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대니머 사이언티픽(Danimer Scientific, 이하 대니머)이 쉐브론 필립스 케미칼(이하 CPChem)과 손잡고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인 PHA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대니머는 CPChem과 자체 개발한 PHA 리노보(Rinnovo™) 생산에 협력한다. CPChem의 루프 슬러리 반응기 설계를 적용해 리노보 제조 공정에 쓰이는 연속 반응기를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CPChem이 개발한 루프 슬러리 공정은 1961년 처음 도입된 후 고밀도폴리에틸렌(HDPE)를 비롯해 다양한 합성수지 생산에 쓰이고 있다. 대니머는 이를 리노보 제조에 활용해 생산량을 늘리고 비용을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스테판 이 크로스크리(Stephen E. Croskrey) 대니머 최고경영자(CEO)는 "CPChem의 루프 슬러리는 폴리올레핀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공정 중 하나다"라며 "이번 협력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생분해성 폴리머 생산에 속도를 내려는 우리의 전략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주요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 생분해성 소재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바이오플라스틱(PHA) 회사 대니머 사이언티픽(Danimer Scientific, 이하 대니머)이 1700억여 원을 들여 노버머(Novomer, Inc)를 인수한다. 노버머의 친환경 바이오 소재 기술을 활용해 생분해 플라스틱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대니머는 1억5200만 달러(약 1750억원)에 노버머를 인수한다. 양사는 이사회 의결을 거쳐 지난달 말 인수·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3분기 내로 M&A를 마칠 예정이다. 노버머는 코넬대에서 분사해 2004년 설립된 회사다. 이산화탄소를 폴리머로 전환시키는 촉매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대표 제품은 친환경 바이오 소재 '3HP'(3-Hydroxypropionic acid, 3-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다. 3HP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 개발이 가능한 플랫폼 케미칼(Platform Chemical)로 생리대와 유아용, 성인용 기저귀 내 고흡수성수지(SAP), 자연 분해 가능한 플라스틱, 도료용 용매 등에 활용된다. 노버머는 관련 특허 100여 개를 등록했고 140여 개를 출원했다. 뉴욕주 로체스터에 파일럿 공장을 운영하며 2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대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