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개발 업체 사이퀀텀(PsiQuantum)이 미국 정부로부터 양자 칩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대규모 자금을 확보했다. 글로벌파운드리까지 합세, 핵심 기술과 부품 개발을 가속화해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를 앞당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사이퀀텀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국방부(DoD) 산하 공군연구연구소(AFRL)와 양자 칩 공동 개발 프로젝트 관련 2250만 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 뉴욕 몰타 소재 글로벌파운드리 반도체 팹에서 칩을 생산할 예정이다. 양자컴퓨팅은 기존 컴퓨터보다 더 많은 양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양자컴퓨터는 물리량의 최소 단위인 양자의 특성을 이용한다. 기존 컴퓨터는 0과 1을 각각 표현하는 비트(bit) 단위로 계산한다. 양자가 지닌 고유 특성인 중첩현상을 활용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는 큐비트(Qubit) 단위로 연산한다. 글로벌파운드리와 사이퀀텀은 지난 2017년부터 양자컴퓨터 개발에 협력해왔다. 작년 초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협업을 공식화했다. 오는 2025년까지 100만 큐비트 이상의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5월 글로벌파운드리의 300mm(12인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을 위해 미국 양자컴퓨터 업체 사이퀀텀(PsiQuantum)과 손잡았다. 핵심 소재인 전해질 연구에 양자컴퓨터를 활용, 배터리 성능을 개선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 연구개발(R&D)팀과 사이퀀텀은 새로운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 조합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내결함성 양자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사용하던 슈퍼컴퓨터보다 수백만배 빨라 전반적인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해질은 배터리 4대 소재 중 하나다. 양극과 음극 사이를 오가는 리튬이온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한다. 에너지 밀도, 충전 속도, 배터리 수명, 주행거리, 생산 비용, 안전성 등 배터리 성능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공동연구팀은 양자 알고리즘을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액 첨가제인 FEC(Fluoroethylene Carbonate)의 효과를 시험했다. 분석 결과 배터리에 최적화된 설계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여러번 수행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나 시간 등 리소스를 절약, 궁극적으로 연구개발 일정을 앞당길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글로벌파운드리가 미국 정부로부터 양자컴퓨터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대규모 자금을 확보했다. 핵심 기술과 부품 개발을 가속화해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를 앞당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DoD) 산하 공군연구연구소(AFRL)는 글로벌파운드리와 미국 양자컴퓨터 개발 업체 사이퀀텀(PsiQuantum)의 공동 프로젝트에 2500만 달러(약 306억원) 규모 보조금을 지원한다. 양측은 양자컴퓨팅에 대한 공동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다. 양자컴퓨팅은 기존 컴퓨터보다 더 많은 양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양자컴퓨터는 물리량의 최소 단위인 양자의 특성을 이용한다. 기존 컴퓨터는 0과 1을 각각 표현하는 비트(bit) 단위로 계산한다. 양자가 지닌 고유 특성인 중첩현상을 활용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는 큐비트(Qubit) 단위로 연산한다. 글로벌파운드리와 사이퀀텀은 확보한 자금을 양자컴퓨터용 구성 요소의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시설 구축과 장비 설치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글로벌파운드리가 추진 중인 양자컴퓨팅 칩 관련 신규 프로젝트 자금으로도 사용한다. 글로벌파운드리와 사이퀀텀은 지난 2017년부터 양자컴퓨터 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정부가 IT서비스 기업 HCL그룹과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설립을 허가했다. 새로운 웨이퍼 공장 건설로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폭스콘의 탈중국화가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반도체미션(ISM)은 HCL그룹과 폭스콘의 370억6000만 루피(약 6040억원) 규모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건설을 승인했다. 인도 정부의 성명에 따르면 HCL-폭스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은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 주 주와르 공항 인근에 들어선다. 상업 생산은 2027년부터 시작되며, 월 웨이퍼 2만장,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칩 3600만개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승인으로 인도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확장에 속도가 붙게 됐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집권 이후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펼치며, 아시아 생산 거점이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전자 제품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 반도체 역량 확보에 주력해왔다. 또한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새우 신세'가 된 폭스콘의 탈중국화 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콘은 트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만 반도체 회사 글로벌웨이퍼스가 미국 최초 300㎜(12인치) 실리콘 웨이퍼 공장의 문을 열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에 300㎜ 실리콘 웨이퍼 공장을 준공했다. 글로벌웨이퍼스는 이 공장 건설과 관련해 반도체 및 과학법(칩스법)에 따라 4억600만 달러(약 57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웨이퍼는 반도체 칩 생산의 기초 토대가 되는 핵심 소재다. 반도체 전공정(Front-End) 전 과정은 웨이퍼 표면 위에서 이뤄지며 웨이퍼 품질이 전체 수율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웨이퍼는 단순 재료가 아닌 기술과 품질이 집약된 고부가 소재로 평가받는다. 300㎜ 실리콘 웨이퍼는 일본 신에츠화학과 한국 SK실트론, 글로벌웨이퍼스 등 5개 주요 기업이 글로벌 시장 80%를 장악하고 있다. 한편, 미국 텍사스주는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을 운영하는 비용이 적게 들고, 규제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도 텍사스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