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K-보툴리눔톡신이 글로벌 시장에 속속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좁은 국내 시장을 넘어 8년 뒤 1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시장의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앞다퉈 패권 경쟁에 뛰어드는 모습이다. 8일 시장 조사기관 마켓 리서치 퓨처(Market Research Future·이하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32억달러(약 4조2400억 원) 규모였던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은 오는 2032년 87억달러(약 11조5292억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마켓 리서치는 △고령화로 인한 안티에이징 수요 증가 △1인당 소득 증가 △치료제 시장 확대 등에 따라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관전 포인트는 글로벌 보툴리눔톡신 시장을 주도할 기업으로 대웅제약과 메디톡스, 휴젤을 꼽았다는 점이다. 톱10에서 국내 기업만 3곳이 이름을 올렸다는 점에서 국내 기업의 입지가 두텁다는 평가다. 이들은 단일 시장으로는 최대 규모인 미국을 집중 공략하며 패권 경쟁에 나서고 있다. 대웅제약의 행보가 K-보툴리눔톡신 3사 중 가장 눈길을 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보툴리눔톡신 '주보'(국내명 나보타)를 승인받아 미국 시장에서 입지
[더구루=한아름 기자] 임종윤 한미약품 사장이 한미사이언스 이사 선임 등을 주요 안건으로 올린 주주총회를 앞두고 헛발질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임종윤 사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치료제 컨소시엄 실패 원인을 여동생인 임주현 사장에게 돌려 역풍을 맞고 있다. ◇임종윤 사장 거듭된 헛발질 8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지난달 23일 임종윤 사장에게 경고를 날렸다. 앞서 임종윤 사장이 임주현 사장이 미래 사업에 대한 비전 제시는 커녕 기업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공개 비난한데 따른 것이다. 임종윤 사장은 "(임주현 사장이) 백신·치료제 컨소시엄 인적·물적 지원을 끊고 조직적으로 왜곡 방치했다"고 밝히자 한미약품은 "임종윤 사장이 주도한 코로나 백신·치료제 컨소시엄은 실체 없는 사업였으며, 무엇보다 지난 2021년 결성된 백신 컨소시엄에 속한 바이오기업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등 신기술 분야에서 원천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직격했다. 한미약품 측은 "오히려 한미약품이 해당 기술 개발에 도전해 보겠다는 입장였다"며 "그러나 검증된 원천 기술 없이 가능성만 제시하는 기업들에게 인적·물적 자원을 투자할 만한 명분을 찾을 수 없었다"고 꼬집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벤처 바이옴엑스(BiomX)가 미국 바이오기업을 품는다. 북미 박테리오파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박테리오파지는 슈퍼박테리아(항생제 내성균)의 유력 대안 물질로,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옴엑스 공격 행보에 2018년 투자에 나선 종근당과 한독에도 빛을 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바이오기업 써모피셔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이하 써모피셔)이 인도네시아 사무소를 개소한다. 아시아태평양 사업을 고도화하고 생명과학 연구부터 진단시약·의약품 개발, 의료장비·부품 공급까지 생명과학 사업 전반의 밸류체인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위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 산도즈의 프롤리아(Prolia)·엑스게바(Xgeva) 바이오시밀러가 미국에 진출한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연내 프롤리아·엑스게바 바이오시밀러 판매 허가를 획득해 경쟁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FDA은 6일 산도즈의 프롤리아·엑스게바(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를 판매 승인과 동시에 상호교환성 바이오시밀러로 지정했다. FDA로부터 상호교환성 바이오시밀러 지위를 따낸 9번째 제품이 됐다. 프롤리아·엑스게바는 암젠이 개발한 바이오의약품이다. 프롤리아는 골다공증 치료제로, 엑스게바는 뼈암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도즈도 '와이어스트'(Wyost) '주본티'(Jubbonti) 두 가지 제품명으로 미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다만 암젠과 특허 관련 소송을 진행 중인 만큼 정확한 출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프롤리아·엑스게바의 미국 특허 만료 시점인 내년 2월부터 판매한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삼성바이오에피스가 산도즈와 각축전을 펼친다. 셀트리온이 삼성바이오에피스보다 먼저 산도즈를 바짝 추격할 가능성이 크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12월 FDA에 프롤리아·엑스게바 바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대형 제약사 화이자(Pfizer)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신약 데이터 분석이나 마케팅 플랜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동제약 일본 파트너사 시오노기제약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성분명 엔시트렐비르)를 롱코비드 치료제 개박에 박차를 가한다. 코로나 증상부터 후유증 치료까지 원스톱으로 치료가 가능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조코바 국내 도입을 맡은 일동제약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시오노기제약은 5일 오사카 의과대학과 손잡고 조코바를 롱코비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롱코비드는 코로나 완치 이후에도 계속되는 후유증을 말한다. 피로감, 탈모, 호흡 곤란, 기침, 근육통, 흉통, 후각·미각 상실, 우울·불안, 발열 등이 주요 증상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오사카 의과대학에 '롱코비드 공동 연구실'(Joint Research Laboratory for Long COVID)을 설립했다. 오는 2027년 2월까지 코로나 경증 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5일간 조코바를 투여한 후 롱코비드 증상 완화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앞서 진행한 조코바 임상 2/3상에서 롱코비드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시오노기제약이 추가 연구에 나선 배경이다. 현재 후생노동성,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규제기
[더구루=한아름 기자] 동아에스티(동아ST) 미국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aceuticals·이하 뉴로보)가 비만 치료제 'DA-1726' 개발을 본격화한다. 현재 미국에서 임상1상 환자 모집 절차를 진행 중이다. 4일 마이애미 임상연구센터(Clinical Pharmacology of Miami)에 따르면 알렉산더 프레지오소(Alexander Prezioso) 박사가 DA-1726에 대해 IRB(임상시험윤리위원회) 승인을 결정했다. IRB는 의료기관 내 교수들로 구성된 위원회로 안전하고 적법한 임상시험인지를 심의하는 기구다. 기업이 임상시험 환자를 모집하려면 사전에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의료기관들의 IRB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뉴로보는 오는 2분기까지 임상 1상에 참가하는 첫 번째 환자를 등록하고 투약에 나설 예정이다.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비만 환자 81명을 모집해 파트1, 파트2로 나눠 연구를 진행한다. 파트1에서는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4주간 DA-1726과 위약(가짜약)을 단회용량상승(SAD) 방식으로 투약한다. 단회용량상승이란 1회 투여 용량을 늘려가는 시험 방식을 말한다. 파트2는 36명을 대상으로 다중용량상승(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세포치료제 연구 기업 에스바이오메딕스가 배아줄기세포 기반 파킨슨병 치료제(TED-A9)의 국내 임상 1/2a상 투약을 완료했다. 올 상반기 내 1/2a 중간 결과를 발표하고 자체 개발을 이어가는 동시에 기술협력 파트너사 모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4일 에스바이오메딕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ED-A9 임상 1/2a상 투약을 마쳤다. 데이터 분석·환자 모니터링 등 후속 작업에 착수했다. 앞서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지난해 연세세브란스병원 등에서 50세 이상 75세 이하의 파킨슨병 환자 12명을 모집했다. 환자들은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지 5년 이상 지났으며, 운동이상증 등 합병증을 호소했다. 회사는 저용량 그룹 6명, 고용량 그룹 6명에게 TED-A9를 투여했다. 임상 데이터 분석과 함께 향후 3년간 안전성·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TED-A9 후속 연구 등 넥스트 스텝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허가 및 판매는 물론 기술수출 파트너사 모집 등 투트랙 전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TED-A9는 배아줄기세포 유래 파킨슨병 치료제로 아시아 최초 임상을 승인받았다는 점에서
[더구루=이연춘 기자] 한국콜마홀딩스는 항암 신약 개발 전문기업 프로엔테라퓨틱스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 이에 따른 협약을 맺었다. 프로엔테라퓨틱스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신약개발 기업 중 항체 기능 부위 개발에 대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ADC에 최적화된 암 항원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개발하는 플랫폼 기술인 ArtBodyTM(아트바디)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프로엔테라퓨틱스의 독점적 플랫폼 기술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홀딩스는 프로엔터라퓨틱스에 전략적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이번 투자는 한국콜마홀딩스가 홍릉강소특구사업단과 공동으로 주관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서 기술력, 시장성 및 후속 협력 가능성 등을 평가해 유망 기업 발굴과 투자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진행됐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전략적 투자와 함께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의 일환으로 계열사인 HK이노엔과 프로엔테라퓨틱스 간의 공동 개발 프로젝트 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고형암 치료용 CAR-T 신약 공동 개발 계약이 체결됐다. 추가로 후속 공동 개발 프로젝트 협력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보건의약 전문 언론 메드시티 뉴스(MedCity News)가 올해 헬스테크 AI(인공지능)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7가지 트렌드를 선정·공개했다. 2일 메드시티 뉴스에 따르면 올해 주목해야 하는 헬스테크 AI 트렌드 중 하나는 EHR(전자건강기록) 통합이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에픽의 협력이 있다. 양사는 임상의와 환자의 대화 프로세스를 간소화 할 수 있는 AI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이미징 기술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영상의학은 의료 기술 발전의 리트머스 시험지 역할을 해왔는데 머신러닝과 AI도 예외는 아니다. 방사선과에선 텍스트와 이미지를 혼합하는 대규모 멀티 모달 모델이 도입됐다. 데이터 유연성도 포함됐다. 의료 업계는 변화가 느린 곳으로 악명이 높은데 생성형 AI도 마찬가지다. 생성형 AI는 실제 임상 연계 여부와 관계 없이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환자와 의료진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AI와 사전승인 규정도 업계 화두다.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는 오는 2026년 시행되는 새로운 CMS 4201-F 규칙을 발표해 보험사의 의사 결정 시간을 앞당길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AI에 대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진제약이 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에 전략적 투자에 나섰다. 치매 및 뇌졸중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삼진제약은 29일 뉴로핏에 전략적 투자자(SI)로 1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삼진제약은 이번 투자를 통해 풍부한 연구 자원과 인프라에 뉴로핏 뇌영상 분석 기술력을 접목해 성과를 창출하겠다는 복안이다. 뉴로핏은 AI기반으로 뇌질환 진단 및 치료 등 전 주기에 걸친 뇌영상 분석 솔루션을 연구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현재 알츠하이머병 신약과 치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치매와 뇌졸중 관련 진단·치료기기 상업화에 드라이브를 걸 방침이다. 최용주 삼진제약 대표는 "뇌 영상 분석에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뉴로핏과의 전략적 파트너를 시작으로 향후 장기적인 상호 협력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에너지부(DOE)와 손잡고 양자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양자 프로세서의 통합을 위한 기반을 마련, 차세대 하이브리드 컴퓨팅 시장을 선점하고 주도권을 강화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와 손잡고 AI 금융 서비스 시장에 진출했다. 앤트로픽은 동시다발적으로 파트너사를 확보하며 기업용 AI 금융 서비스 부문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