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시중은행들이 현금 수송 1위 업체 한국금융안전 주식 매각을 추진한다. 먼저 IBK기업은행은 지난달 이사회 회의를 열고 ‘한국금융안전 주식 매각안’을 의결했다. 기업은행은 한국금융안전 주식 17만598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분율은 14.67%다. 주식 매각은 경쟁입찰방식으로 진행되며 주관사는 KB국민은행이다. 매각 가격은 외부평가기관이 객관적으로 산정한 주당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한국금융안전은 지난 1990년 6개 시중은행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기업으로, 은행 간 현금 수송이나 비밀문서 송수신 등을 처리하고 있다. 지난 2014년 하나은행이 지분을 팔고 나가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이 지분 약 60%를 보유하며 주요 주주로 있다. 국민·신한·우리·기업은행은 한국금융안전 내 노사 갈등과 적자 지속 등으로 인해 지분 매각을 시도하고 있다. 실제 김석 한국금융안전 대표는 주52시간 제도와 관련해 노조와 갈등을 빚어 왔으며, 사업 실적도 지난 2018년 1억원 순이익을 마지막으로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주요 주주인 4개 은행은 이미 지난 2022년 ‘한국금융안전 주식매각협의회’를 꾸리고 이들이 보유한 한국금융안전 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에너지부(DOE)가 구축하는 슈퍼컴퓨터에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공급한다. DOE는 차세대 슈퍼컴퓨터를 통해 기초 과학 분야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DOE는 29일(현지시간) 델 테크놀로지스(이하 델)와 국립에너지연구과학컴퓨팅센터(NERSC) 차세대 슈퍼컴퓨터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새로운 슈퍼컴퓨터는 내년 완성될 예정이며, 다우드나(Doudna)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다우드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로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에서 따왔다. 다우드나 슈퍼컴퓨터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플랫폼 '베라 루빈(Vera Rubin)'과 델의 통합 랙 시스템, 파워 에지 서버, ORv3 액체냉각 기술 등이 결합된다. 업계는 다우드나가 현재 가동되고 있는 펄머터(Perlmutter) 슈퍼컴퓨터(70.87 페타플롭스)보다 10배 가량 향상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페타플롭스는 1초당 1000조번 수학 연산처리가 이뤄진다는 뜻이다. 다우드나에 장착될 베라 루빈은 내년에 출시될 엔비디아의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배심원 평결을 통해 VLSI 테크놀러지(VLSI Technology, 이하 VLSI)와 벌이고 있는 30억 달러(약 4조1100억원) 규모 소송전에서 승기를 잡았다. 배심원단이 그동안의 재판 결과를 뒤집을 수 있는 결론을 내놓으면서, 최종 판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텍사스 서부 지방법원 배심원단은 3일간의 심리 끝에 VLSI가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Fortress Investment Group, 이하 포트리스)의 실질적인 통제를 받는다고 평결했다. 이번 배심원단 평결로 인텔이 VLSI와의 소송전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해당 평결이 인텔의 주장을 받아드린 것이기 때문이다. 포트리스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소유한 헤지펀드다. 인텔과 VLSI의 소송전은 2019년 4월 시작됐다. VLSI는 인텔이 자사 특허 3건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1심을 담당한 텍사스 서부 지방법원은 지난 2021년 3월 인텔이 VLSI가 문제를 제기한 특허 3건 중 2건을 침해했다며 약 21억8000만 달러(약 3조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인텔은 재판 결과를 받아드릴 수 없다며 항소했다. 20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현대차그룹 이노베이션 허브인 '현대 크래들 텔아비브'와 이스라엘 스타트업 '카포우(CAPoW)'의 로봇 자동 충전 기술을 시범 도입했다. 중단 없는 로봇 운영을 통해 물류 효율화와 비용 절약을 달성할 잠재력을 확인했다. 향후 여러 현장에 도입해 첨단 기술 기반의 물류 혁신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 30일 현대크래들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현대 크래들 텔아비브, 카포우와 '파워인모션(Power-in-Motion)' 기술의 개념검증(PoC)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파워인모션은 로봇이 바닥에 설치된 모듈형 안테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 중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일종의 무선 충전 매트 위를 지나며 충전되는 셈이다. 이 기술을 도입하면 로봇이 충전을 위해 멈추지 않아도 돼 물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충전 중인 로봇을 대체하기 위한 여유분이 필요 없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고정식 충전기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파워인모션 기술의 실질적인 효과를 확인했다. 향후 물류 거점에 확대 적용하고 물류 자동화를 이룬다. 현대글로비스는 로보틱스와 인공지능(AI),
[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국제 바이오 행사에 연이어 참가하며 글로벌 CDMO로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알린다, 30일 롯데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다음달 10일부터 12일까지 인천에서 개최되는 ‘월드 ADC 아시아 서밋(World ADC Asia Summit)’을 시작으로, 같은 달 16일부터 19일(미국 현지 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 이하 바이오 USA)’에도 참가한다. ‘월드 ADC 아시아’는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아시아 대표 항체약물접합체(ADC) 행사다. ADC에 관심있는 다양한 참가자들이 모여 개발 및 생산과 관련한 최신 연구와 기술 동향을 논의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에서 아시아권 잠재 고객사와의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을 모색하고 글로벌 CDMO로서의 입지도 굳건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지난 1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혁신적인 ADC 플랫폼 솔루플렉스 링크(SoluFlex Link)를 공개한 바 있다. 이후 4월에는 아시아 소재 바이오 기업과 AD
[더구루=김명은 기자]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임상 시험에 속도를 낸다. 범용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 외에도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글로벌 제약 및 생명공학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전략도 내세웠다. 3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Dx&Vx는 현재 한국, 미국 및 동남아시아에서 코로나19 백신 임상2상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규제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임상1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연내 글로벌 2상 연구를 위한 임상시험용 신약(IND) 신청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근 범용 코로나19 백신 관련 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개발 프로그램을 본격 가속화하는 것이다. 이번 백신은 현재와 미래의 모든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백신으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재확산 움직임이 감지되며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한 글로벌 보건 기구들은 유럽, 아시아, 북미 일부 지역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보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 솔루션의 필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대체투자 전문 운용사 블루아울캐피털이 코어위브(CoreWeave) AI 데이터센터에 약 1조원을 투자한다. [유료기사코드] 블루아울캐피털은 30일 "코어위브 데이터센터 투자를 위해 7억5000만 달러(약 1조300억원) 규모 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데이터센터 기업인 치리사 테크놀로지스 파크스와 파워하우스 데이터센터가 자금을 댔다. 이 자금은 치리사 테크놀로지 파크스의 버지니아주(州) 부지에 개발되는 코어위브 AI 데이터센터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데이터센터는 120㎿(메가와트)급으로 지어진다. 블루아울캐피털은 운용자산이 1920억 달러(약 260조원)에 이르는 미국 대체투자 전문 운용사다. 치리사 테크놀로지스 파크스는 치리사 인베스트먼트 자회사로 버지니아·일리노이·워싱턴·뉴지지 등에서 데이터센터를 개발 중이다. 파워하우스는 현재 30여개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임대하는 사업을 한다. 이 회사는 2017년 암호화폐 채굴 회사로 출발 후 2019년 AI 학습·추론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전환했다. 코어위브는 클라우드 서
[더구루=김명은 기자] 아동복 브랜드 블루독(BLUEDOG)이 일본에서 최초로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지난 1999년 론칭 후 26년간 한국 아동복 시장을 이끌어온 블루독은 이번 팝업스토어를 토대로 일본 시장 진출의 본격적인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블루독을 운영하는 유·아동 의류 제조업체 서양네트웍스은 다음달 4일부터 19일까지 오사카의 중심 쇼핑 명소인 아베노 하루카스 긴테츠 본점에서 블루독 팝업스토어를 연다. 이번 행사의 테마는 2025년 봄·여름 시즌 메인 콘셉트인 '꼬마 여행자'로, 브랜드의 상징인 강아지를 모티브로 가족의 따뜻함과 친근함을 담아낸 디자인이 특징이다. 행사에서는 아우터, 상의, 하의, 드레스, 모자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인기 아이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셋업 아이템은 선물용으로 적합해 일본 소비자들의 기대를 모은다. 팝업스토어 오픈을 기념해 특별 한정 이벤트도 진행된다. 블루독 재팬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프로모션과 함께 일본 첫 팝업스토어 한정의 특별 할인 가격도 적용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오는 2029년 일본 유아동복 시장 규모는 33
[더구루=김명은 기자]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나보타(Nabota)를 인도네시아에 출시한다. 자체 개발 신약 연매출 1조원 달성 목표를 향해 해외 판로 개척에 더욱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대웅제약은 인도네시아 최대 미용의학 학술대회인 '위스왐(WeSWAM) 2025'에 참가해 나보타 출시를 알렸다. 올해 위스왐은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반둥 엘 로얄 호텔에서 개최됐다. 위스왐 2025는 동남아시아 최대 미용의학 행사 중 하나다. 대웅제약은 의료 전문가 약 300명, 연사 14명, 업계 후원사 31곳이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 나보타를 공개, 현지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대웅제약은 CnG 바이오 인도네시아(CnG Bio Indonesia, CBI)와 협력해 특별 전시관을 운영했다. 대표 보툴리눔 독소 제제인 나보타 외에 △히알루론산 기반 고급 필러 '디클래시(DCLASSY)' △체내 흡수형 리프팅 실 '두스(DOOTH)' △PDO(폴리디옥사논) 소재의 리프팅 실 '럭스(LUXX)'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HA) 기반 콜라겐 자극 피부 강화제 '페이스템(Facetem)' 등도 공개했다. 대웅제약 전시관에는 의료진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베트남 빈즈엉성에 11번째 지점을 열었다. 고객 접점 확대로 베트남 내 입지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빈즈엉성은 베트남 남부 지역의 경제·산업 중심지로 제조업이 발달해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신규 지점을 통해 남부 지역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한편 베트남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 베트남 법인은 지난 2007년 12월 베트남 최초의 외국계 종합 증권사로 설립됐다. 위탁매매(브로커리지)와 자기매매, 자기자본투자, 기업금융, 자문업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브로커리지 부문은 업계 5~6위권이다.
[더구루=김예지 수습기자] 마녀공장은 올리브영의 정기 쇼핑 축제 '6월 올영 세일’에 참여한다고 30일 밝혔다. 다양한 제품을 '반값 특가 프로모션' 등을 통해 특별 가격에 제공하는 등 고객 혜택을 확대한다. 마녀공장은 이번 행사에서 베스트셀러부터 여름 겨냥 아이템까지 총 54종의 제품이 특별가로 준비됐다. 특히 '반값 특가 프로모션을 통해 ‘약산성 퓨리파잉 소다폼’을 53%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스테디셀러이자 올리브영 4년 연속 1등 제품인 ‘퓨어 클렌징 오일’도 큰 폭의 할인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 주요 행사 상품은 △비피다 바이옴 앰플 마스크(10매·55%) △갈락토미 엔자임 필링젤(52%)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46%) △퓨어 클렌징 워터 센서티브(41%) △판테토인 에센스 토너(33%) △퓨어&딥 클렌징폼(31%) 등이다. 마녀공장 제품 3만원 이상 구매할 경우 5% 장바구니 쿠폰도 제공한다. 마녀공장 관계자는 “이번 올영세일은 올리브영 1등 제품을 비롯해 다양한 제품을 특별가로 만나볼 수 있는 기회”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다양한 혜택을 놓치지 않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기아의 소형 전기 SUV ‘EV2’에 자사 신차용 타이어(Original Equipment, OE) ‘엑스타(ECSTA) 시리즈’를 공급한다. EV2는 내년 초 출시를 앞둔 기아의 차세대 엔트리급 전기차(EV)다. 이번 공급을 통해 금호타이어는 전기차 타이어에 대한 기술력을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로부터 다시 한 번 인정받게 된 셈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기아 EV2에 고효율 저회전저항 타이어 '엑스타 PS71 EV'를 공급한다. 기아는 PS71 EV를 장착한 EV2 도로 주행 테스트를 유럽에서 진행중이다. PS71 EV는 전기차 전용 고성능 제품이다. 저소음, 내구성, 제동 성능 안전성 등이 특징이다. 에너지 소비 효율을 극대화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늘리고,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과 내마모성까지 강화했다. 회전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와 소음을 줄이기 위한 신형 패턴 디자인, 흡음재 폼 적용 등 다양한 기술을 집약했다. 금호타이어는 EV2 외에도 현대차 아이오닉6, 코나EV, 기아 EV6·EV9 등 다양한 전기차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로는 포르쉐, BMW, 스텔란티스 등
[더구루=김명은 기자]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의 미국 계열사가 전자담배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미국 내 전자담배 전문 업체로부터 총 15개의 제품을 인수하며 관련 사업을 키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미국에 본사를 둔 전자담배 전문회사 찰리스 홀딩스(Charlie's Holdings, 이하 CHUC)는 BAT 미국 계열사 알제이 레이놀즈 베이퍼(R.J. Reynolds Vapor)에 파차(PACHA) 브랜드 합성 니코틴 일회용 전자담배 3종을 추가로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거래 금액은 150만 달러(약 20억5000만원)로, 거래 시점에 일시불로 지급이 완료됐다. 이로써 알제이 레이놀즈 베이퍼는 지난해 4월 이후 총 15개의 CHUC 제품을 인수하게 됐다. 이번에 거래된 3개 제품은 합성 니코틴을 사용하는 일회용 전자담배다. CHUC가 규제 및 과학적 검증 절차를 거치기 위해 이미 지난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담배 제품 시판 전 허가 신청(PMTA)을 냈다. CHUC는 앞서 지난해 4월 16일 PACHA 브랜드 제품 12종을 500만 달러(약 68억원)에 알제이 레이놀즈 베이퍼에 이미 매각했다. 이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가전업체 '캐리어'가 인도 정부의 전자 폐기물 재활용 규제에 반발해 법정 대응에 나섰다.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이어 캐리어까지 합류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소송전에 가세하면서 전자업계 전반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인도 델리고등법원에 따르면 캐리어 인도법인은 지난달 정부의 전자 폐기물(E-waste) 재활용 규정에 반대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삼성전자, LG전자, 일본 다이킨, 인도 타타그룹 계열사 볼타스 등이 제기한 유사 소송들과 함께 이날 병합 심리될 예정이다. 소송의 쟁점은 지난해 9월 인도 환경부가 도입한 '전자 폐기물 재활용 비용 하한제'다. 정부는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자제품 제조사가 인증된 재활용업체에 최소 1kg당 22루피(약 25센트)를 지급하도록 의무화했다. 기업들은 해당 비용이 기존 시장 시세보다 3~4배 이상 높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재활용업체가 제조사에 처리 비용을 청구하는 구조다. 기존 양측이 자율적으로 비용을 정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정부가 최저 요율을 설정하면서 제조사 부담이 급격히 커졌다는 설명이다. 캐리어는 380쪽 분량의 소장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