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 장난감업체 반다이의 브랜드 가샤폰과 협력해 스낵 제품 패키지 디자인한 신규 굿즈 컬렉션을 론칭한다. 라면에 이어 스낵 굿즈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굿즈 라인업을 확대해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10일 가샤폰에 따르면 농심은 ‘농심 스낵 샤카샤카 참’(農心スナック シャカシャカチャーム) 콜렉션을 오는 11일 일본에 출시한다. 참은 체인과 팔찌 등에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은 액세서리를 가리킨다. 일본 전역에 자리한 가샤폰 반다이 공식 매장과 장난감 가게, 양판점 등에 설치된 캡슐 토이 자판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 이번 컬렉션은 △포테토칩 △포스틱 △매운 새우깡 △꿀꽈배기 △바나나킥 △빵부장 소금빵 등 6종으로 구성했다. 참을 흔들면 봉지 안에서 과자가 흔들리는 듯한 소리를 내는 장치를 탑재했다. 스낵 굿즈 론칭은 앞서 선보인 라면 굿즈 콜렉션이 일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높은 인기를 끌자 굿즈 포트폴리오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농심은 2022년 이후 다섯 차례에 걸쳐 신라면과 짜파게티 등 간판 라면 제품 굿즈 콜렉션을 선보였다. 지난해 6월 농심이 다섯번째로 출시한 라면 용기면 굿즈 콜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신라면을 내세워 라면 종주국 일본에서 K-매운맛의 자존심을 세웠다. 농심은 일본에서 신라면 중심으로 브랜드 파워를 키워나가고 있다. 지난 2010년 농심은 4월10일을 '신라면의 날’로 정하고, 열도 내 한국 라면의 특징인 매운맛을 처음으로 전파했다. 농심은 일본을 넘어 글로벌 곳곳에 K-매운맛 라면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는 10일 농심이 일본에서 진행한 '신라면의 날'이 15주년을 맞는다. 신라면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신라면의 날을 제정했다. 일본어로 숫자 '4'(영어식 발음)와 '10'의 발음을 조합하면 맵다를 의미하는 영단어 'Hot(ホット)'의 일본어 발음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농심이 15년간 펼친 신라면 데이 마케팅은 성과로 이어졌다. 신라면을 효과로 일본 매출은 매출 상승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농심 일본 매출은 전년대비 13% 증가한 1136억원을 달성했다. 최근 5년간 농심 일본 매출 연평균 16% 성장했다. 신라면이 일본에서 '한국식 매운 라면'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일본 소비자들에게 매운 라면하면 '신라면'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가 됐다. 농심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신라면 툼바 봉지면에 이어 용기면을 일본에 론칭, 열도 시장 공략에 나선다. 간판 신라면을 내세워 '매운 K-라면 대표주자'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3일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농심 일본 법인은 오는 8일 신라면 툼바 용기면을 현지에 출시한다. 지난 2월 일본 대형 온라인 쇼핑몰 큐텐(Qoo10)과 라쿠텐(Rakuten) 등을 통해 신라면 툼바 봉지면을 선보인 지 2개월 만에 신라면 툼바 라인업을 확대한 것.<본보 2025년 2월 24일 참고 농심 신라면 툼바, 日 온오프라인 판매 개시…해외 유통망 확보 속도> 신라면 툼바 용기면은 농심이 지난해 9월 국내에 내놓은 제품이다. 신라면에 우유와 치즈, 새우, 베이컨 등을 추가해 만드는 인기 모디슈머 레시피를 제품화했다. 국내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2500만개를 돌파하며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신라면 툼바 용기면 출시는 신라면 마케팅을 강화해 일본 사업 성장세를 이어나가기 위한 농심의 행보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내년 신라면 일본 매출 200억엔(약 197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것이 농심의 목표다. 2023년 100억엔(990억원)을 돌파한 현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판 영화 '여신강림'을 내세운 너구리 일본 광고를 선보이고 열도 공략에 나섰다. 농심은 '여신강림'에 대한 높은 관심이 너구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심 일본법인은 22일 여신강림 콜라보 너구리 광고를 유튜브 채널과 현지 온라인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선보였다고 밝혔다. 농심은 네이버웹툰 원작으로 한 일본판 여신강림 개봉일(20일)에 맞춰 너구리 광고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선보인 광고는 모델인 하야세 아이(速瀬 愛·배우겸 가수)가 꽃미남 2명을 대신 얼큰 너구리와 순한 너구리 사이에서 고민에 빠져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농심은 너구리를 신라면의 뒤를 잇는 일본 히트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앞서 농심은 지난해 10월 일본 패션 브랜드 레이지블루(Rage Blue)와 협업해 너구리 콜라보 의류를 론칭한 바 있다. 옷 앞면과 뒷면에 한국어로 너구리를 표시해 너구리 콜라보 제품이라는 점을 나타냈다.<본보 2024년 10월 14일 참고 패션 도전(?)…농심, 日레이지블루와 협업 ''너구리 의류' 론칭> 농심은 "매운맛과 순한맛을 놓고 고민하는 모습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아이돌그룹 블랙핑크 멤버 제니가 유명 미국 토크쇼에 출연, 농심 바나나킥을 본인의 '최애 스낵'으로 꼽아 주목을 끌고 있다. 제니가 사실상 '바나나킥 홍보대사'로 나서면서 농심 현지 스낵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제니는 지난 10일(현지 시간) 미국 토크쇼 '제니퍼 허드슨쇼'(The Jennifer Hudson Show)에 출연해 농심 바나나킥을 소개했다. 제니퍼 허드슨쇼는 미국 인기 가수 겸 배우 제니퍼 케이트 허드슨(Jennifer Kate Hudson)이 진행하는 인기 TV쇼로 지난 2022년 시즌1 첫방송 이후 현재 시즌3까지 높은 시청률을 자랑한다. 이날 제니는 방송에서 "바나나킥은 어렸을 때부터 가장 좋아하는 과자"라면서 "예상과는 다른 독특한 바나나맛이 난다"고 언급하며 해당 제품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제니는 이후 진행자와의 대화를 이어나가며 바나나킥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제니는 바나나킥 이외에도 농심 새우깡과 오리온 고래밥 등 다양한 K과자도 소개했다. 북미에 탄탄한 팬덤을 보유한 제니에 힘입어 농심 현지 스낵 매출 확대와 브랜드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농심도 현지 인스타그램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카리브해에 있는 프랑스령 마르티니크(Martinique)에 진출, '신라면 로드' 확장에 나섰다. 농심의 글로벌 영토 사냥은 '신라면'이라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에 기반한다.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각국에서 'K푸드' 수요가 이어지면서 해외에서 더욱 많은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는 포부다. 17일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 유바이(UBUY)에 따르면 농심은 유바이 마르티니크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신라면 제품을 판매한다. 오리지널 신라면을 비롯해 △신라면 블랙 △신라면 건면 △신라면 김치 △신라면 골드 등이다. 현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진출 국가를 확대하고 유럽 시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기준 8400만달러(약 1220억원) 규모인 유럽 매출을 오는 2030년 3억달러(약 4360억원) 규모로 늘리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글로벌 베스트셀러 신라면을 전면에 내세워 K팝·K드라마 흥행에 힘입어 마르티니크를 비롯한 프랑스에서 확산하고 있는 K라면 트렌드의 판로를 확대한다는 농심의 행보로 풀이된다. 글로벌 수출입 통계기관 GTA(Global Trade Atlas) 조사 결과 2023년 한국의 대(對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신라면 툼바'를 내세워 필리핀 라면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지 유통업체와 공급계약을 맺고 오프라인 판로 확장을 본격화한다. 농심은 신라면 툼바를 글로벌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제품으로 선정해 해외 유통망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7일 필리핀 K-푸드 전문 유통기업 넥스트레이드(NexTrade)에 따르면 농심과 오프라인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 넥스트레이드는 현지 7000여개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계약을 토대로 필리핀 편의점·대형마트 등을 통한 신라면 툼바 판매를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2008년 설립된 넥스트레이드는 라면·빙과·소주 등 다양한 K푸드를 수입해 필리핀에서 유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마닐라, 세부, 다바오 등 필리핀 전역에 편의점 5000여개·대형마트 1000여개·드럭스토어 1000여개 등 총 7000여개로 구성된 오프라인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다. 현지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Shopee)·라자다(Lazada) 등을 통해서도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농심은 넥스트레이드와 손잡고 신라면 툼바를 내세운 마케팅을 펼치며 K-팝·K-드라마 등의 인기에 힘입어 필리핀에서 확산하고 있는 K-라면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신제품 신라면 툼바를 전면에 내세워 말레이시아 라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통해 드라마를 선보이며 현지 소비자들에게 신라면 툼바를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농심은 3일(현지 시간) 말레이시아 틱톡 계정을 통해 드라마 '부산의 눈(雪)'(Salju Di Busan) 1화를 공개했다. 말레이시아 브랜드 앰배서더 와니 하스리타(Wany Hasrita), 카이 바하르(Khai Bahar)와 손잡고 제작한 콘텐츠다. 해당 드라마는 부산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매운 라면 챌린지'(Spicy Ramyun Challenge) 결승전 티켓을 따내기 위해 와니 하스리타와 카이 바하르가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지역 준결승전에 참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에피소드에선 지역 준결승전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부산 결승전에 참가하게 된 두 인물이 겨울철 한국을 찾아 벌이는 여러 소동이 그려질 예정이다. 부산의 눈을 통해 자연스럽게 신라면 툼바 제품 특징을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에게 홍보할 전망이다. 볶음면 스타일 신라면 툼바 마케팅을 적극 펼치며 글로벌 13위 규모 말레이시아 라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농심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 토마토라멘 전문 외식기업 '태양의 토마토멘'(太陽のトマト麺)과 협력해 현지 신라면로드 확장에 나섰다. 현지 업체와의 협력을 토대로 이색 메뉴를 선보이며 소비자층을 넓히고 현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일 태양의 토마토멘에 따르면 농심과 손잡고 신라면 기반 콜라보 메뉴 2탄 '태양의 해물 매운 툼바라면'(太陽のヘムル 辛トゥーンバトマト麺)을 론칭했다. 다음달 31일까지 일본 도쿄, 카나가와, 오사카 등에 자리한 태양의 토마토멘 점포 14곳에서 해당 메뉴를 판매할 예정이다. 태양의 해물 매운 툼바라면은 신라면에 오징어, 새우, 조개 등을 더해 개발한 메뉴다. 신라면 특유의 매운맛과 토마토의 산미, 진한 크림의 풍미가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는 것이 태양의 토마토멘의 설명이다. 지난달 태양의 토마토멘 콜라보 메뉴 3종를 출시한 데 이번에 해산물맛을 강조한 신메뉴를 선보이며 일본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미식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농심의 전략이다. 앞서 지난달 17일 태양의 토마토멘과 협력해 △태양의 해물 신 토마토 라멘 △태양의 해물 신 토마토 라멘 녹아 내리는 구이 치즈 △태양의 해물 신 토마토 라멘 중독성 있는 고수 등을 론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 라면이 대만에서 인기가 뜨겁다. 신라면 등 라면 제품이 현지 인기 수입라면 판매 순위 '톱10'을 휩쓸었다. 농심이 '매운' 맛을 선호하는 대만 소비자들의 입맛을 제대로 저격했다는 평가다. 농심은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한 현지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7일 대만 까르푸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 번들(5개입)이 수입라면 판매 1위에 이름을 올렸다. 대만 까르푸는 △매출 △맛 △제품 라인업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신라면은 지난해 대만 까르푸에서 5800만 대만달러(약 25억3900만원) 매출을 달성했다. 강렬한 매운맛을 지닌 국물과 면발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는 점도 장점으로 평가됐다. 너구리 순한맛 번들은 매출 1600만 대만달러(약 7억원)를 돌파하며 2위, 안성탕면 번들은 1300만 대만달러(약 5억7000만원)로 매출 3위를 꿰찼다. 이어 신라면 김치 번들 6위, 안성탕면 7위에 랭크됐다. 이번 순위 '톱10' 가운데 농심 제품이 절반을 차지했다. 농심은 대만에서 라면 수입 1위 자리를 매년 놓치지 않고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현지에서 K-라면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라면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신라면 브랜드 신제품 '신라면 툼바' 일본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호주 등 해외 유통망을 확보하고 글로벌 라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일본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신라면 툼바 봉지면 판매를 개시했다. 오는 4월 일본 1위 편의점 기업 세븐일레븐을 통해 신라면 투움바를 현지에 선보인다는 당초 일정에 비해 판매 개시 시점을 두 달가량 앞당긴 것. 일본 전역에 자리한 소매점과 현지 대형 온라인 쇼핑몰 큐텐(Qoo10)·라쿠텐(Rakuten)·아마존 재팬(Amazon Japan) 등을 통해 판매한다. 신라면 툼바는 농심이 지난해 9월 국내에 출시한 제품이다. 신라면에 우유·치즈·새우·베이컨 등을 넣어 만드는 인기 모디슈머 레시피 '신라면 투움바'를 제품화한 것이다. 신라면 툼바가 론칭 초기부터 선풍적 인기를 끌자 농심은 지난해 10월 신라면 툼바 용기면에 이어 봉지면을 선보이고 라인업을 확대했다. 신라면 툼바는 모디슈머 레시피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이 호평을 받으며 국내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2500만개를 돌파했다. 농심은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신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화장품 기업 일본로레알(日本ロレアル)과 이색 콜라보 화장품을 출시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산업 간 장벽을 넘나드는 콜라보레이션을 이어나가며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21일 일본로레알에 따르면 농심은 메이블린 뉴욕과 손잡고 오는 22일 현지에 '메이블린 리프터 플럼프L'을 론칭한다. 메이블린 뉴욕은 일본 로레알 뷰티 브랜드다. 일본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라쿠텐·아마존 재팬, 현지 오프라인 버리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 돈키호테·마츠모토키요시 등의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메이블린 리프터 플럼프L은 '일상에 자극과 즐거움을 제공한다'는 농심과 메이블린뉴욕 공동의 철학을 토대로 기획된 화장품이다. 고추에서 추출한 성분을 배합해 볼륨감 있으면서도 선명한 컬러를 지닌 입술 메이크업 연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됐다. 버닝피치, 핫체리, 스파이시 진저 등 3가지 색깔이 있다. 구매고객 대상 사은품 증정행사를 펼치며 고객몰이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돈키호테·마츠모토키요시 등에서 메이블린 리프터 플럼프L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메이블린 리프터 플럼프L과 농심 대표 라면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리워드 프로그램 전면 개편에 나섰다. GM이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 정체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이번 리워드 프로그램 개편으로 기존 고객 이탈을 막는 한편 실질적 고객 혜택을 강화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GM에 따르면 로열티 프로그램 ‘GM 리워즈’를 새롭게 단장하고 영국계 투자 은행(IB) 바클레이스와 함께 ‘GM 리워즈 마스터카드’를 출시했다. GM은 기존 프로그램을 복잡했던 적립 구조를 단순화하고 차량 구매뿐 아니라 정비 서비스, 부품, 액세서리, 디지털 구독 서비스 등 다방면으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리뉴얼했다. 특히 온스타(OnStar), 수퍼크루즈(Super Cruise) 등 GM이 주력하는 커넥티드·자율주행 기반 서비스에도 포인트를 적용할 수 있게 했다. 직원과 딜러, 협력사 등 기존 할인 프로그램과도 중복 사용이 가능, 실질적 고객 혜택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GM의 오프로드 전기차(EV) 체험, 레이싱 트랙사이드 초청 등 독점적인 브랜드 체험 행사 참여 혜택도 제공한다. GM은 향후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GM 비즈니스 마스터카드’도 출시할 예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스웨덴 자율주행트럭 전문기업 아인라이드(Einrid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아이온큐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자컴퓨팅 기반 공급망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유럽 시장 확대에도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20일(현지시간) 아인라이드와 투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아이온큐는 아인라이드에 대한 투자를 진행한다. 투자 규모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아이온큐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아인라이드는 2016년 설립된 전기자율주행 트럭 전문 개발업체다. 아인라이드는 운전대 없이 원격으로 제어되는 아인라이드 팟(Einride Pod)이라는 자율트럭을 출시해 주목을 받았다. 이에 아인라이드에는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을 비롯해 소로스 펀드매니지먼트, 에릭슨 등이 투자했다. 아이온큐는 아인라이드와 물류 최적화를 위한 양자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물류 최적화에는 운송 경로와 차량 배치 스케줄 최적화 등이 포함된다. 양자컴퓨터는 최적화 문제 해결 능력에서 만큼은 기존 컴퓨터를 뛰어넘는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아이온큐는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유럽 양자컴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