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Solid Power)가 독일 완성차 업체 BMW에 첫 배터리 셀 샘플을 공급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솔리드파워는 이달 초 BMW에 첫 번째 전고체 배터리 셀 샘플을 생산·납품했다. BMW는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 출시를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솔리드파워와 BMW는 지난 2017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앞서 양사는 작년 말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했다. 솔리드파워는 전고체 배터리 설계와 제조 관련 특허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하고, BMW는 특허 사용 대가로 2024년 6월까지 2000만 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본보 2022년 12월 22일자 참고 : 솔리드파워 구세주는 BMW?…전고체 배터리 파트너십 확장> 존 반 스코터 솔리드파워 최고경영자(CEO)는 "BMW에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 셀 샘플을 납품한 것은 중요한 이정표"라며 "공식적으로 자동차 인증 절차에 돌입함으로써 상용화에 가까워 지고 있다"고 전했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로 1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Solid Power)가 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존 밴 스코터(John Van Scoter) 솔리드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8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단기적으로 최우선 목표는 국제적으로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특히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전역에서 우리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과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잠재적 전기차(EV) 고객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소재·장비 공급업체와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우리의 운영 및 개발 능력이 이 지역의 놀라운 배터리 인재와 인프라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라며 "이러한 이유로 회사가 한국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의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를 선보여 주목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포드가 전고체 배터리 특허를 냈다. 외부 파트너십에 이어 자체 기술 확보에도 나서면서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포드의 자회사 포드 글로벌 테크놀로지스(Ford Global Technologies LLC)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청(USPTO)에 '고형셀과 형상기억합금이 포함된 견인 배터리'(Traction batteries with solid state cells and shape memory alloys)를 공개했다. 이 특허는 2021년 8월 30일 출원됐다. 다양한 방식으로 배터리셀을 배열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제품이다. 기존 리튬이온 대비 화재 위험을 크게 낮추고 에너지밀도를 높일 수 있어 전기차 업계의 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고 있다. 업계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이 2035년 28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드는 SK온, 미국 솔리드파워와 전고체 배터리를 공동 개발해왔다. 솔리드파워에 2019년에 이어 2021년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작년부터 테스트용 배터리를 공급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가 미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획득했다. 니켈·코발트 대신 황을 양극재 핵심 소재로 사용하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솔리드파워는 니켈·코발트를 양극재로 사용하지 않는 전고체 배터리 셀 개발 프로젝트가 미국 에너지부(DOE) 고등연구계획국(ARPA-E)의 지원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솔리드파워는 최대 560만 달러(약 70억원)의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비드 젠슨 솔리드파워 회장은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를 비싼 니켈과 코발트에서 황으로 대체하면 급속 충전 기능이 개선된 저렴한 배터리를 개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의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미국 콜로라도에 위치한 본사에 시험 생산 라인을 갖추고 시제품과 고체 전해질을 생산하고 있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8년 시리즈A 투자에는 삼성벤처투자, 현대자동차, 중국 완샹 A123 등이 참여해 2000만 달러를 모금했다. 포드와 BMW도 1억3000만 달러를 유치한 시리즈B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솔리드파워가 독일 BMW의 전고체 배터리셀 생산을 지원한다. 더그 캠벨 전 최고경영자(CEO)의 사임 후 주가가 폭락한 솔리드파워에 BMW가 날개를 달아줄지 이목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솔리드파워는 BMW와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솔리드파워는 전고체 배터리 설계와 제조 관련 특허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한다. BMW는 특허 사용 대가로 2024년 6월까지 2000만 달러(약 250억원)를 지급한다. BMW는 솔리드파워의 기술을 활용해 독일에 자체 파일럿 생산라인을 설치한다. 배터리셀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자 BMW의 직원들을 솔리드파워의 생산시설로 보내 함께 일하고 노하우를 전수받도록 할 계획이다. 다만 이번 거래에는 황화물 기반 고체 전해질 원재료에 대한 특허가 포함되지 않았다. 솔리드파워는 별도의 계약을 체결해 전해질 원재료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솔리드파워는 BMW와 2017년 인연을 맺었다. BMW의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전고체 배터리를 공동으로 개발해왔다. BMW는 1억3000만 달러(약 14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라운드에도 참여했다. 데이비드 잰슨 솔리드파워 임시 CEO는 "이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Solid Power)를 11년간 이끌어온 더글라스 캠벨 최고경영자(CEO)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다. [유료기사코드] 솔리드파워는 29일(현지시간) 캠벨 CEO가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캠벨 CEO는 지난 2012년 1월 이 회사 대표로 선임된 이후 11년 가깝게 회사를 경영했다. 이 기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상당한 진전을 이뤘고, 작년 12월에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증시에 상장했다. 캠벨 CEO는 "솔리드파워 CEO로 10년 넘게 재직하며 성취한 결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회사의 중요한 주주로 남아 회사의 발전을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다. 당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의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를 선보이며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황화물 기반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제조 비용은 저렴하면서 화재의 위험성이 낮고 에너지 밀도는 높다. 때문에 전기차 주행거리를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차세대 핵심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SK온은 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의 시제품을 BMW와 포드에 공급하고 테스트를 진행한다. 테스트 이후 SK온과 함께 생산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솔리드파워는 6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주 루이빌(Louisville)에 위치한 시험 생산시설에 '솔리드 스테이트 셀' 생산을 위한 설비를 구축하고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풀가동 시 주당 300개 셀을 생산, 연간 약 1만5000개에 달하는 셀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솔리드파워 측 설명이다. 연말까지 BMW와 포드에 공급을 마친 뒤 타당성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더그 캠벨( Doug Campbell) 솔리드파워 최고경영자(CEO)는 "남은 분기 동안 우리는 EV 셀 파일럿 라인 전체를 완벽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계획대로 연말 파트너사에게 전고체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타당성 테스트 이후 2026년께 전고체 배터리 생산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솔리드파워는 이를 위한 파트너사로 SK이노베이션 자회사 배터리기업 SK온을 꼽았다. 앞서 SK온은 지난해 10월 솔리드파워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한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의 주요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 약 9000만여주가 시장에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솔리드파워는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안내서에서 더그 캠벨 최고경영자(CEO)와 디카보나이제이션 플러스 애퀴지션(Decarbonization Plus Acquisition) 및 주요 사모 투자자 등이 보유한 주식 8968만4876주와 사모 신주인수권 766만6667주를 매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29일 종가(9.04달러) 기준 약 1조원어치다. 솔리드파워 측은 "매도 증권 보유자가 주식 일부 또는 모두를 판매하거나 전혀 판매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안내서를 공개한 이후 언제 또는 얼마에 매도했는지 알 수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매도 증권 보유하는 해당 주식을 다양한 방법과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솔리드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한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의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미국 콜로라도에 위치한 본사에 시험 생산 라인을 갖추고 시제품과 고체 전해질을 생산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이하 팔란티어)가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새로운 불법 이민자 관리 시스템을 공급한다. 팔란티어는 이번 계약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자진 추방(self-deport)'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미국 연방 조달 데이터 시스템(FPDS)에 따르면 팔란티어는 ICE와 30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소프트웨어(SW)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팔란티어는 올해 9월 25일 이전까지 ICE에 이민 수명주기 운영 시스템(Immigration Lifecycle Operating System, 이하 이민 운영 시스템)의 시제품을 공급한다. 조달 서류 등에 따르면 이민 운영 시스템은 미국 내 불법 체류자와 자진 추방자, 추방 대상자 등을 실시간 추적과 추방에 사용된다. 특히 관세국경보호청(CBP)과 추방자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면 단 몇 초만에 추방 대상자의 이동 경로와 관계망 등 다양한 추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CE가 팔란티어와 계약을 체결한 이유는 자진 추방자 관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의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Space X)의 플로리다 기가베이(Gigabay) 구축 프로젝트가 속도를 내고 있다. 스페이스X는 텍사스와 플로리다에 기가베이를 구축, 스타십 제작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기가베이는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인 스타십(Starship)이 발사 전 머무르는 시설로, 최종 점검과 조립 등이 진행된다. 현재 텍사스 스타베이스와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 내 로버츠 로드에 구축되고 있다. 플로리다에 건설되는 기가베이는 높이 113m, 작업공간 7만5700㎡(약 2만2900평형) 규모다. 21일 미국 항공우주 전문매체 나사스페이스플라이트(NASASpaceFlight, NSF)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플로리다 기가베이의 작업공간 레이아웃 구성을 완료했다. NSF가 공개한 항공사진에 따르면 플로리다 기가베이는 6개 작업공간이 4열로 배치된 형태다. 2개열 사이에는 이동통로가 위치한다. 스페이스X는 2개 작업공간마다 400톤급 크레인 한 대, 이동통로에 좀 더 작은 크레인 한 대를 배치할 예정이다. NSF는 "기가베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건물 내부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리프트 작업이 가능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