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인공지능(AI) 분야 리더들이 '비(非) 엔비디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엔비디아를 대체할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술을 개발해 공급망을 다변화, AI 컴퓨팅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주를 저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미국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스타트업 '텐서웨이브(TensorWave)'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비욘드 쿠다 서밋(Beyond CUDA Summit)'을 개최했다. 새로운 솔루션을 통해 엔비디아의 GPU 개발 플랫폼 '쿠다(CUDA)'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독립적인 AI 생태계를 꾸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총출동했다.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CEO) △라자 코두리 전 인텔 AXG그룹 수석부사장 겸 미히라AI CEO △라민 로안 AMD AI 부문 부사장 등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이밖에 메타, 오픈AI 등의 관계자들이 다수 참여해 기술 시연, 패널 토론 등을 진행했다. 특히 쿠다의 대체 플랫폼으로 거론되는 △ROCm △OpenCL △oneAPI △Vulkan 등을 소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혼다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대응을 위해 토요타와 손을 잡았다. 토요타가 미국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대량 공급받는다. 인디애나주에서 생산 예정인 차세대 시빅 하이브리드 모델부터 탑재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혼다는 미국 인디애나 자동차 생산 공장에 토요타 노스캐롤라이나 배터리 공장에서 내달부터 본격 생산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혼다는 지금까지는 일본과 중국에서 생산된 하이브리드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했었다. 혼다와 토요타의 하이브리드차량용 배터리 공급 계약 규모는 약 40만 대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혼다의 일본 연간 하이브리드차 판매량과 맞먹는 수치이다. 토요탙의 미국산 배터리는 혼다 인디애나주 그린스버그 공장에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혼다가 관세 대응 차원에서 차세대 시빅 하이브리드차량을 그린스버그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혼다는 그린스버그 공장 외 오하이오주 메리스빌과 이스트 리버티, 앨라배마주 링컨에도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월 완공된 토요타 노스캐롤라이나 배터리 공장은 총
[더구루=홍성일 기자] 닌텐도의 차세대 휴대용 콘솔게임기 '스위치2'가 전작을 뛰어넘는 첫 해 판매량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6월 말 출시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등장과 동시에 '판매 흥행'이 점쳐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는 18일(현지시간)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2025(GDC 2025)에서 닌텐도 스위치2가 올해에만 1500만 대 이상 판매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다만 닌텐도 스위치2는 여전히 정확한 출시 날짜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마지막 글로벌 체험회 행사가 6월 1일 종료되는 만큼 6월 말 출시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월간 300만 대가 넘는 '역대급' 판매 대수가 점쳐지는 것이다. 옴디아가 닌텐도 스위치2의 역대급 흥행을 전망한 것은 퍼스트 파티 게임 라인업 때문이다. 닌텐도는 스위치2 출시와 함께 8년만의 마리오 카트 신작을 출시하고 3D 마리오, 메트로이드 프라임 4, 포켓몬 레전드 Z-A 등도 선보일 예정이다. 옴디아는 강력한 퍼스트 파티 게임 라인업이 신규 이용자 유입은 물론 기존 이용자의 교체 수요까지 흡수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봤다. 한편
[더구루=정예린 기자] 영국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 시스템이 해킹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인포테인먼트시스템(IVI) 해킹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자동차 업계 보안 취약점이 수면 위로 떠오르며 보안 강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인포스틸러리포트(Infostealers Reports) 등 해외 보안 전문 매체에 따르면 최근 재규어랜드로버가 해커 그룹 2곳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아 민감한 데이터가 대량으로 유출됐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차량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 연구개발(R&D) 문서, 내부 운영 자료, 직원·협력업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해커 그룹 '헬캣(HELLCAT)'이 가장 먼저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망을 침해해 약 700개의 내부 문서를 유출했다. 이후 'APTS'라는 또 다른 해커 그룹이 같은 계정을 이용해 침입, 추가적으로 350기가바이트(GB) 규모에 달하는 주요 데이터를 빼돌렸다. 이들은 재규어랜드로버 파트너사 직원이 사용하던 아틀라시안(Atlassian)의 업무용 협업 플랫폼 '지라(Jira)' 계정을 이용해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망에 접근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직원의 PC가 데이터를 탈취하는 룸마(Lumma)
[더구루=김은비 기자] 베트남이 '세계 반도체 패권 전쟁'에 참전한다. 7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첫 반도체 웨이퍼 팹을 건설한다. 베트남을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케 하기 위한 행보가 본격화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최근 약 12조8000억 동(약 7300억원)을 투자하는 웨이퍼 팹 건설 프로젝트를 공식 승인했다. 이 웨이퍼 팹은 베트남 최초의 반도체 제조 시설이다. △방산 △인공지능(AI) △첨단 기술 등을 위한 반도체 칩을 생산할 전망이다. 2030년까지 1단계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베트남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총 투자액의 최대 30%인 10조 동까지 직접 자금을 지원한다. 나머지 금액은 세금 혜택 등 방식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팹 건설은 베트남이 내놓은 중장기 반도체 3단계 발전 전략 중 첫 단계다. 베트남 정부는 2050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연결고리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자급자족형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2024~2030년에 이르는 1단계에서는 100개의 설계기업과 1개의 소규모 반도체 칩 제조공장, 10개의 패키징·테스트 공장을 설립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운송업체 등록 작업을 완료했다. 테슬라는 운송업체 등록에 이어 무인 로보택시 운행을 위한 추가 승인작업을 가속해 상용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캘리포니아 공공사업위원회(CPUC)는 테슬라가 지난해 11월 신청한 운송업체 허가(transportation charter-party carrier permit, TCP) 라이선스를 승인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TCP 라이선스를 보유한 기업은 캘리포니아에서 '회사가 소유한 차량'에 '운전자를 탑승'시켜 '정해진 차선'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우버와 리프트는 운송 네트워크 회사(TNC)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TNC 라이선스 보유 기업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 차량'을 사용하는 운전자와 승객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테슬라는 자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운송 서비스를 시작하고 향후 일반 승객으로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테슬라는 로보택시 상업화에 필요한 추가 라이선스 획득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2025년 중으로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무인 승차
[더구루=김형수 기자] '10조원 규모' 글로벌 골질환 치료제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된다. 아이슬란드 바이오기업 알보텍(Alvotech)이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 이들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다. 알보텍이 승인에 K-바이오 양대산맥인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알보텍은 19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AVT03'에 대한 생물학적 의약품 품목허가(Biologic License Application) 신청서를 접수했다. BLA 심사기간은 통상 약 10개월로 이르면 연내 허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알보텍은 미국에 60mg/mL·70mg/mL 등 두가지 용량의 사전충전형주사기(Prefilled Syringe) 형태로 AVT03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알보텍은 앞서 지난해 10월 유럽 의약품청(EMA)이 AVT03에 대한 판매 허가 신청서(Marketing Authorization Application)를 접수했다. 지난해 7월 AVT03의 효능∙안전성∙면역원성 등이 우수하다는 확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인 중국 CATL가 2세대 나트륨(Na) 이온 배터리 개발에 착수했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리튬철인산(LFP) 배터리와 성능은 비슷하지만 비용은 저렴해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받는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최근 열린 투자자 관계 행사에서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현황을 공개했다. 성능 지표 역시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에 근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산 목표 시점은 2027년이다. CATL은 개발 이후 대규모 채택이 이뤄지면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LFP 배터리보다 일정한 비용 이점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생산해온 CATL은 2세대 배터리 개발로 가격 경쟁력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제공하며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한다는 계획이다. CATL은 2021년 7월에 높은 에너지 밀도와 빠른 충전 기능, 우수한 열 안정성 및 저온에서 강력한 성능을 특징으로하는 1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출시했다. 이 배터리 셀은 160Wh/kg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실온에서 단 15분 만에 80% 이상 충전할 수 있다. 영하 20°C의 조건
[더구루=홍성일 기자]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아이온큐(IonQ) CEO를 만난다.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20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혀 양자컴퓨팅 기업 주가를 폭락시켰던 젠슨 황 CEO는 글로벌 양자컴퓨팅 리더가 총출동하는 자리에 함께해 현재 양자컴퓨팅 기술 수준과 향후 전망 등에 새로운 시각을 보여줄 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는 20일(현지시간) GTC 2025에서 제1회 '퀀덤데이(Quantum Day)'를 개최한다. 퀀텀데이는 양자컴퓨팅 전문가 대담을 비롯해 개발자 세션, 교육 세션 등으로 구성된다. 퀀텀데이의 핵심 행사는 젠슨 황 CEO와 피터 채프먼(Peter Chapman) 아이온큐 CEO 등 글로벌 양자컴퓨팅 리더가 총출동하는 오프닝 대담 이벤트다. 오프닝 대담은 한국시간 21일 오전 2시부터 4시까지 2시간동안 진행되며,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전세계에 실시간 중계된다. '양자컴퓨팅의 현재와 미래(Quantum Computing: Where We Are and Where We’re Headed)'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오프닝 대담 이벤트에는 젠슨 황 CEO와 피터 채프먼 아이온큐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이하 팔란티어)가 아랍에미리트(UAE) 방산시장에 진출한다. UAE 국방부가 인공지능(AI) 도입과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기회를 모색하는 가운데 팔란티어와 협력을 도모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UAE 국방부(MoD)는 최근 팔란티어와 만나 UAE 군대 내에서 AI 기반 방위 분석 통합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UAE 국방부와 팔란티어 간 논의 상황과 주요 합의분야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양측은 이번 협의로 UAE 국방부와 팔란티어 간 AI 기반 국방 협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회동은 UAE의 방위 현대화와 기술 발전, UAE군의 역량 강화 목표와도 일치한다. UAE 국방부는 지난 2023년에 발간한 국가방위전략(The National Defence Strategy)에서 국방 우선순위로 AI 도입, 미래전 대응, 사이버 보안능력 강화 등을 꼽았다. UAE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 도입해온 AI를 국방 분야에서도 도입해 미래의 도전에 대비하고 있다. 막툼 빈 모하메드 알 막툼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전기 파워트레인 시스템 자회사를 설립한다. [유료기사코드] 패러데이퓨처는 19일 세계 최초 인공지능(AI) 하이브리드 확장형 전기 파워트레인 시스템 자회사인 '퓨처아이허(Future AIHER)'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퓨처아이허는 AI 하이브리드 확장형 시스템(AI hybrid extended-range·AIHER) 시스템과 AI 확장형 시스템 등 두 개 핵심 제품을 설계·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포괄적인 파워트레인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AIHER 시스템은 하이브리드와 레인지 익스텐더(내연기관이 발전기로 작동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를 융합한 것으로, 레인지 익스텐더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구동이 보조적 역할을 한다. 패러데이퓨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지연된 전력 공급과 약한 성능, 제한된 인텔리전스 기능, 높은 비용 등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다"면서 "우리의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이팅이 설립한 전기차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가성비'를 앞세워 일본 시장에서 '역대급 점유율'을 기록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현재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망 확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8일 AMD 일본법인에 따르면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일본 시장 점유율은 45%에 도달,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역대급 일본 시장 점유율은 '높은 가성비'와 경쟁 모델의 공급 부족으로 가능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경쟁 모델인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카드에 비해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량을 늘려왔다. 실제로 2023년 출시된 RX 7800 XT의 경우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70과 유사한 성능을 보여줬다. 반면 가격은 RX 7800 XT가 60만원 중반대 형성된데 비해 RTX 4070은 80만원대 중반대에 형성, 20만원 가량 차이가 났다.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카드 공급 부족도 라데온 그래픽카드 점유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RTX 50 시리즈 출시를 위해 RTX 40 시리즈 GPU 생산을 줄였다. 이에 시중에 풀린 RTX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국영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Rapidus)'가 2나노미터(nm) 반도체 시제품 생산에 성공한 가운데 본격 양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라피더스가 반도체 파운드리 시작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고객사 확보 등의 난제를 해결해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라피더스는 생산 라인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계약 물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이케 아츠요시 라피더스 최고경영자(CEO)도 "시제품 생산이라는 성과를 올렸지만 대량 생산으로 가는 길은 험난할 것"이라고 밝혔다. 라피더스는 지난달 18일 홋카이도 지토세 팹에서 생산한 2나노미터 공정 트랜지스터 시제품을 공개했다. 이는 2010년 이후 일본이 자국 내에서 최첨단 반도체를 생산한 첫 사례로 기록됐다. 라피더스가 생산한 시제품은 삼성전자도 채택한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라피더스는 인공지능(AI) 기반 완전 단일 웨이퍼 포론트엔드 공정 적용으로 수율을 높이는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공정은 단일 웨이퍼에 대한 조정과 검사를 수행하고, AI모델에 학습시켜 후속 웨이퍼에 모두 적용하는 기술이다. 라피더스는 내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승차공유 기업 우버(Uber)의 화물운송 사업 부문인 '우버 프레이트(Uber Freight)'의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와비(Waabi)에 합류했다. 와비는 업계 베테랑 영입을 토대로 올해 말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르 론(Lior Ron) 우버 프레이트 CEO가 와비의 최고운영책임자(COO)에 임명됐다. 우버 프레이트 후임 CEO는 테슬라 슈퍼차징 팀을 총괄하다 지난해 8월 우버에 영입된 레베카 티누치(Rebecca Tinucci)가 맡게 됐다. 리오르 론은 우버 프레이트 이사회 의장직은 유지한다. 리오르 론은 과거 이스라엘 군 정보부에서 근무했으며 야후를 거쳐 구글, 모토로라를 거쳐 2016년에는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오토(OTTO)를 공동창업했다. 오토는 설립 8개월여만에 우버에 인수되며 현재의 우버 프레이트가 됐다. 리오르 론은 이후 우버 프레이트를 이끌면 자율주행 트럭 기술 연구를 진두지휘해왔다. 리오르 론을 영입한 와비는 2021년 라켈 우르타순(Raquel Urtasun)이 설립한 자율주행 트럭 기술 개발 스타트업이다. 와비는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