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미국 5대 은행 US뱅코프(Bancorp)를 비롯해 주요 은행·자산운용사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획득했다. 친환경적인 재활용 기술로 성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핀란드 기계 회사로부터 뉴욕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에 활용할 장비를 공급받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최대 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이 뉴욕에 리튬과 니켈 등 핵심 원료를 추출하는 공장을 짓는다. 당초 계획보다 용량을 40% 확장하며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공략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영국 전기 상용차 회사 '어라이벌'(Arrival)이 사용한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최근 어라이벌과 전기차용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운행하는 어라이벌 전기차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다. 아직 구체적인 재활용량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어라이벌 밴의 생산이 내년 3분기로 계획된 만큼 재활용 배터리가 발생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양사는 그때까지 우선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효율성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배터리 재활용에 그치지 않고 좀 더 건설적인 협력을 이뤄나가겠다는 것. 디펜 소메이야(Deepen Somaiya) 어라이벌 부사장은 "전기차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은 어라이벌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리사이클과 협력을 통해 배터리 재활용을 더욱 발전시켜 전기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전기차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리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코크그룹이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에 투자한다. 전기차 시대가 다가오며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코크 인베스트먼트의 자회사 코크 스트레티직 플랫폼(Koch Strategic Platforms, 이하 KSP)은 리사이클이 발행한 1억 달러(약 1180억원) 상당의 전환 사채를 매입한다. 리사이클은 2016년 캐나다 온타리오에 설립된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다. 니켈과 리튬, 코발트 등을 95% 이상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지난달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KSP는 이번 투자로 리사이클의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리사이클은 뉴욕주 로체스터 1억7500만 달러(약 2030억원)를 투자해 2만5000t의 처리 능력을 갖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 연말 착공할 예정이다. 코크 그룹의 엔지니어링 계열사 코크 엔지니어드 솔루션즈(Koch Engineered Solutions, 이하 KES)와 KES의 자회사 옵티마이즈드 프로세스 디자인즈(Optimized Process Designs)가 공장 건설에 협업한다.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됐다. 6700억원 이상 조달해 폐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11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페리닷(Peridot Acquisition Corp)과 합병을 통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종목 기호는 'LICY'로 기업 가치는 15억5000만 달러(약 1조8030억원)로 추정된다. 파이프(PIPE) 투자에는 미국 자산운용사 누버거버먼 펀드(Neuberger Berman Funds)와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카르넬리안 에너지 캐피탈(Carnelian Energy Capital), 아부다비의 국부펀드인 무바달라 캐피탈(Mubadala Capital)이 참여했다. 리사이클은 약 5억8000만 달러(약 6740억원)를 조달했다.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연구와 상용화에 자금을 쓸 계획이다. 리사이클은 뉴욕주 로체스터 1억7500만 달러(약 2030억원)를 쏟아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 2만5000t의 처리 능력을 갖춘 공장으로 연말 착공이 예상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