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도시바를 손에 넣을 후보가 압축되고 있다. 미국 투자펀드 KRR(콜버스 크래비스 로버츠)가 인수를 포기하면서 베인캐피탈(이하 베인)이 도시바의 새로운 주인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KRR은 도시바를 인수하기 위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현재 베인을 비롯해 일본 사모펀드인 일본산업파트너스(Japan Industrial Partners)와 국영펀드 JIC(Japan Investment Corp.) 간 컨소시엄 등이 실사를 진행하는 2차 라운드까지 진출했다. KKR은 도시바 특별위원회, 일부 주주, 기타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들과 비공식적 논의를 진행하는 등 도시바 인수에 적극 나서왔다. 하지만 실현 가능성 등을 따져본 결과 거래의 복잡성 등으로 입찰을 중단했다. 다만 지분 파트너로서 참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KKR이 인수를 포기하면서 베인이 유력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다. 베인은 지난 2018년 SK하이닉스와 함께 세계 2위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회사인 키옥시아(도시바메모리)를 품었다. 도시바는 여전히 키옥시아의 지분 약 40%를 보유하고 있다. 베인이 내부 사정을 잘 아는 만큼 적임자라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10대 사모펀드인 미국 베인캐피탈이 일본 도시바 인수에 성공하면 회사를 쪼개지 않고 현 경영진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사모펀드의 인수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달래고자 애를 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유지 스기모토(Yuji Sugimoto) 베인캐피탈 아시아 사모펀드 공동 대표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일본 니케이아시아에서 "도시바 사업을 유지하고 자산 처분을 자제하겠다"며 "해체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베인캐피탈은 (도시바) 그룹을 발전시키고자 현 경영진과 함께 개혁을 추진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인수 의지를 피력했다. 향후 도시바 운영 계획에 대해서도 "비용 절감보다 사업 확대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도시바는 2015년 회계 부정과 이듬해 미국 원전 자회사의 손실 등으로 위기에 처했다. 기업가치를 제고하고자 반도체 담당 디바이스와 인프라서비스 사업 등 2개로 분할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지난달 임시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도시바의 최대 주주인 에피시모캐피털을 비롯한 행동주의 펀드들은 통매각을 주장해왔고 베인캐피탈이 인수 의사를 내비쳤다. 베인캐피탈은 에피시모캐피털과 주식 공개매수(TOB) 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보톡스 기업 휴제를 매각한 베인캐피탈이 일본 의료 소프트웨어 기업인 '링크웰'에 투자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링크웰의 시리즈C 라운드 투자 펀딩을 주도했다. 링크웰은 이번 라운드 펀딩을 통해 6970만 달러(약 832억원)를 확보했다. 이번 투자에는 링크웰의 기존 투자자인 DCM 벤처스, 인큐베이트 펀드 들이 참가했다. 링크웰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정부의 의료 부문 디지털화 가속화를 지원하면서 건강 기술 플랫폼을 빠르게 구축,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베인캐피탈은 글로벌 의료 기술 투자 노하우를 활용해 링크웰의 성장을 지원할계획이다. 현재 베인캐피탈 포트폴리오 내에는 통합 의료 관리 솔루션 업체인 미국의 젤리스 헬스케어도 포함됐다. 특히 베인캐피탈은 일본 투자팀을 25% 증가 시키면 일본 내 다수 기업을 인수하고 있다. 베인캐피탈은 이달 초 75억 달러를 투입해 히타치 금속을 인수하기로 했으며 이후 보안회사인 재팬세이프의 지분 51%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베인캐피탈은 지난 8월 국내 보톨리놈 톡신 1위 기업 휴젤을 GS그룹 등이 포함된 다국적 투자 컨소시엄에 1조7000억원에 매각했다. 베인캐피탈은 지난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년 내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생산량을 50만 대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대규모 양산 체제를 통해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를 앞당기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머스크 CEO가 9일(현지시간) 공유한 마케팅 회사 '스태그웰(Stagwell)'의 마크 펜 CEO와 엑스(X·옛 트위터)에서 진행한 약 35분 분량의 온라인 인터뷰 영상에 따르면 그는 "올해 수천 대를 만들고 테슬라 공장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상황이 잘 된다면 우리는 내년에 생산량을 10배로 늘릴 것"이라며 "내년에 5만~10만 대를 생산하고 그 다음 해에 또 10를 늘려 3년 안에 최소 50만 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테슬라의 옵티머스 로봇은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휴머노이드 로봇"이라며 "향후 로봇 대 인간의 비율은 3대1, 4대1, 심지어는 5대1이 되고 전 세계에 200억~300억 대의 로봇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가 밝힌 옵티머스 생산 계획은 업계 전망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존 머피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애널리스트는 테슬라가 올해 말까지 현장에 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 Co, 이하 프롤로지움)'가 4세대 리튬 세라믹 배터리(LCB)를 처음 공개했다. 3세대보다 에너지밀도와 충전 속도 모두 월등히 향상시켰고, 화재 방지를 위한 기술들을 적용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프롤로지움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7~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4세대 LCB를 처음 선보였다. 에너지밀도는 3세대 LCB 359Wh/kg에서 4세대 380Wh/kg로 늘었다. 3세대 배터리가 60% 충전까지 5분, 80%까지 8.5분 걸렸다면, 4세대는 60%까지 4분, 80%까지 6분으로 단축됐다. 또한 영하 20°C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발휘하고, 무기 고체 전해질을 활용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화재 위험이 낮다. 고온에서는 '능동 안전 매커니즘(Active Safety Mechanism)'이 작동해 열 폭주가 방지된다. 프롤로지움은 극한의 환경(온도 300°C·전압 20V)과 과충전(250%) 상태에서 테스트를 수행해 안전성을 입증했다. 유럽 자동차연구개발위원회(EUCAR)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