속화해 오픈마켓과 리테일 사업을 포함한 전사 EBITDA(상각전영업이익) 흑자 달성으로 성공적인 턴어라운드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가 더욱 풍요로운 사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어 재계 눈길을 끈다. 사회공헌 슬로건 ‘마음이 마음에게’를 바탕으로 여성과 아동, 나라사랑에 중점을 두고 고객에게 받은 사랑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30일 롯데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사업인 ‘맘(mom)편한 꿈다락’도 진행 중이다. ‘맘편한 꿈다락’은 문화체험 및 아동 역량 강화 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2017년 군산 회현면 1호점에서 시작했다. 대구∙광주∙양평∙천안∙대전 지역 등 지난해까지 총 93개소 조성을 완료했다. 올해는 총 7개소를 추가 조성해 100호점 오픈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7년부터 어린이들의 놀이 환경 조성과 교육 환경 불평등 해소를 위해 실내 공공형 놀이터를 지원하는 ‘맘편한 놀이터’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울산 남구, 의정부시에 차례로 ‘맘편한 놀이터’를 조성해 30호점까지 오픈했다. 롯데는 '맘편한 놀이터'로 지역 아동 돌봄 문제 해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제13회 나눔국민대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롯데는 1월 충남 태안군에서 농어촌 조손가정을 지원하는 '조손 가꿈' 완공 기념식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유한양행은 2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자사의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인 표적항암제 YH42946(JIN-A04) 및 면역항암제 YH32364 (ABL104)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는 지난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진행된 AACR 2025에서 포스터 발표 형식으로 공개됐다. 관련 초록은 지난 3월 25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게재된 바 있다. YH42946은 HER2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및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계열의 항암제로, HER2 엑손 20 삽입을 포함한 다양한 돌연변이와 HER2 증폭/과발현, 그리고 EGFR 엑손20 삽입 변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특히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HER2 및 EGFR 엑손 20 삽입 변이는 기존의 TKI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가 매우 제한적이
[더구루=이연춘 기자] 온코닉테라퓨틱스가 표준치료요법 병용을 통해 위암 동물모델에서 종양 크기를 비투여 대조군(Vehicle) 대비 최대 99.3%까지 감소시키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5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차세대 이중기전 항암제 후보물질 ‘네수파립(Nesuparib)’의 위암 적응증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네수파립은 암세포의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파프(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와 암의 성장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탄키라제(Tankyrase, TNKS)를 동시 저해하는 이중기전 신약 후보물질이다. 기존 PARP 저해제는 BRCA 변이를 포함한 HRD(상동재조합결핍) 상태의 암세포에 주로 효과를 보였지만, 네수파립은 PARP뿐 아니라, Wnt 및 Hippo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Tankyrase를 동시에 억제해 HRD 여부와 관계없이 암세포 증식을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AACR에서의 발표는 글로벌 5대 발병 암종임에도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위암을 대상으로 세포 및 동물모델을 통한 비임상 연구에 대해 진행됐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CJ온스타일이 다음달 1일 근로자의 날을 시작으로 6일 대체공휴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 기간에 빠른 배송 서비스를 펼친다. 특히 공휴일인 4일부터 6일까지 빠른 배송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은 CJ온스타일이 업계 유일하다. 30일 CJ온스타일에 따르면 2023년 CJ대한통운과 협업을 통해 업계 최초로 O-NE(오늘∙내일∙일요일도착) 배송 서비스를 도입하고 고객 쇼핑 편의성을 높였다. 올해 1월부터는 수도권에 한정됐던 빠른 배송 인프라를 전국권으로 확대하면서 주 7일 배송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빠른 배송 적용 택배 물동량은 월평균 17%씩 급증하고 있다. CJ온스타일은 다음달 황금연휴 기간 TV 방송 상품에 한해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간 빠른 배송을 받아볼 수 있는 방송 편성을 기존 대비 약 20%p 늘린 64%까지 확대했다. 특히 일요일 4일에는 어린이날 특수성을 고려해 전체 방송의 80%에 빠른 배송을 적용, 구매 당일이나 늦어도 다음날 상품을 받아볼 수 있다. 가정의 달을 맞아 소비심리 회복이 기대되는 만큼 선물 수요가 높은 건강식품∙패션과 이른 무더위를 대비할 수 있는 뷰티 상품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오리온이 중국에서 새롭게 선보인 '궈즈궈디앤'(果滋果点)이 제품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국내를 넘어 중국 시장에서 K-젤리 대표임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오리온은 중국에서 제품을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전문 경소상을 개발하는 등 영업력 강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iSEE는 30일 '제 7회 iSEE 글로벌 식품 혁신상'을 발표했다. 오리온 중국법인 하오리유(好丽友)의 알맹이 젤리 ‘궈즈궈신'(果滋果心)의 신제품 궈즈궈디엔이 혁신상 동상을 받았다. iSEE 국제 시상식은 식품 산업 내에서 혁신성과 창의성을 인정받는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매년 전 세계 식품 기업들이 새로운 제품, 기술, 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하고 제품 및 브랜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논의를 통해 결정된다. 품질력과 혁신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의미를 갖는다. 올해 행사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유럽, 북미, 호주 등 전 세계 70여개 국에서 4678개의 혁신 사례와 제품들이 참여, 약 7개월에 걸친 3차례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심사 끝에 최종 수상작 결정됐다. 오리온 궈즈궈디엔은 껍질을 벗겨 먹는 젤리라는 독특한 포인트와 함께 혁신적인 식감과 맛을
[더구루=진유진 기자] 오리온 초코파이가 미국과 인도네시아 간 관세 협상 테이블에 깜짝 등장했다. 인도네시아 유명 쇼핑센터 망가두아 시장에서 초코파이를 포함한 글로벌 브랜드 제품 위조품이 대거 유통되고 있다는 미 정부의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달 발표한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서 인니 망가두아 시장을 위조 상품 유통지로 지목했다. 피해를 본 브랜드로는 △루이비통 △레고 △혼다 등 유명 브랜드 외에 '오리온 초코파이'도 포함됐다. USTR 보고서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59개국의 무역 장벽 상황을 분석하며, 지적재산권(IPR) 침해를 주요 비관세 장벽으로 명시했다.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우선 감시 대상국' 리스트에 올라 있다. 현재 망가두아 시장은 위조품 판매 혐의로 미 정부 조사를 받고 있다. 에어랑가 하르타르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장관은 28일(현지시간) "미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망가두아 시장 문제는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다"며 "다만 비관세 장벽 논의에는 지재권 문제가 포함돼 있고, 어떤 유형이 있는지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무역부도 지난 24일 "지난해 말까지 다수 글로벌 브랜
[더구루=이연춘 기자] 한국맥도날드가 지난해 국내 진출 이후 최고 매출을 경신하며 8년 만에 턴어라운드를 달성했다. 고객 눈높이와 기대에 부응하고자 품질과 서비스 전반에 걸쳐 꾸준히 투자해온 것이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맥도날드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 대비 11.8% 상승한 1조2500억원을 기록하며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 과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가맹점을 포함한 전체 매출은 1조4090억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해, 이 역시 4년 연속 최대 매출 경신 성과를 이뤄냈다. 영업 이익은 117억원, 당기 순이익은 1153억원이다. 이로써 한국맥도날드는 2016년 이후 8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역대 최고 실적과 흑자 전환은 ▲고객 선호를 반영한 메뉴 개발 및 서비스 품질 향상 ▲전략적인 신규 매장 출점과 리뉴얼을 통한 매출 확대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자산 포트폴리오 재구성 ▲내부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체질 개선과 비용 절감 등 전반적인 경영 효율성 강화도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이 밖에도 꾸준히 추진해온 고객 중심 활동과 국내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주효했다. 특히, 국내산 식재료를 적극 활용해
[더구루=이연춘 기자] 티엔에스트레이딩이 창립 25주년을 맞아 프리미엄 건자재 수입유통 브랜드 두오모앤코(Duomo&Co.)의 브랜드명을 '파르스(PARS)'로 변경한다. '공간 경험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새롭게 선보이는 브랜드인 '파르스(PARS)'는 라틴어로 '조각', '부분'을 의미한다. 오랜 시간 공간을 구성해 온 본질적인 재료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삶의 다양한 경험을 큐레이션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확장된 비전과 방향성을 담고 있다. 티엔에스트레이딩은 29일 이탈리아 타일, 원목마루, 위생도기, 욕실가구, 수전 등 기존 프리미엄 건축자재 수입 유통 사업을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라이프스타일을 구체화하고 체험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사업을 추가 확장한다고 밝혔다. 단순히 고급 건자재를 공급하는 것에서 나아가 공간에 대한 영감과 깊이 있는 경험을 함께 제공하는 기업으로 진화하겠다는 비전이다. 이를 위한 세 가지 핵심 경험 전략도 제시했다. ▲삶의 재료를 엄선하는 경험 ▲공간에 대한 영감을 나누는 경험 ▲개인의 취향으로 삶을 향유하는 경험이다.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논현동 사옥을 ‘파르스 서울(PARS SEO
[더구루=이연춘 기자] 메디톡스는 태국 방콕에서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ICLAS(International Conference of Laser, Aesthetic medicine and Surgery) 2025'에 참석해 지난해 말 허가 받은 제품들의 상반기 런칭 계획을 공개했다. 올해로 5회째 진행된 'ICLAS 2025'는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와 대한미용성형레이저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국제학술대회로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의료진 및 업계 관계자 다수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29일 메디톡스에 따르면 태국에 설립한 단독법인 ‘메디톡스 타일랜드(Medytox Thailand)’와 합작법인 ‘메디셀레스(Medyceles)’ 두 회사가 함께 참여해 대형 부스를 설치하는 등 대규모 홍보 행사를 진행했다. 주요 KOL(Key Opinion Leader)의 강연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쳤다. 행사 첫 날에는 ‘뉴럭스’의 컨센서스 가이드라인 논문 저자 중 한 명인 메이린클리닉 더현대서울점 오욱 원장이 ‘뉴럭스’의 합의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최신 시술법(An Overview of the Latest Korean Consensus
[더구루=이연춘 기자] '미국판 배달의민족'으로 불리는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oordash)가 영국 딜리버루(Deliveroo)를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이어 1년 만에 인수 재도전이다. 도어대시는 딜리버루 인수로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딜리버루는 29일 도어대시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인수 금액 규모는 36억달러(약 5조2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앞서 지난 3월 딜리버루는 홍콩에서 철수하면서 일부 자산을 푸드판다 딜리버리 히어로즈(Foodpanda Delivery Heroes)에 매각한 바 있다. 도어대시는 현재 글로벌 10여 곳에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죄고 있다. 딜리버루 인수로 입지가 없는 새로운 시장에 접근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영국에 본사를 둔 딜리버루는 프랑스, 싱가포르 등 10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인수 금액이 걸림돌이 된 만큼 인수합병(M&A) 결정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당시 도어대시와 딜리버루의 기업가치에 대한 의견이 갈려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도어대시는 다음달 23일까지 공식 인수 의사를 결정해야 한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