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초고성능(UHP) 타이어 신제품을, 유럽에서는 트럭·버스(TB) 전용 신제품을 각각 공개하며 북미·유럽 핵심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고성능 타이어 기술력과 상용차 타이어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미국 시장에 초고성능 타이어 신제품 3종과 유럽 시장에는 차세대 트럭·버스(TB) 타이어 5종을 출시했다. ◇ 美 고성능 타이어 라인업 강화 금호타이어 미국법인이 출시한 제품은 △엑스타 스포츠 올시즌 PA71 △엑스타 스포츠 PS72 △엑스타 스포츠 S PS72 등 초고성능(UHP) 타이어 3종이다. 지난 4월 출시됐다. 이들 제품은 차세대 고무 배합(컴파운드)과 트레드 디자인 기술을 적용해 주행 성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으로, 지난 1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 박람회 '세마쇼 2025(SEMA 2024)'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바 있다. 엑스타 스포츠 올시즌 PA71은 사계절 내내 뛰어난 접지력과 정숙성, 승차감을 제공한다. 눈길 주행을 위한 지그재그 트레드와 소음 저
[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미국에서 자사 상표를 무단으로 도용해 가짜 타이어를 새 제품처럼 판매한 온라인 유통업체를 상대로 소송에 나섰다. 금호타이어는 브랜드 이미지 훼손과 소비자 피해를 이유로 강경 대응에 나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미국법인은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서부지방법원에 GE 타이어 온라인(GE Tires Online Inc.)을 상대로 상표권 침해 및 부정경쟁 혐의 소송을 제기했다. GE 타이어 온라인은 아마존 등을 통해 금호타이어로 등록된 타이어를 판매하면서 중고·리퍼비시·재고품(리퀴데이션)·가품을 정품 신제품인 것처럼 허위 광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타이어는 1995년부터 미국 연방 상표로 등록해 사용해온 자사 브랜드를 온라인 유통업체가 조직적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제품이 외관상으로도 오염과 마모 흔적이 있었으며 시리얼 번호가 제거돼 있었던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금호타이어는 이번 소송을 통해 △GE 타이어의 금호타이어 상표 사용 금지(영구 금지명령) △손해 3배 배상(트레블 대미지) △징벌적 손해배상 및 변호사 비용, 소송비용 등을 청구했다. 금호타이어 측은 “GE 타이어는 금호타이어의 공식 유통망
[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스포츠 드라이빙 성능을 대폭 강화한 '엑스타'를 선보이고 글로벌 타이어 시장을 공략에 나섰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 제품 완성도를 높여 유럽과 북미 등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지난 15일 경기 용인 스피드웨이에서 스포츠 타이어 엑스타(ECSTA) 출시에 대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라인은 △엑스타 스포츠 △엑스타 스포츠 S △엑스타 스포츠 A/S 등 3종이다. 이들 제품은 인공지능(AI) 기반 '버추얼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프로세스'를 활용,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개발 효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타이어 블록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설계했다. 특히 금호타이어의 저소음 기술 ‘K-사일런트 링(K-Silent Ring)’이 적용됐다. 타이어 내부에 폴리우레탄 소재의 폼을 부착해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했다. 또한 금호타이어는 독자적 기술 'EV 테크놀로지'를 적용, 전기차 특성에 맞춰 소음 저감과 내마모 성능을 대폭 강화했다. 정일택 금호타이어 사장은 "새롭게 태어난 엑스타 제품은 인공지능(AI) 기술를 적용, 제품 완성도를 높여
[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아시아 타이어 브랜드 순위 '넘버2'로 선정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보다 한 단계 높은 순위다. 27일 글로벌 브랜드 평가기관 월드브랜드랩(World Brand Lab)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2024 아시아 500대 브랜드’에서 타이어 브랜드 가운데 2위에 올랐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달 29일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 브랜드 콘퍼런스’에서 발표됐다. 금호타이어는 전체 브랜드 가운데 215위를, 타이어 브랜드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타이어 브랜드 1위는 브리지스톤이 차지했다. 한국타이어 3위 (전체 225위)를 기록했다. 이어 더블스타 타이어(310위)와 △사일룬 타이어(321위) △링롱 타이어(323위) 등 순으로 나타났다. 월드브랜드랩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먼델 교수가 주도해 설립된 국제 브랜드 가치 연구기관이다. 연례 발표되는 '아시아 브랜드 500'은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브랜드 로열티(Brand Loyalty) △아시아 리더십(Asian Leadership)을 기준으로 아시아 상위 500개의 브랜드를 선정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톈진시 빈하이신구가 LG화학, 금호타이어 등 국내 기업들과 연쇄 미팅을 가졌다. 폴리염화비닐(PVC) 원료 공장 이전을 비롯해 석유화학과 타이어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협력을 모색했다. 31일 톈진경제기술개발구에 따르면 산쩌펑(单泽峰) 빈하이신구위원회 부서기 일행은 지난 26일 한동엽 LG화학 PVC/가소제사업부장(상무)과 회동했다. 톈진시가 개발 중인 새 석유화학단지에 PVC 원료 공장을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LG화학은 2004년 중국 발해화공그룹과 합작사 '텐진LG발해화학유한회사'를 신설하고 PVC 원료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3억 달러(약 4000억원)를 투자해 텐진시 임항공업구 50만㎡ 규모 부지에 이염화에탄(EDC)과 염화비닐모노머(VCM) 생산시설을 2007년 완공했다. 각각 연간 30만t, 35만t을 생산하며 중국 수요에 대응했다. LG화학은 공장 이전과 함께 신에너지·신소재 관련 사업 기회도 검토했다. LG화학은 앞서 중국 화유그룹 산하 '유산'과 양극재 사업에 손잡았다. 모로코에 연산 5만t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건설하기로 하며 해외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산쩌펑 부서기 일행은 LG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1위 통신사인 오렌지(Orange)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오렌지는 공격 감지와 함께 즉각 대응에 나섰으며 데이터 유출은 없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이버 공격이 중국 기반 해커 그룹의 소행일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오렌지는 성명을 통해 "25일(현지시간) 자사 정보 시스템 중 하나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감지했다"며 "공격이 식별되자마자 오렌지 사이버디펜스와 협력해 해당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를 격리하는 등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오렌지는 즉각적인 대처 이후 프랑스 당국에 이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유럽연합(EU) 내 통신사는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GDPR)을 적용받아, 사이버 공격 등이 감지되면 3일 이내에 소재한 국가의 데이터 보호 당국에 신고해야한다. 이번 사이버 공격으로 데이터 유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오렌지는 "내부 또는 고객 데이터가 유출됐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오렌지는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더 이상의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오렌지가 격리한 서비스는 기업용 관리 서비스와 플랫폼 등 프랑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일부 서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