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SRA자산운용이 유럽 오피스·물류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유럽 주요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상업용 부동산의 자산 가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은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SRA자산운용은 미국계 부동산 투자회사 AEW캐피탈에 유럽 부동산 투자를 위한 자금 3억7500만 유로(약 5040억원)를 일임했다. 이 자금은 유럽 오피스와 물류센터 투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주거용 부동산과 생명공학 연구시설 등 분야에도 투자 기회를 모색한다. 삼성SRA자산운용은 최근 몇년새 꾸준히 유럽 부동산에 대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에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인 인플루언스(Influence)를 인수했다. 지난 2019년에도 파리에 있는 오피스인 뤼미에르(Lumière)에 투자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10월 20일자 참고 : [단독] 삼성SRA자산운용, 파리 생투안 오피스 빌딩 인수> 최근 유럽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KB증권의 'KB 상업용 부동산 : 유럽 오피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유럽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는 4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생명이 해외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자산운용 수익 확대를 위해 부동산을 비롯해 대체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는 모습이다. 미국 부동산 운용사 누빈리얼에스테이트는 25일(현지시간) 미국 내 다가구 주택에 투자하는 폐쇄형 펀드 '카사 파트너스 4호(CASA Partners Ⅳ)'에 4억1000만 달러(약 5880억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삼성생명·삼성SRA자산운용과 함께 네덜란드 운용사 바우인베스트(Bouwinvest)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 펀드는 자본 부족·부채 과다·관리 부실 등의 임대 부동산을 인수한 뒤 리모델링해 자산 가치를 높이는 '벨류에드(Value-add)' 전략으로 투자한다. 투자 대상은 B급 정원양식 다가구 주택이다. 현재 해당 펀드는 약정 자본의 절반을 투자해 오레곤주·조지아주·노스캐롤라이나주·애리조나주·플로리다주 등에 있는 6개 자산을 인수했다. 누빈리얼에스테이트 관계자는 "기존 투자자와 신규 투자자의 강력한 지원과 관심을 받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미국 부동산 시장은 주택 부족으로 자산을 재배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정근 삼성SRA자산운용 대표는 "우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SRA자산운용이 프랑스 파리 사무실 건물에 투자했다. 지역 의회가 장기 임차하고 있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이 기대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SRA자산운용은 프랑스 부동산 자산운용사 프리모니얼 하임(Primonial REIM)과 함께 티시먼 스파이어(Tishman Speyer)로부터 파리 북부 생투앙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인 인플루언스(Influence)를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인플루언스는 지난 2017년 완공된 빌딩으로 7층짜리 건물 2개 동으로 구성됐다. 전체 면적인 3만3000㎡다. 일드프랑스 지역 의회가 12년 장기 임차 계약을 맺고 있다. 그레고리 프라펫(Grégory Frapet) 프리모니얼 하임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인수는 높은 환경 기준을 충족하고 입주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부동산에 투자하는 우리의 전략과 일치한다"며 "생태지구(Eco-District)에 있는 복합도시공간에 투자해 도시의 가치를 높이고 투자자에게 장기 임대를 통한 수익성을 보장한다"고 전했다. 삼성SRA자산운용이 프리모니얼 하임과 손잡고 파리 오피스 빌딩에 투자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SRA자산운용이 회사 설립 이후 처음으로 투자했던 해외 물류 부동산인 독일 보름스 소재 물류센터를 매각했다. 6년여 만에 투자금을 회수하게 됐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SRA자산운용은 독일 서부 라인란트팔츠주(州) 보름스에 위치한 보쉬 물류센터를 글로벌 부동산 투자회사인 벤탈그린오크(Bentall Green Oak)에 매각했다. 구체적인 매각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 물류센터는 전체면적 8만㎡ 규모로, 창고와 사무시설로 구성돼 있다. 글로벌 자동차부품 및 전동공구 기업 보쉬가 물류센터 전체를 장기 임차하고 있다. 앞서 삼성SRA자산운용은 지난 2015년 이 물류시설을 1700억원에 매입한 바 있다. 이 회사가 해외 물류 부동산을 인수한 것은 이 자산이 처음이다. 삼성SRA자산운용은 설립 이후 주요 도시의 오피스 자산 투자에 집중해 오다가 보쉬 물류센터를 시작으로 투자 자산을 다각화했다. 삼성SRA자산운용은 삼성생명이 100% 출자한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로, 지난 2012년 설립됐다. 모회사인 삼성생명을 비롯해 그룹 내 금융 계열사의 지원을 바탕으로 시장에 안착했다. 지난해 기준 펀드설정액이 5조원을 웃돈다. 이는 업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임상 케이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럴링크는 미국 밖에서도 최초의 이식 수술을 진행하는 등 임상 범위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10일(현지시간) "전 세계적으로 뉴럴링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임플란트를 이식받은 환자가 12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7월 9번째 이식을 마무리한 후 40여일만에 3명의 임상 참여자가 늘어난 것이다. 뉴럴링크는 올해에만 9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했다. 새로 추가된 임상환자 중 2명은 유나이티드 헬스 네트워크(UHN) 산하 캐나다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8월 27일, 9월 3일에 각각 이식 수술을 받았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11월 캐나다에서 CAN-프라임 임상 연구의 승인을 획득하며 임상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특히 이번 캐나다 이식 수술은 미국 밖에서 진행된 최초의 뉴럴링크 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머지 한 명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뉴럴링크는 캐나다 외에도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에서 임상 참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탈리아 최대 방산기업 레오나르도가 필리핀 차세대 전투기 도입사업에 참전한다. 필리핀 공군에 유럽산 전투기인 유로파이터 타이푼(Eurofighter Typhoon) 구매를 제안하며 전투기 수출 기회를 창출한다. 레오나르도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다수 유럽 공군의 주력 전투기지만, 필리핀 방공 전력의 공백을 메우고 중국을 억제하고 전투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오나르도의 구매 제안을 필리핀이 받아들일 경우 유럽산 전투기 수출이 동남아시장으로 확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레오나르도는 8일(현지시간)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에 필리핀 공군(PAF)의 신형 다목적 전투기 도입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 32대를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레오나르도 측은 "구매 제안에는 현지 지원 및 공급을 위한 기술 이전과 더불어 1급 작전 능력의 모든 범위가 포함된다"며 "현지 산업의 수익 창출을 통해 필리핀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의 주요 공중급유 기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주력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은 레오나르도와 프랑스 에어버스, 영국 BAE시스템즈와 함께 만든 전투기이다.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