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GS그룹 등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가상자산(가상화폐, 암호화폐) 운용사 하이퍼리즘(Hyperithm)이 웹3 생태계에 투자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했다. 하이퍼리즘은 9일 웹3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기존 주주를 포함한 기관 투자자들로부터 출자를 받아 100억엔(약 940억원) 규모의 펀드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하이퍼리즘은 웹3 펀드 조성 이전인 지난 4월에는 암호화폐 투자 펀드인 '하이퍼리즘 디지털 애셋 퀀트 펀드 I JPY(Hyperithm Digital Asset Quant Fund I JPY)'와 '하이퍼리즘 디지털 애셋 퀀트 펀드 I BTC(Hyperithm Digital Asset Quant Fund I BTC)'를 출시하며 블록체인 분야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장해왔다. 하이퍼리즘의 새로운 웹3 펀드는 유한책임조합원(LP)와 하이퍼리즘의 파트너 기업들이 투자했으며 일본, 한국, 미국, 싱가포르 등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웹3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검토할 계획이다. 하이퍼리즘 관계자는 "하이퍼리즘은 수학적 모델링과 토큰 이코노미가 핵심이 되는 웹3 프로토콜과 분산형금융(DeFi) 서비스를 중심으로 투자하여 사업영역을 확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지난달 테라 사태 이후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 판단 요인을 분석한 ‘테라 사태 이후 스테이블코인 안정성 점검’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 및 변화 방향과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 판단 시 고려할 요인들에 대해 분석했다. 정준영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지난달 테라USD(UST) 디페깅 사태는 스테이블코인의 양적 성장에 비해 수요처가 한정적이거나 대량의 자금이 급격히 이탈할 때 알고리즘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할 경우 내외부 충격이 악순환 고리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상자산 투자사 멀티코인 캐피탈(Multicoin Capital)이 정의한 ‘스테이블 코인 트릴레마’ 개념을 소개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세 가지 목표인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 탈중앙성은 서로 상충해 동시에 달성될 수 없다는 개념이다. 각 스테이블코인은 이 중 어떤 요소를 중시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UST가 자본 효율성에 특히 장점이 있었던 데 반해 이번 테라 사태를 계기로 가격 안정성에 대한 가치가 부각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연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래에셋벤처투자가 베트남 게임 퍼블리싱 스타트업 기업 '아포타'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아포타는 미래에셋벤처투자 등과 함께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한다. 아포타는 8일(현지시간) 미래에셋벤처투자가 주도하는 파이낸싱 라운드를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미래에셋벤처투자 외 전략적 파트너들이 참여했으며 조달 금액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아포타는 베트남 하노이에 본사를 둔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 업체다. 베트남 3대 게임 퍼블리싱 업계로 가입자 수가 5500만명에 달하며 페이스북 게이밍 크리에이터 네트워크의 공식 파트너사이기도 하다. 아포타는 광고 사업과 모바일 결제, 전자지갑, 스트리밍 등으로 사업으로도 범위를 확장하고있다. 아포타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아포타는 체인버스, 에이스스타터라는 2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체인버스는 개발자들이 블록체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하는 서비스로 다양한 게임에 블록체인 기능을 탑재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수백 개의 독립스튜디오들이 손쉽게 자신들의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에이스스타터는 가능성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두나무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함께 인도네시아 암호화폐 특화 선물 거래소 DFX의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는 핀투(Pintu)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미국에서 연 최대 18%의 수익률(APY)를 기록할 수 있는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를 출시했다. 바이낸스US는 7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자사의 스테이킹이 미국 내 암호화폐 회사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이라고 주장했다. 바이낸스의 스테이킹 서비스에는 현재 바이낸스 코인을 비롯해 솔라나, 아발라체, 코스모스, 더그래프, 라이브피어, 오디우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향후 지분증명 코인들을 리스트에 추가할 계획이다. 바이낸스는 자사의 스테이킹을 이용해 바이낸스 코인을 예치하면 연간 6.4%의 수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솔라나 4.50%, 아발란체 7.00% 등 이었다.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일 것으로 보이는 코인은 라이브피어로 연간 18%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스테이킹의 예치기간은 정해져있지 않으며 언제든지 코인 회수가 가능하다면서도 약간의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덧붙였다. 스테이킹이란 코인 소유자가 자신의 코인을 예치해 다음 블록을 검증하는 지분증명 과정에서 사용한다. 코인을 예치한 소유자는 유효성 검사를
[더구루=최영희 기자] 테이크원컴퍼니는 YG엔터테인먼트와 ‘좀비컬쳐클럽(Zombie Culture Club)’ NFT 프로젝트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좀비컬쳐클럽은 ‘지구 정화를 위해 행동하는 좀비들’이라는 역발상적 세계관을 가진 콘텐츠 NFT 프로젝트로, ‘BTS월드’ 제작사 테이크원컴퍼니, ‘지금 우리 학교는’ 제작사 필름몬스터, ‘두다다쿵’ 제작사 아이스크림스튜디오가 공동 추진 중이다. YG엔터테인먼트는 지누션, 1TYM, 빅뱅, 2NE1, 위너, 아이콘, AKMU, 블랙핑크, 트레저 등 정상급 아티스트를 배출해 온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독보적인 프로듀싱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아티스트들의 수준 높은 음악과 콘서트 무대는 K팝 위상을 높여왔으며, 배우 매니지먼트 역량 역시 뛰어나 다수의 한류 스타가 소속돼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엔터 지식재산권(IP)과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좀비컬쳐클럽’ 프로젝트는 지난 4월 SLL(구 JTBC스튜디오)와의 파트너십에 이어 글로벌 엔터사 YG와의 파트너십으로 콘텐츠 분야의 다양한 업종을 아우르게 됐다. 향후 테이크원컴퍼니를 포함한 ‘좀비컬쳐클럽’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아이오텍스(IoTex)'에 베팅했다. 블록체인 기술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향후 삼성전자 제품·서비스에 아이오텍스가 개발중인 플랫폼이 접목되는 등 양사 간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삼성전자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삼성넥스트'는 아이오텍스가 출범한 '머신파이 랩(MachineFi Lab)'의 1000만 달러 규모 시드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고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삼성넥스트가 드레이퍼 드래곤 펀드, 점프 캐피탈과 함께 주도한 이번 라운드에는 한화, 위메이드, DHVC, 비스타랩 등도 투자했다. 아이오텍스는 구글, 페이스북, 우버 등 글로벌 IT 기업 출신 경영진들이 지난 2017년 설립한 블록체인 기술 회사다. 실생활에 활용 가능한 머신파이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머신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결하고 이 과정에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자율주행, 3D 프린터 등 스마트·IoT 기기들과 블록체인 연결해 보상을 제공한다. 아이오텍스는 지난해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별도 조직인 머신파이 랩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스타트업이 완벽한 탈중앙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비트코인보다 약 1000배 빠른 속도를 내는 메인넷 개발에 성공했다. ‘블록체인 시장의 안드로이드’를 목표로 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 ㈜아티프렌즈(ArtiFriends)가 독자 개발한 3세대 블록체인 엔진 ‘사슬’(SASEUL)을 기반으로 약 4년간의 개발 기간을 걸쳐 첫 번째 퍼블릭 메인넷인 ‘사슬’(SASEUL) 메인넷을 정식 오픈했다고 8일 밝혔다. 아티프렌즈 이정우 대표는 “사슬 메인넷은 단순히 말하면 매우 빠른 비트코인이다. 사슬 프라이빗 내부에는 NFT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지만, 퍼블릭 메인넷에는 화폐의 송금 및 기록을 제외한 기능은 들어 있지 않다. 대신 완벽한 탈중앙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비트코인보다 약 1000배 빠른 속도를 낸다”고 설명했다. 아티프렌즈는 지난달 17일 메인넷의 안정성 등의 추가 테스트를 위해 1차 오픈 후 약 3주 정도 파이널 테스트를 거쳐 몇 가지 오류를 최종 수정했다. 현재 모든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퍼블릭 공개 서버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해도 메인넷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구축했다. ‘사슬’은 아티프렌즈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발행한 BNB 코인에 한 조사에 착수했다. 블룸버그는 6일(현지시간) SEC가 바이낸스가 2017년 진행한 'BNB' ICO(가상화폐공개)가 증권 거래 규칙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EC는 바이낸스US가 글로벌 본사와 분리된 정도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SEC가 이번 조사를 통해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은 2017년 바이낸스가 진행한 BNB코인 ICO가 규제기관에 등록을 요구하는 유가 증권 매각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SEC는 바이낸스의 설립과 BNB 코인의 기원부터 조사를 시작했으며 투자자들이 이익을 얻을 의도로 회사 또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가상화폐를 구매할 경우 SEC의 소관이 될 수 있느냐를 판단한다. SEC의 이번 결정은 1946년 미국 대법원의 판결에 기반한다. 바이낸스는 2017년 BNB 코인을 발행하며 1500만 달러(약 190억원)를 조달했다. 바이낸스는 총 2억개의 BNB 코인을 발행해 절반 가량을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ICO를 진행했으며 8000만 개는 바이낸스 창립자들이 소유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모금된 자금의
[더구루=최영희 기자] 가상자산 핀테크 전문기업 델리오)가 복수의 글로벌 가상자산 전문 투자 기관으로부터 약 7800억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로써 델리오는 한 층 안정화된 서비스 제공은 물론, 더욱 다양화된 가상자산 포트폴리오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델리오는 글로벌 가상자산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 글로벌 가상자산 투자펀드 ‘쓰리애로우즈캐피탈(Three Arrows Capital)’과 약 6억달러(한화 약 7733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델리오는 양사로부터 6억달러 규모의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테더(USDT)를 공급받게 됐다. 델리오는 확보한 재원을 활용해 현재 제공 중인 예치·렌딩(대출) 서비스의 취급 자산 확대와 대출 한도를 높이는데 우선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특히, 공급 계약을 체결한 블록파이와 쓰리애로우즈캐피탈이 대표적인 글로벌 가상자산 투자 기관인 만큼 향후 해외 시장 진출에 큰 시너지가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공급계약을 체결한 기업 중 하나인 블록파이는 미국 뉴욕에 소재한 글로벌 가상자산 대출 플랫폼 기업으로, 지난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메타버스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체코의 게임개발사를 인수하며 게임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NFT(대체불가토큰)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SFC는 6일(현지시간) NFT가 2차 시장의 비유동성, 큰 변동성, 불투명한 가격 책정, 해킹, 사기를 비롯한 다양한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SFC는 NFT 투자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잠재적 손실을 감수할 수 없다면 투자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NFT가 단순히 디지털 이미지, 예술 작품, 음악, 비디오 등 단순히 수집하는 형태라면 이는 수집품의 영역이기 때문에 SFC의 규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일부 NFT가 이 경계를 넘어 투자 수단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다양한 NFT가 스테이킹이 가능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킹이 가능한 NFT를 구매한 소비자는 자신이 소유한 NFT를 예치해 일부 지분을 획득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SFC는 이런 NFT를 집합증권투자(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CIS)보고 주목하고 있다. 이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향후 홍콩에서 NFT
[더구루=진유진 기자] 노르웨이 육상양식업체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이 유럽 가공업체 '밀라렉스(Milarex)'와 손잡고 이탈리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지속가능한 수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동원산업이 투자한 새먼 에볼루션이 유럽 내 육상 양식 연어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GF)가 독일 공장 증산을 공식화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증산을 통해 유럽 자동차 반도체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