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대만 노선에 '하늘 위 호텔' 이라 불리는 초대형 항공기 에어버스 A380을 띄운다. 지난 2020년 2월 A380을 투입한 이후 3년 만의 복귀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달 1일부터 3월 25일까지 '인천~타이베이' 노선에 A380을 투입한다. 대한항공은 해당 노선에 1일 1편만 A380으로 운항한다. 그동안 운영비용이 많이 들어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A380이지만 여객 수요 증가로 재도입한다. 인천~타이베이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짧은 A380 노선으로, 대만의 유일한 A380 서비스가 된다. 대한항공은 A380 투입은 증편 없이 좌석 수를 늘리는 효과가 있다. 최고급 기재로 현존하는 항공기 중 최대 인원을 수송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겨울 휴가철을 맞아 급증하는 여객 수요에 대비하고, A330과 B737기를 대체한다. 대한항공의 A380은 퍼스트 12석, 비즈니스 94석, 이코노미 301석 등 총 407석을 보유하고 있다. 즉, A380은 284석 A330-300 보다 비즈니스 좌석이 292% 더 많고 이코노미 좌석이 16% 더 많다는 얘기다. 또 총 138석의 B737-800을 A380으로 변경하면 판매할 좌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 국영 항공사 에어 인디아가 비스타라(Vistara) 항공과의 합병을 위한 규제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이미 타타그룹과 싱가포르항공 간 합의를 마친 상태로 오는 2024년 3월이면 항공당국 승인 등 합병 작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의 정기 해운사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가 미국 서부 해안 터미널 확보에 나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가 호주 위성을 발사한다. 해당 위성은 항공 교통 관리 위성을 통해 바다와 지방, 농촌 지역도 포괄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스타트업 라이즈 에어로 테크놀로지가 농업용 에어택시 라이즈 리콘(RYSE RECON)을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에 선보인다. CES에서 최초 eVTOL 비행 시연 수행과 라이즈 리콘의 쉬운 작동을 보여준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 스타트업 에어(AIR)가 개인 수송 항공기의 상용 버전을 향해 한 걸음 더 내디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도심항공교통(UAM) 전문기업 영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가 카자흐스탄(이하 카자흐)에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생산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이치엠엠(HMM)이 가입한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가 내년 4월 네트워크를 확정했다. 새 노선은 북유럽, 지중해, 미국 동부 해안 서비스로 선박 업그레이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 미국과 인천항을 잇는 미주직항 서비스인 PS8(Pacific South 8) 노선에서 아시아~태평양 북부 해안으로의 노선을 삭제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디얼라이언스는 오는 4월 아시아에서 북유럽, 지중해 및 미국 동부 해안 서비스를 확정했다. 디얼라이언스에는 HMM 외 하팍로이드, 원(ONE), 양밍해운 등이 있다. 이번 노선은 하팍로이드의 소형 선박을 대체하기 위해 아시아-북유럽 무역로에 2만3500TEU 신조 울트라 컨테이너선(ULCV)를 배치한다. 대우조선은 내년 4월쯤 LNG추진 ULCV 6척을 인도할 예정이다. 로프 하벤 얀센(Rolf Habben Jansen) 하팍로이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로 아시아-북유럽 교역로에서 슬롯 비용을 줄이고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네트워크 하이라이트는 하팍로이드가 아시아-지중해 항로와 아시아와 미국 동부 해안 사이의 태평양 횡단 항로에 1만4000~1만5000TEU 선박을 추가한 것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가 해상 물류 통로로 개척 중인 북극해(NSR) 항로의 화물 운송량이 올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전망이다.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은 올해 북극해 항로를 통한 화물 운송량이 3200만t을 초과하며 연말까지 올해 목표를 달성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로사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3일까지 북극해 항로를 통과한 선박은 총 5200만t에 달했다. 화물별로 △천연가스·가스콘덴세이트 2050만t △석유·석유제품 720만t △석탄 29만t 등이었다. 북극해 항로는 북극권 카르스키예 해협에서 추코트카 자치구의 프로비데니야만까지 약 5600㎞에 이른다. 러시아는 1978년 5월 북극해 항로에 쇄빙선 2척을 투입하며 정기적인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1998년 140만t에 불과하던 북극해 항로 운송량은 해마다 늘어 작년에는 3000만t 이상으로 증가했다. 북극해 항로 운송 품목 대부분은 원유·석유제품,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에너지 자원이다. 북부 시베리아 지역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등을 다량으로 생산하는 러시아는 북극해 항로를 성공적으로 개척하면 기존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등으로 공급망을 확충할 기회를 얻는다. 또 수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인 경찰이 사용할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가 처녀 비행을 했다. 경찰은 eVTOL를 사용해 도달하기 어려운 장소에 도달하거나 긴급, 공공 안전 임무에 배치할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어뉴질랜드가 무공해 항공기 개발 파트너 4곳을 선정했다. 오는 2050년까지 항공기 운항 탈탄소화를 목적으로 이들과 협력해 무공해 항공기 시험 비행을 시작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의 항공 모빌리티 스타트업 범블비가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제조를 위해 자금을 모았다. 내년 4월에 시제품을 출시해 오는 2024년까지 인증 모델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