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신세계 이마트가 미국 식품 배달 1위 플랫폼 기업인 '도어대시(DoorDash)'와 협업한다. 디지털 고객 접점 확대를 통해 현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미국 자회사인 굿푸드홀딩스가 운영하는 브랜드 '브리스톨 팜스(Bristol Farms)'는 '도어대시'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산타 바바라에서 팜 데저트까지 남부 캘리포니아 전역에 ‘당일 배송’을 골자로 한 주문형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소비자들은 도어대시 앱과 웹사이트에서 브리스톨 팜스이 판매하는 육류·생선·치즈·특산품·일반식품 등을 구매하면 당일에 집에서 배송받을 수 있다. 아담 콜더커트 브리스톨 팜스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손님이 새롭고 흥미로운 제품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며 "도어대시와의 파트너십은 브리스톨 팜스가 제공하는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있는 편리한 원스톱 상점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굿푸드홀딩스는 도어대시와의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뉴시즌 마켓 △뉴리프 마켓 등에도 식료품 배달 서비스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마트는 지난 2018년 12월 미국 프리미엄 식품업체
[더구루=김다정 기자] 이마트 미국 자회사 '굿푸드홀딩스'(Good Food Holdings)가 뉴시즌스마켓(New Seasons Market)의 캐셔 등의 시간당 급여를 파격적으로 인상했다. 현지 최저 임금 대비 50% 높은 수준이다. 이번 결정이 국내 사업장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뉴시즌스마켓는 2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다음달 6일 부터 미국 오리건주와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24개 매장에서 시간제 직원을 대상으로 시간당 급여를 16.25달러(약 1만9195원)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미국 최저 시급(10.95달러) 대비 48.4% 높고, 내년 1월부터 시행 예정인 15달러 보다 8.5% 높은 수준이다. 특히 뉴시즌스마켓는 향후 최저 시급을 19.98달러(약 2만3612원·15달러 대비 33.2%)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번 인상은 매장 직원들의 기여도를 고려했다는 게 뉴시즌스마켓측은 설명했다. 랜시 리볼드(Nancy Lebold) 최고경영자(CEO)는 "경쟁력 있는 급여와 복리후생으로 직원을 지원하는 것은 창립 가치에 부합하는 뿌리 깊은 약속"이라고 밝혔다. 이어 "식료품 노동자는 지역 식품 경제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며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마트 라이트 세이버' 캠페인이 세계 3대 광고제 중 하나인 '칸 국제광고제(칸 라이언스)' 후보에 선정됐으나 아쉽게 수상에는 실패했다. 다만 이마트가 글로벌 유통 브랜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가 지난해 국내 매장에서 진행한 '라이트 세이버' 캠페인이 칸 국제광고제 디자인 라이언스 부문 후보에 올랐다. 최종 본상 수상에는 실패했다. 디자인 라이언스 부문의 경우 1262개 후보 가운데 아시아퍼시픽 지역에서는 단 20개만이 후보에 선정됐다. 특히 유통 영역에서 이마트가 유일했다. '라이트 세이버'는 이마트 매장에서 사용되는 쇼팅 카트의 손잡이에 자외선(UV) 살균기를 장착, 코로나19 여파에서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캠페인이다. 이를 위해 이마트는 제일기획과 살균기 전문업체 썬웨이브와 손잡고 '레이저 봉' 형태의 특수한 카트를 제작, 매장에 배치했었다. 해당 카트는 고객이 손잡이를 잡으면 LED 살균기가 작동되며 인체에 무해한 405나노미터 자외선(UV) 살균 광선이 배출되고, 바이러스를 실시간으로 99.3% 살균하고 카트를 잡고 있는 손도 10분만에 90% 이상 살균한다. 또한 자외선 살균 LED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마트 베트남 매장을 인수한 타코(THACO)그룹이 오는 2025년 10개 매장을 출점한다. 이마트 입장에서는 로열티로 적잖은 수익이 예상된다. 응웬 훙 민(Nguyen Hung Minh) 타코그룹 부회장은 지난달 31일 온라인으로 열린 정기주총에서 이마트 베트남 현지법인 이마트베트남(E-mart Vietnam Co)과 9년 동안 이마트 브랜드를 독점 사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4년간 10개 이상 매장을 자체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 출점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이마트는 2015년 오픈한 베트남 1호점 '이마트 고밥점'을 타코그룹에 매각했고, 현지 사업을 프랜차이즈 형태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마트는 브랜드만 빌려주고 출점과 운영은 타코그룹이 맡는다는 것. 특히 타코 측은 이마트의 노브랜드 PB상품 베트남 시장에 유통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향후 협력 방안도 언급했다. 이마트 입장에서는 로열티는 물론 노브랜드 PB상품 판매에 따른 수익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한편, 타코그룹은 이마트 고밥점 인수를 시작으로 그룹 내 자체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 대형마트를 출점하는 등 유통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타코그
[더구루=진유진 기자] 프랑스 명품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면세점 자회사 DFS그룹이 다음 달 홍콩 침사추이 이스트 매장을 폐점한다. 중국 본토 관광객의 방문·소비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DFS가 홍콩 내 전략 거점을 재편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DFS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오는 8월 31일을 끝으로 홍콩 침사추이 이스트 매장 영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어 "침사추이 이스트점은 홍콩 사업 핵심 거점이었지만, 현재 시장 환경에선 칸톤로드와 코즈웨이베이 등 핵심 매장에 집중하는 것이 고객 만족도와 수익성 면에서 효과적"이라며 "홍콩은 여전히 본사가 있는 핵심 시장으로, 두 매장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홍콩 침사추이 이스트 매장은 DFS의 홍콩 도심 면세 사업 핵심 거점으로 오랜 기간 동안 관광객 중심 리테일 전략을 대표해 왔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중국 본토발 관광 수요가 급감하고, 단체 관광보다 개별 여행 트렌드가 강해지면서 매장 운영 효율이 급격히 떨어졌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DFS의 철수는 홍콩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DFS는 오세아니아(호주 시드니, 뉴질랜드 오클랜드·퀸스타운) 매장을 오는 9월
[더구루=정예린 기자] 키옥시아가 차세대 고성능 낸드플래시 신제품을 선보인다. 기존 기술 자산을 활용하면서도 성능과 전력 효율을 동시에 끌어올려 인공지능(AI) 시스템과 엔터프라이즈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자사 3D 낸드 기술 '9세대 BiCS 플래시(BiCS FLASH)'를 적용한 512Gb(기가비트, 64기가바이트 상당) 용량의 TLC(Triple-Level Cell) 낸드 샘플링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연내 본격 양산할 예정이다. 신제품은 5세대 셀 구조 기반 위에 최신 CMOS 회로를 직접 결합하는 'CMOS 직접 본딩 어레이(CBA)' 기술이을 적용해 고속 연산 환경에서의 쓰기 및 읽기 성능, 전력 효율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회로와 셀을 물리적으로 접합해 고밀도 집적과 고속 데이터 처리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동일 용량 대비 쓰기 성능은 61%, 읽기 성능은 12% 향상됐고, 전력 효율은 쓰기 기준 36%, 읽기 기준 27% 개선됐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고속 낸드 인터페이스 규격인 토글(Toggle) DDR 6.0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