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미드캡(중형주) 400 지수에 편입한다. 지수 편입에 따라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P 다우존스 인디시스는 내달 1일 로아반트 사이언시스를 S&P 미드캡 400 지수에 편입할 예정이다. 이 지수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주요 400개 중형기업에 대한 벤치마크를 제공하는 지수다. 지수에 편입되면 이를 벤치마킹하는 펀드 자금이 유입될 수 있어 호재로 인식된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1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 제약사의 신약 개발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사업 모델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이다. SK그룹이 이 회사에 투자하며 국내에도 크게 알려졌다. SK㈜는 지난 2020년 로이반트에 2억 달러(약 2660억원)를 투자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는 표적 단백질 분해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 개발을 함께 추진 중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글로벌 제약사인 스위스 로슈(Roche)와 궤양성 대장염 신약 라이선스 매각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로이반트 사이언시스와 로슈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를 위한 TL1A(종양괴사인자 유사 리간드1A) 표적 항체 후보물질 'RVT-3101'의 권리 매각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거래액은 70억 달러(약 8조8700억원)로 추정된다. RVT-3101은 TL1A를 억제하는 첫 신약 후보로 염증 발생뿐 아니라 섬유화도 억제한다. TL1A는 염증·섬유증을 활성화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는 TH1와 TH17 경로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물질이다. 궤양성 대장염이란 대장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다. 미국 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 수는 약 2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기준 약 4만7000명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유상증자를 통해 18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한다. 실탄을 확보해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로이반트 사이언시스는 최대 1억5000만 달러(약 1840억원) 규모 보통주 공모를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골드만삭스와 SVB증권, 코웨앤드컴퍼니 등이 공동 주간사를 맡았다. 다만 공모가와 신주 발행 규모, 발행일 등의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로이반트 사이언시스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이를 결정할 예정이다. 로이반트 사이언시스는 확보한 자금을 궤양성 대장염(UC) 치료를 위한 TL1A(종양괴사인자 유사 리간드1A) 표적 항체 후보물질 'RVT-3101' 개발에 투입할 방침이다. RVT-3101은 TL1A를 억제하는 첫 신약 후보로 염증 발생뿐 아니라 섬유화도 억제한다. TL1A는 염증·섬유증을 활성화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는 TH1와 TH17 경로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물질이다. 이와 함께 자회사 더마반트가 개발한 비스테로이드성 국소용 판상 건선 치료제 '브타마(VTAMA)' 출시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브타마는 지난해 5월 미국 식품의약국(F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비용 절감을 위해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로이반트는 최근 전체 인력 가운데 12%에 달하는 100여명을 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 측은 "오는 2025년 하반기까지 충분한 자금 여력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로이반트는 현재 보통주 공모를 통한 1억5000만 달러(약 2000억원) 규모 자금 조달을 추진 중이다. 로이반트가 2000만주를, 소프트뱅크비전펀드·큐브이티 등 주요 주주가 1000만주를 각각 매각한다. 로이반트는 3분기 3억1590만 달러(약 42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 2억2560만 달러(약 3000억원) 순손실 대비 적자폭이 확대했다. 매출은 1253만 달러(약 170억원)으로 전년 1399만 달러(약 190억원) 대비 소폭 줄었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1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 제약사의 신약 개발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사업 모델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보통주 공모를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선다. 실탄 충전을 통해 신약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로이반트는 보통주 3000만주를 주당 5달러에 1차·2차 공모할 계획이라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반트가 자사주 2000만주를, 기존 주주가 1000만주를 각각 매각한다. 매각 주주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434만3919주), 큐브이티(565만6081주) 등 두 곳이다. 이를 통해 로이반트는 1억 달러(약 1360억원)의 자금을 확보하고, 매각 주주들은 5000만 달러(약 680억원)를 회수한다. 로이반트는 공모에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30일 기간 내 최대 2250만 달러(약 310억원)의 보통주를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로이반트는 현재 자금 상황이 2025년 하반기까지 운용하기 충분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1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 제약사의 신약 개발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사업 모델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이다. SK그룹이 이 회사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매튜 글라인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잇따라 지분 매각에 나서며 눈길을 끈다. 3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글라인 CEO는 지난 24일(현지시간) 로이반트 주식 2만9주를 매각했다. 매각액은 주당 3.71달러로 총 7만4000달러(약 1억원) 수준이다. 이에 따라 글라인 CEO가 보유한 자사주는 120만4338주로 줄었다. 앞서 글라인 CEO는 지난 6월과 7월에도 각각 1만9855주, 2만0455주를 매도한 바 있다. 매각 규모는 17만4740달러(약 2억3520만원)어치다. 에릭 벤커 로이반트 최고운영책임자(COO)도 지난 24일 자사주 1만6530주(6만1300달러·약 8250만원)를 팔았다. 벤커 COO 역시 지난달 1만6896주를 주당 4.33달러에 처분한 바 있다. 29일 로이반트 주가는 3.60달러로 올해 들어 64%나 추락한 상태다. 로이반트는 지난 2분기 3억5400만 달러(약 48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 10억1100만 달러(약 1조3600억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크게 줄었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바이오테크업체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viant Sciences·이하 로이반트)가 경구용 빈혈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는 자회사를 세웠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로이반트가 설립한 자회사 헤마반트(Hemavant)는 일본 제약업체 에자이(Eisai)와 RVT-2001에 대한 글로벌 독점적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 RVT-2001은 동급최초의 잠재적 SF3B1(Splicing Factor 3B Subunit 1) 모듈레이터로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위험이 낮은 수혈의존성 빈혈(Transfusion-dependent Anemia)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은 골수 기능 이상에 따라 건강한 혈액세포를 충분하게 생성하지 못하는 여러가지 질환을 뜻한다. 말초 혈액에 혈액세포가 모자라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줄어들어 빈혈, 감염,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0~40%가량의 환자는 급성 백혈병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RVT-2001을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위험이 낮은 수혈의존성 빈혈 환자 치료를 위한 경구용 의약품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이 헤마반트의 구상이다. 올해 상반기 내에 현재 이뤄지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일본계 글로벌 제약사 에자이(Eisai)로부터 항암제 물질에 대한 글로벌 독점 사용권을 따냈다. 항암신약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로이반트와 에자이는 연구용 항암제 물질 'H3B-8800'의 글로벌 연구·개발·제조·판매 등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 물질은 에자이 자회사인 미국 바이오 기업 H3바이오메디슨(H3 Biomedicine)이 개발한 스플라이싱 인자 유전자 변이(SF3B1) 경구용 저분자 조절제다. 에자이와 H3는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SF3B1를 지닌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로이반트는 에자이 측에 비공개 계약금을 선지급하고 향후 개발 단계에 따라 기술료를 추가로 제공한다. 제품 상용화 이후 판매 수익의 로열티로 지불한다. 로이반트는 새로 설립한 자회사 반트를 통해 이 물질을 사용한 저위험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의 수혈 의존성 빈혈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골수이형성증후권은 골수의 증식과 구성 세포들의 이형성, 비효율적인 조혈을 특징으로 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SK그룹이 투자한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의 4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40% 줄어들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미국 투자정보회사 잭스인베스트먼트에 따르면 로이반트는 4분기 매출 842만 달러(약 10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매출은 3593만 달러(약 430억원), 내년 매출은 5616만 달러(약 670억원)로 예상된다. 로이반트는 앞서 지난 3분기 매출 1390만 달러(약 16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130만 달러(약 15억원)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다만 순손실은 2억2564만 달러(약 2680억원)로 전년 5350만 달러(약 630억원) 순손실에 비해 적자 폭이 크게 늘었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1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 제약사의 신약 개발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사업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SK의 파트너사로서 이름이 알려졌다. 앞서 SK㈜는 지난해 로이반트에 2억 달러(약 2370억원)를 투자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미
[더구루=홍성환 기자] SK그룹이 투자한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에 대한 금융투자업계의 눈높이가 높아지고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로이반트에 대한 커버리지를 시작하면서 투자의견 '매수(Buy)'와 목표주가 15.00달러를 제시했다. 목표주가는 20일(현지시간) 종가 13.52달러를 11% 가량 웃도는 수치다. 앞서 미국 투자업체 트루이스트증권도 지난 10월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15.00달러를 제시한 바 있다. 로이반트는 투자 매력이 부각되면서 최근 한 달 새 주가가 무려 72%나 뛰었다. 아버터스 바이오파마가 미국 제약사 모더나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관련 특허 소송에서 이기면서 아버터스의 특허를 공유하는 로이반트가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데 따른 것이다. <본보 2021년 12월 3일자 참고 : [단독]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특허소송 패소…'SK 투자' 로이반트 수혜 기대감>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10년 이상 소요되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제약사 모더나(Moderna)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한 특허 소송에서 패소했다. 이에 특허를 보유한 아버터스 바이오파마(Arbutus Biopharma)에 수천억원에 달하는 로열티를 물어줘야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아버터스의 파트너십을 맺은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도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연방항소법원은 지난 1일(현지시간)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아버터스가 보유한 특허를 무효화해 달라며 제기한 소송을 기각했다. 앞서 모더나는 지난 2018년 처음 아버터스 특허에 대해 미국 특허청(USPTO)에 무효 소송을 청구했는데, 당시 특허심판과 항소위원회는 아버터스의 손을 들어줬다. 연이은 승소로 아버터스가 모더나를 상대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로열티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나온다. 로열티는 수천억원대로 예상된다. 모더나는 올해 150억~180억 달러(약 18조~21조원)의 백신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로이반트의 주가가 크게 뛰었다. 지난 1일 로이반트 주가는 34.09%나 급등했다. 해당 특허가 로이반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2027년 일본에서 항공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일본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항공(JAL)은 2027년 항공택시 운항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 초 오사카에서 시험 비행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처는 앞서 작년 11월 일본항공·스미토모 합작사인 '소라클'과 최대 5억 달러 규모의 항공기 구매 계약을 포함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일본에서 미래항공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소라클은 아처의 전기 수직이착륙항공기(eVTOL) '미드나이트'를 최대 100대 주문할 예정이다. 도쿄를 비롯해 오사카, 나고야, 홋카이도, 오키나와 등 주요 도시에 노선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처는 조비에비에이션과 함께 eVTOL 산업 선두주자다. 아처가 개발 중인 미드나이트는 조종사 이외에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eVTOL다. 32㎞의 짧은 연속 여행에 최적화됐으며, 충전 시간은 약 10분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최대 방산 조선소 '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HII, 이하 헌팅턴 잉글스)'가 호주 핵 잠수함 공급 사업을 위한 현지 파트너사 선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영국·호주 등 3국의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를 바탕으로 핵심 기술과 산업 협력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헌팅턴 잉글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6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미국 메릴랜드주에서 개최된 '해양항공우주 전시회(Sea Air Space 2025)'에서 자사 공급망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이수한 호주 기업 5곳에 인증서를 수여했다. 버즈니아주 뉴포트에 위치한 헌팅턴 잉글스의 뉴포트 뉴스 조선소(NNS) 공급업체 식별 번호도 부여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호주 각 주정부가 주도하는 '공급망 역량 강화 프로그램(Supplier Capability Uplift Programs)'의 일환이다. 지난 3월 호주 국방부 리처드 말스 부총리가 공식 발표한 '호주 잠수함 공급업체 자격 인증(AUSSQ)' 제도와 연계된다. 헌팅턴 잉글스가 주도한 프로그램을 이수해 공급업체 식별 번호를 받은 기업들이 향후 AUSSQ 절차를 완료할 경우, 뉴포트 뉴스 조선소의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