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SK가 작년 3월 자회사인 SK팜테코를 통해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치료제 원료의약품 위탁생산업체 이포스케시(Yposkesi)가 생산라인 증설에 맞춰 미국 사업을 담당할 신규 임원을 발탁하며 사업 확대에 힘쓰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이포스케시가 내년 4분기 제2공장 가동에 돌입한다. 생산량을 확대하는 동시에 대주주인 SK팜테코와 협력을 확대해 고객사를 늘린다.
[더구루=김다정 기자] SK㈜가 지난 3월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GCT) 위탁생산업체(CMO)인 이포스케시가 GCT 분야 최고 전문가 집단에 합류한다. 이포스케시가 GCT 분야에서 역량을 인정받으면서 SK의 CMO 드라이브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포스케시는 24일(현지시간) 글로벌 GCT 컨소시엄인 '바이오포럼'(BioPhorum) 멤버십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바이오포럼은 바이오제약 제조업체와 공급업체가 함께 모여 업계에서 상호 관심이 있는 문제와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하는 글로벌 컨소시엄이다. 역량있는 업계 리더들을 모아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고 연구 진전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브라이언 뮬런 이포스케시 분석·프로세스 개발 책임자는 "세포 및 유전자 요법을 위한 바이오프로세싱의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자사를 포함한 많은 회사가 동일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시간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브라이언은 "바이오포럼은 바이오프로세싱 부문의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적이고 능동적이며 생산적인 포럼으로 잘 정립돼 있다"며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가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 위탁생산(CMO) 기업 '이포스케시'가 정부로부터 대규모 지원금을 받는다. 공격적인 투자 계획과 맞물려 생산 라인 증설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포스케시는 자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프로젝트 '부스트(Boost)'가 프랑스 경기 부양책인 '경제회복계획(Plan de Relance)'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지난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 받아 생산 시설 구축에 사용할 계획이다. 알랭 람프로예 이포스케시 회장은 "이포스케시의 부스트 프로젝트가 정부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 대상에 선정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대규모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GMP) 시설을 구현하면 상당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고 전했다. 부스트 프로젝트는 이포스케시가 유전자·세포 치료제 대량 생산 역량을 갖추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세포 해동부터 최종 제품의 무균 충전까지 가능한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체(바이러스 벡터) 생산 라인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바이오리액터도 현재 200ℓ 규모에서 1000ℓ 규모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부스트
[더구루=진유진 기자] 노르웨이 육상양식업체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이 유럽 가공업체 '밀라렉스(Milarex)'와 손잡고 이탈리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지속가능한 수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동원산업이 투자한 새먼 에볼루션이 유럽 내 육상 양식 연어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GF)가 독일 공장 증산을 공식화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증산을 통해 유럽 자동차 반도체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