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루카 데 메오 그룹 최고경영자(CEO)를 전기차 전문 자회사 '암페어(Ampere)' 수장으로 앉혔다. 기업공개(IPO) 등 주요 사안을 앞두고 전문 경영인을 전면에 배치해 분할에 속도를 낸다. 르노그룹은 19일(현지시간) 메오 CEO가 그룹 CEO와 암페어 회장 겸 CEO를 겸직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암페어 신임 최고운영책임자(COO)와 최고재무책임자(CFO)에도 르노그룹의 고위 임원을 임명했다. 르노그룹이 그룹 내 핵심 인력들을 암페어 경영진에 임명한 만큼 암페어는 향후 주요 계열사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있는 가운데, 암페어가 르노그룹의 미래를 책임지는 막중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직개편은 암페어 분할 작업의 일환이다. 르노그룹은 지난 2년여 간 추진해 온 암페어 스핀오프 프로젝트가 올 하반기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암페어는 상장도 준비하고 있다. IPO 감독을 위한 임시위원회도 꾸렸다. 위원회는 장 도미니크 세나르 르노그룹 회장이 이끈다. 파리증권거래소에 상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르노그룹은 지난해 11월 전기차와 관련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 고성능 브랜드 '알핀(Alpine)'의 신차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장착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LG에너지솔루션과 르노 간 동맹이 공고해지며 수주 물량 확대가 기대된다. 11일 르노에 따르면 알핀은 지난 9일(현지시간) 소형 전기 스포츠카 신모델 'A290' 베타버전을 공개했다. 내년 공식 출시 예정이다. 배터리는 기존 공급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 엔비전 AESC가 납품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새롭게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한 '베르코어' 배터리를 채택할 것이라는 설(說)이 제기됐으나 베르코어는 오는 2025년 완공 예정인 현지 기가팩토리에서 배터리를 생산해 공급키로 했다. 다만 2025년 이후 생산될 A290에는 베르코어 배터리가 탑재될 가능성도 있다. 또 아직까지 A290 세부 라인업이 공개되지 않은 만큼 배터리 용량 등에 따라 모델을 세분화, 각기 다른 제조사의 배터리를 장착해 판매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10년부터 르노와 파트너십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르노의 간판 전기차 조에(ZOE)와 메간 e비전, 올 뉴 메간 등에 배터리를 공급했다. 알핀 전기차 배터리도 책임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핀란드 금속업체와 손잡고 황산니켈을 조달한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을 선제적으로 확보,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그룹은 '테라페임(Terrafame)'과 황산니켈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간 최대 15GWh 규모를 공급 받는다. 30만 대의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양사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전기차 배터리 화학물질 생산에 사용되는 솔루션을 넘어 추적 가능한 세부 측정 지표를 마련할 예정이다. 향후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 내 다른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하는 구속력 있는 계약도 체결한다. 특히 생산 공정에서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집중한다. 테라페임의 미생물용출(bioleaching) 공정은 산업 평균보다 약 90% 적은 에너지로 황산니켈을 생산한다는 게 르노그룹의 설명이다. 미생물용출 공정을 활용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평균보다 약 40%, 아황산가스 배출량은 2%, 에너지 소비량은 20% 적다. 지안루카 데 피치(Gianluca De Ficchy) 르노그룹 구매담당은 "테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