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론 손더스(Aaron Saunders) 보스턴다이내믹스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의 재설계 과정을 공개한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아틀라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후 현대차 공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현장에 아틀라스를 투입하고 양산 준비에도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아론 손더스 보스턴다이내믹스 CTO는 오는 4월30일(현지시간) 보스턴에서 개최되는 로보틱스 서밋&엑스포(Robotics Summit & Expo) 2025에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로보틱스 서밋&엑스포는 매년 로보틱스 분야 전문가 5000여명 이상이 모여 진행하는 콘퍼런스다. 올해 행사는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보스턴 컨벤션&익스히비션 센터에서 진행된다. 손더스 CTO는 '아틀라스 재설계: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생각하는 휴머노이드 미래(Redesigning Atlas: Boston Dynamics on the Future of Humanoids)'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그는 기조연설을 통해 아틀라스를 처음부터 어떻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공매도 투자자가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의 중형 발사체 출시가 지연될 것이란 부정적인 분석을 내놨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공매도 업체 블리커스트리트리서치(Bleecker Street Research)는 26일 로켓랩 공매도 보고서를 내고 "이 회사는 중형 로켓인 뉴트론이 올해 발사될 가능성에 대해 투자자를 크게 오도했다"며 "우리가 인터뷰한 로켓 전문가들은 뉴트론 발사 일정이 빨라야 내년 중반으로 1~2년 늦춰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뉴트론은 스페이스X 팰컨9와 직접 경쟁하게 될 중형 발사체다. 약 40m 길이의 재사용 가능한 중형 발사체로 8t의 무게를 궤도에 올릴 수 있다. 뉴트론 발사에 성공해야 위성 발사 서비스 시장에서 스페이스X와 경쟁할 수 있다. 아울러 로켓랩이 목표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도 성장할 수 있다. 블리커스트리트는 "뉴트론은 엔진 개발·생산, 발사대 건설, 로켓 수송 등 여전히 필요한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온다"면서 "아울러 뉴트론의 가장 수익성이 높은 잠재적 계약의 경우 1년 이상 실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뉴트론이 발표한 유일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프랑스 주류기업 페르노리카(Pernod Ricard)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진(Gin) 전문 주류기업 인베로슈(Inverroche)를 품었다. 아시아, 유럽·중동, 아메리카 등 기존 주요 시장 사업이 어려움을 겪으며 실적 부진에 빠지자 아프리카로 글로벌 시장을 다변화하고 반전의 계기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페르노리카가 인베로슈 지분 100%를 확보했다. 인베로슈는 페르노리카 아프리카 1호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다만 페르노리카가 인베로슈 완전 인수를 위해 투입한 자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로나 스콧(Lorna Scott) 인베로슈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페르노리카 인수 이후에도 인베로슈의 지휘봉을 잡고 회사를 이끌 예정이다. 로나 스콧이 2011년 설립한 인베로슈는 아프리카 특색을 살린 진을 선보이며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진 전문 주류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나미비아, 보츠와나, 나이지리아 등 17개국에 진을 수출하고 있다. 인베로슈는 남아프리카에서 약용으로 쓰이는 식물 핀보스(Fynbos)를 넣어 양조한 진을 여럿 선보이고 있다. 감귤과 사과 등의 풍미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미국 인텔·구글 등 글로벌 반도체·인공지능(AI) 기업들이 베트남에 집결한다. 베트남 정부 기관이 주최하는 컨퍼런스에 참석해 최신 기술과 통찰력을 공유한다. 정부 주도로 반도체·AI 투자를 지원하는 베트남 시장에서 기회를 발굴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국가혁신센터(NIC)와 하노이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국제 인공지능(AI)-반도체 컨퍼런스(International AI-Semiconductor Conference , 이하 AISC)'가 내달 12~16(현지시간) 베트남 수도 하노이와 다낭에서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는 AI 시대를 맞아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기술 진보를 살피고, 베트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기획됐다.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와 미국 산업용 AI 회사 '아이토매틱(Aitomatic)'이 공동 주최한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혁신의 미래: 전 세계적으로 AI와 반도체를 연결하는 것(Innovating Futures: Bridging AI & Semiconductors Globally)'이다. 12일부터 3일간 하노이, 15일부터 이틀간 다낭에서 기조연설과 패널 토론, 경영진 원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체 개발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Majorana) 1'을 공개한 가운데 업계 안팎에서 회의론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경제 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 대표 이론물리학자인 존 프리스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양자 정보 및 물질 연구소 소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로드맵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위상적으로 보호된 큐비트를 입증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설명했다"면서 "이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증거는 없었다"고 적었다. M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위상초전도체'를 사용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 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마요라나 1'은 손바닥만 한 크기로 초전도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양자 컴퓨팅 칩과 달리 '위상적(topological) 큐비트'로 개발됐다. 이 큐비트는 모양이 변해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차세대 초전도 큐비트로 꼽혀 왔다. 0 또는 1의 '비트'로 정보를 처리하는 일반 컴퓨터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 얽힘 상태인 큐비트를 활용한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 최대주주 프로서스(Prosus)가 음식배달전문업체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Just Eat Takeaway) 품는다. 최첨단 기술을 토대로 차별화된 배달 서비스를 선보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 인수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결정이다. 프로세스는 딜리버리히어로의 지분 27%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유료기사코드] 프로서스는 24일(현지 시간)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와 인수 관련 조건부 계약(Conditional Agreement)을 체결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Euronext Amsterdam)를 통해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가 발행한 주식 전량을 매입한다는 게 계약의 주요 골자다. 향후 네덜란드 당국의 승인 획득 절차 등을 거쳐 거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는 2000년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회사다. 현재 네덜란드를 비롯해 영국·독일·이탈리아·캐나다·호주 등 전세계 17개국에서 배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진출 국가 대부분에서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다. 프로서스는 주당 20.30유로(약 3만400원)에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 지분 전체를 사들
[더구루=홍성일 기자]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를 예고한 앤트로픽(Anthropic)의 기업 가치가 급등했다. 앤트로픽은 당초 펀딩 목표를 뛰는 투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24일(현지시간) 앤트로픽이 현재 진행 중인 펀딩을 통해 615억 달러(약 88조원) 가치를 인정받아 35억 달러(약 5조원)를 조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당초 목표였던 기업가치 600억 달러(약 85조 8780억원), 20억 달러(약 2조 8630억원) 조달 목표를 상회하는 결과다. 앤트로픽의 대규모 펀딩은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하고 있으며 멘로 벤처스,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제너럴 카탈리스트, MGX 등 글로벌 자본들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앤트로픽의 기업가치가 당초 목표를 상회하게 된 것은 오픈AI, xAI 등과 경쟁할 수 있는 경쟁력과 AI 부문 투자 열풍이 시너지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앤트로픽은 2023년 3월 첫 거대언어모델(LLM) 클로드를 출시한 이후 그 해 7월 클로드 2를 출시했다. 지난해 3월에는 클로드 3를 선보였으며 6월에는 클로드 3.5 소네트, 10월에는 클로드 3.5 하이쿠 등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기업 론(RONN)이 국내 수소 개발 사업에 참여한다. 론은 24일(현지시간) 합작투자(JV) 파트너인 HES(Hydrogen Energy Systems)가 한국 대형 화학회사와 대규모 수소·암모니아·질소·요소 등을 생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와 관련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사업비는 3억5500만 달러(약 51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사업명을 비롯해 구체적인 정보는 규제 승인을 획득한 이후 공개할 예정이다. 론과 HES는 △설계·엔지니어링 및 프로젝트 관리 △견적 평가 및 하청 결정 △재무 보고 및 컨설팅 △PEM 전해조 제조 및 설치 등을 담당한다. 론은 미국 애리조나주(州)에 기반을 둔 수소기업이다. HES는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분야 글로벌 혁신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계약은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목표에 있어 거대한 도약"이라며 "두 회사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텔 자율주행 자회사 '모빌아이(Mobileye)'가 연내 차세대 센서로 낙점한 이미징 레이더를 출시한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역량을 강화해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긴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모빌아이는 올해 이미징 레이더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모빌아이의 자율주행 프로세서 '아이큐(EyeQ)'로 구동되는 카메라 기반 ADAS와 이미징 레이더를 조합해 더욱 정교한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한다. 모빌아이는 이미징 레이더를 통해 레벨 3~4 수준의 자율주행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기존 카메라 기반 ADAS에 이미징 레이더까지 더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율주행 레벨 3는 고속도로나 차량 정체 시 등 제한적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시스템이 요구하면 운전자가 즉시 개입해야 한다. 레벨 4는 지정된 도로나 속도 등 특정 환경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운전할 수 있는 고도 자율주행이다. 새로운 이미징 레이더를 출시해 신규 수주 확보에도 적극 나선다. 모빌아이는 현재 BMW, 폭스바겐, 지리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의 차세대 파운드리 미세공정 18A(1.8나노미터, nm) 수율이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IFS)는 기술적 문제 외에도 다양한 문제로 추가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밍치궈(Ming-Chi Kuo)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24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IFS의 18A 공정에서 생산된 첫 번째 팬서레이크(Panther Lake) 엔지니어링 샘플이 주요 PC ODM(위탁생산), EMS(전자 제조 서비스) 업체에서 테스트 중"이라며 "2025년 초 조사에 따르면 18A 공정 수율은 20~30% 미만으로 아직 개선할 여지가 많다"고 밝혔다. 팬서레이크는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인텔의 차세대 모바일 중앙처리장치(CPU)로 18A 공정에서 생산되는 첫 제품이다.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수율이 60%를 넘어야 안정적인 납기가 가능하다고 보고있다. 20~30% 수율은 대량 양산이 불가능한 수준의 수율이다. 18A 공정은 지난해 4분기 양산 예정이던 2나노미터(20A) 공정 개발을 취소하면서 인텔이 집중해온 차세대 반도체 미세공정으로 네덜란드 ASML에서 개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모델S와 모델X 라인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미래 성장 목표와는 동떨어졌다는 점에서 '계륵'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여전히 브랜드 대표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높게 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라스 모라비 테슬라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23일(현지시간) 팟캐스트 '라이드 더 라이트닝'(Ride the Lightning)에 출연해 "모델S·모델X를 라인업에서 제거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향후 출시 계획에 대해서는 "몇 년 전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구조와 아키텍처 측면에서 큰 개선을 이뤘다"며 "올해 말 모델3와 모델Y에 적용된 기능 중 일부를 가져와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대대적인 제품 개선을 예고했다. 특히 모라비 부사장은 이들 모델이 자율주행과 로보택시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자율주행과 로보택시 활용을 고려할 때 모델S는 전반적인 품질이 좋고, 모델 X는 실내 공간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모라비 부사장의 이번 팟캐스트 출연으로 그동안 이어지던 모델S·모델X 단종설은 일축됐다. 이들 모델에 대한 단종설은 지난 2023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테슬라가 이들 모델 우핸들 버전 생산을 중단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우라늄에너지코퍼레이션(Uranium Energy Corp, 이하 UEC)이 우라늄 채굴에 이어 생산에 본격 나섰다. 와이오밍주 플랜트에서 우라늄 농축물 가공부터 포장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테라파워'의 원료 조달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5일 UEC에 따르면 이 회사는 와이오밍주 이리가레이 중앙 처리 플랜트(Irigaray Central Processing Plant, 이하 이리가레이 CPP)에서 우라늄 농축물을 성공적으로 가공·건조하고, 드럼통에 포장까지 완료했다. 이는 이리가레이 CPP를 가동한 지 약 6개월 만이다. UEC는 지난 2021년 러시아 국영 원전 기업 로사톰으로부터 우라늄 원 아메리카스(Uranium One Americas Inc)를 인수하며 와이오밍 공장도 확보하게 됐다. 작년 초 이사회에서 이리가레이 CPP에서 우라늄을 처리하도록 승인했다. 이어 9월 와이오밍 환경품질부로부터 생산능력을 연 250만 파운드에서 400만 파운드로 늘리도록 허가를 획득하며 이리가레이 CPP 재개에 나섰다. 이리가레이 CPP는 2018년 마지막으로 우라늄을 생산한 것으로 알려졌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카드게임 시장이 10년 만에 3배 가까이 성장하며 3000억 엔 규모를 돌파, 장난감 업계의 핵심 동력으로 떠올랐다. 과거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카드게임에 막강한 구매력을 갖춘 성인 '키덜트(Kidult)' 세대가 유입되며 전성기를 맞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코트라 오사카무역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회계년도 기준(2024년 4월~2025년 3월) 일본 내 카드게임 및 트레이딩 카드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 기준 전년 대비 9.0% 증가한 3024억엔(약 2조8270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960억엔(약 895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수치로, 같은 기간 완구 시장 전체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전을 즐기는 오락의 한 형태인 카드게임이 성장하는데는 키덜트 세대의 유입이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다. 1996년 '포켓몬 카드 게임' 출시와 함께 유년 시절을 보낸 이들이 성인이 돼 경제력을 갖추면서 기꺼이 지갑을 열고있는 것. 이들의 등장은 15세 미만 어린이 인구가 10년간 약 12%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성장하는 배경이 됐다. 또한 △포켓몬 △원피스 등 강력한 지식재산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맹렬한 기세를 떨치고 있다. 지난 2023년 8월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약 2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200만명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성비'와 '빠른 배송'을 앞세워 동남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테무의 동남아 MAU가 2200만명에 도달했다. 특히 필리핀과 태국에서의 성장세가 무섭다. 두 국가의 MAU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동남아 전체 트래픽의 약 86%를 차지했다. 같은 중국 기반의 경쟁 플랫폼으로 동남아 시장에 먼저 진출한 쉬인(Shein)이 같은 기간 MAU가 9% 증가해 2400만명에 도달했지만 테무가 빠르게 격차를 좁히고 있다. 테무의 초저가 전략과 게임형 프로모션, 광범위한 제품 공급이 이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5년 동남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미국의 7%, 유럽의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무는 이처럼 낮은 소비력을 고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