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회사 오픈웹이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CBO)를 발탁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픈웹은 12일(현지시간) 마크 하워드를 CEO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마크 하워드는 향후 오픈웹의 추가 파트너, 광고주 확보를 중심으로 수익성 향상 목표를 총괄하게 된다. 마크 하워드는 미국은 물론 캐나다, EMEA 전역의 비즈니스 팀을 감독하는 등 핵심 경영진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마크 하워드는 20년 이상 미디어업계 세일즈 부문에서 경력을 쌓아온 베테랑이다. 1998년 안데르손&렘브케에서 어시스턴트 미디어 플레너로 경력을 시작한 마크 하워드는 2002년 포브스에 입사해 17년간 근무했다. 2013년부터는 포브스의 최고 매출 책임자(CRO)를 맡아 포브스의 전반적인 비즈니스를 이끌었다. 그리고 지난 2020년 펜스케 미디어로 자리를 옮겨 최고 광고 책임자를 맡아오다 이번에 오픈웹에 합류하게 됐다. 이외에도 마크 하워드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 미국 인터넷광고협회(IAB)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며 미국 광고 업계 내에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오픈웹은 미국 광고업계 최고 베테랑 중 한명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 전문 자회사인 삼성넥스트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회사 오픈웹(OpenWeb)이 프랑스의 광고 플랫폼 업체를 1억 달러에 인수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픈웹은 12일(현지시간) 글로벌 디지털 광고 플랫폼 업체인 '애드유라이크(ADYOULIKE)'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오픈웹은 이번 인수를 위해 현금과 주식을 합쳐 1억 달러(약 1230억원)를 투입했다. 오픈웹에 인수된 애드유라이크는 2011년 프랑스 파리에 설립된 디지털 광고 플랫폼 기업이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의 가독성과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의 광고인 '네이티브 광고' 중점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픈웹은 지난 1월 디지털 광고 퍼블리싱 플랫폼 개발사 '하이브 미디어 그룹(Hive Media Group)'을 인수한 데 이어 애드유라이크까지 인수하며 사업 규모를 빠르게 확장하게 됐다. 오픈웹은 애드유라이크 인수에 따라 4000개 이상의 브랜드, 대행사, 퍼블리셔와의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됐으며 네이티브 광고 기술도 기존 고객사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 애드유라이크에서 일하던 70여명의 직원들도 합류해, 회사 규모를 30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 전문 자회사인 삼성넥스트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회사 오픈웹(OpenWeb)이 디지털 광고 퍼블리싱 업체를 인수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픈웹은 19일(현지시간) 디지털 광고 퍼블리싱 플랫폼 개발사 '하이브 미디어 그룹(Hive Media Group)'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오픈웹은 정확한 인수 금액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인수로 하이브 미디어 그룹 내 60명 직원들은 오픈웹으로 합류하게 된다. 또한 하이브 미디어 그룹은 오픈웹 내 독립 사업부로 운영, 자체 개발 역량을 꾸준히 키워나갈 계획이다. 또한 향후 오픈웹 플랫폼에 하이브 미디어 그룹의 기술을 접목, 오픈웹 커뮤니티 성능을 강화한다. 하이브 미디어 그룹은 세션 최적화, 유저 확보, SEO 도구 기술 등을 제공한다. 오픈웹 관계자는 "하이브 미디어의 오픈웹 합류를 환영한다. 우리는 게시자의 수익을 개선하고 청중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최고의 기술을 찾고 있다"며 "이번 인수를 통해 우리는 이런 노력을 배가하고 혁신을 위한 더 큰 역량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오픈웹은 2012년 미국 뉴욕에 설립됐다. 허스트와 야후, 펜스케 미디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의 AI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를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블룸에너지는 "오라클과 AI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 기술을 구축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블룸에너지는 90일 이내에 미국 내 주요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마헤시 티아가라잔 OCI 부사장은 "대규모 기가와트(GW)급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 포트폴리오에서 OCI 서비스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블룸에너지의 연료전지 기술은, 신속하게 구축하고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깨끗한 전력을 제공해 최첨단 AI 인프라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만 조시 블룸에너지 최고상업책임자(CCO)는 "OCI는 가장 발전된 AI 및 컴퓨팅 워크로드의 성능과 안정성 요구를 충족되도록 설계된 전력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며 "이번 협력으로 오라클은 안정적·친환경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블룸에너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업이다. 현
[더구루=홍성일 기자] 화웨이가 개발하고 있는 2세대 트리폴드(3단 접이식) 스마트폰에 대한 추가 정보가 공개됐다. 화웨이는 신형 모델을 앞세워 삼성전자와 고급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을 두고 일전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화웨이 메이트XT 2세대 모델이 그린란(Greenlan)이라는 코드명으로 개발되고 있다"며 "출시 일정은 9월로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화웨이 메이트XT는 세계 최초의 트리폴드 스마트폰으로 지난해 9월 출시됐다. 메이트XT의 화면 크기는 두 번 접었을 경우에는 6.4인치, 모두 펼쳤을 경우에는 10.2인치에 달한다. 두께는 두 번 접었을 때 3.6mm, 무게도 306g에 불과하다. 메이트XT는 가장 저렴한 모델은 1만9999 위안(약 390만원)에 달했지만 중국에서만 500만 명이 넘게 사전예약에 참여했다. 화웨이는 지난 2월 메이트XT 얼티밋이라는 이름으로 글로벌 버전을 출시했으며, 약 2개월만에 2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메이트XT의 후속모델에 대한 소식은 올해 초부터 전해졌다. 올해 1월 중국 IT팁스터 '픽스 포커스 디지털(定焦数码)'는 화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