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원F&B의 7년차 장수 CEO(전문경영인) 김재옥 사장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수장으로 이동한다. 연임은 불발됐지만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ESG를 이끄는 중책을 맡는다. 동원그룹은 지난 1일 내년도 불투명한 경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새롭게 출범한 지주사를 중심으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사업 부문별로 전문성을 강화하는 2023년 대표이사급 인사를 단행했다. 동원F&B 대표이사였던 김 사장은 지주회사인 동원산업의 신설 조직인 ESG 경영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그룹 전반의 ESG 경영의 고삐를 바짝 죌 것으로 전망된다. 그룹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이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관리·감독하기 위한 적임자로 발탁된 배경이다. 그는 전남대 공법학과를 졸업한 뒤 1989년 동원산업에 입사해 30년 넘게 동원에서만 몸 담은 '동원맨'으로 통한다. 법무부터 기획, 마케팅, 생산 등을 두루 거친 식품 전문가로 꼽힌다. 김 사장의 탁월한 조직관리 능력과 리더십은 그룹 안팎에 정평이 나 있다. 동원F&B에서 ESG 경영의 모의고사도 마쳤다. 지난해 △친환경 제품 매출 1000억원 달성 △연간 플라스
[더구루=김다정 기자] 동원그룹의 미국 자회사 스타키스트의 마케팅 베테랑이 경쟁사로 이직했다. 지난해 코로나19를 계기로 통조림 시장이 기지개를 켠 가운데 업체간 마케팅 경쟁이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스타키스트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최고마케팅 책임자 앤디 멕스(Andy Mecs)가 회사를 떠나 라이벌 업체인 ‘타이 유니온’(Thai Union)에 합류한다. 타이 유니온은 앤디 멕스를 북미 자회사인 '치킨 오브 더 씨'(Chicken of the Sea)의 영업 마케팅 부사장으로 선임했다. 멕스 신임 부사장은 동원산업이 지난 2008년 델몬트로부터 통조림 참치 제조업체 스타키스트를 인수하기 이전부터 델몬트 푸드에서 지역 영업 관리자로 6년을 보내고, 이후 스타키스트에서 4년 동안 최고 마케팅 책임자를 맡아온 중역이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해당 마케팅 담당자가 퇴사 후 이직한 것이 맞다"며 "퇴사 사유는 개인사유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스타키스트의 마케팅 경력자가 라이벌 회사로 이직하면서 미국 참치 통조림 시장 1위인 스타키스트를 겨냥한 경쟁업체들의 마케팅 공세가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지난
[더구루=길소연 기자] 동원산업이 강원 양양에 추진하고 있는 연어 육상 양식장이 고도화된다. 이를 위해 동원산업은 노르웨이 기업과 합작사를 설립한 데 이어 양식장 설립을 위한 정밀 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동원산업은 지난 21일 연어 양식장 타당성 조사를 위해 노르웨이 기업인 '아르텍 아쿠아'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사실상 연어 양식장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행보에 돌입한 셈이다. 이날 동원산업 이명우 사장과 합작 파트너인 노르웨이 연어 양식 스타트업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 호콘 안드레 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한 가운데 계약이 체결됐다. 이번 계약으로 아르텍 아쿠어는 컨설팅 및 프로젝트 설계에서 계약 협상과 시공에 이르기까지 진행한다. 특히 합작사인 'K스마트파밍'(K Smart Farming·KSF)는 이번 타당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어 양식장에 대한 상세 엔지니어링와 관련 건축 허가 신청서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아르텍 아쿠아는 향후 프로젝트 구축 과정에서 설계 공정 관련 시스템과 장비 엔지니어링, 납품, 설치 및 시운전도 수행할 예정이다. 호콘 안드레 버그 CEO는 "한국에서 동원과 손잡은 합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디웨이브 퀀텀(D-Wave Quantum)이 차세대 극저온 패키징(후공정)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유료기사코드] 디웨이브는 31일 차세대 극저온 패키징에 중점을 둔 새로운 전략 개발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미국 항공우주국(나사·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과 손잡고 이를 추진할 예정이다. 디웨이브는 JPL의 반도체 범프 본딩(Bump bonding)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간 엔드 투 엔드(End-to-End·일괄 처리) 초전도 상호 연결을 시연했다. 범프 본딩은 반도체 패키징의 하나로, 웨이퍼 내 칩 전극에 돌기 형태 범프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범프는 기판과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극저온 패키징은 반도체 칩을 극저온 환경에서 처리하는 후공정 기술을 말한다. 특히 양자칩 후공정은 초저온 작동 호환성, 매우 낮은 자기장, 완전한 초전도 상호 연결 등을 포함해 다양한 요구사항이 수반된다. 양자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인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는 외부 환경의 미세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철저한 노이즈 차단과 안정된 작동 환경이 필요하다. 초전도 큐비트나 스핀 큐비트를 포함한 대부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