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완료하고 미국 뉴욕 증시에 정식으로 데뷔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모터스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스팩인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은 지난 22~23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된 주주총회에서 양사간 합병을 승인했다. 애초 22일 주주 투표를 통해 합병안을 처리하려 했지만 정족수 미달로 하루 지연되면서 23일 합병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26일부터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종목 기호 'LCID'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상장 후 기업가치는 240억 달러(약 27조6360억원)로 평가를 받는다. <본보 2021년 7월 21일자 참고 : 루시드모터스 상장 진짜 승자는 사우디 왕세자…'23조' 투자대박> 루시드모터스는 이번 합병으로 44억 달러(약 5조원)의 현금을 조달했다. 올해 하반기 첫 전기차 모델인 루시드 에어의 인도를 앞두고 개발·생산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루시드모터스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모하메드 빈 살만이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의 상장으로 200억 달러(약 23조원)에 달하는 투자 대박을 터뜨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1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빈 살만이 주도하는 사우디 국부펀드인 공공투자펀드(PIF)는 루시드모터스 상장 이후 현재 보유 중인 이 회사의 지분 가치가 최소 225억 달러(약 26조원)로 상승할 전망이다. 앞서 PIF는 지난 2018년 당시 자금난을 겪고 있던 루시드모터스에 10억 달러(약 1조원)를 투자한 바 있다. 투자 3년 만에 700%에 달하는 수익을 낸 셈이다. PIF는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사우디 국부펀드로, 쿠팡의 최대주주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SVF)의 최대 출자자다. 루시드모터스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과 합병을 추진 중이다. 오는 22일(현지시간)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합병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지난 2월 합병 계약을 맺었다. <본보 2021년 7월 1일자 참고 : 美 루시드모터스 상장 초읽기…SPAC 처치캐피탈 주총 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앞두고 투자자 설명회를 연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모터스와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은 오는 13일(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4시 30분 투자자를 대상으로 컨퍼런스콜을 진행할 예정이다. 피터 롤린스 루시드모터스 최고경영자(CEO)가 회사 개요와 사업 현황에 대해 발표한다. 다만 질의응답은 실시하지 않는다. 루시드모터스와 처칠캐피탈은 오는 22일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합병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2월 합병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본보 2021년 7월 1일자 참고 : 美 루시드모터스 상장 초읽기…SPAC 처치캐피탈 주총 개최>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루시드모터스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출신 샘 웽이 설립했다. 현 CEO인 피터 롤린스는 테슬라 수석 엔지니어로 모델S를 설계했다. 설립 초기 사명은 아티에바로 전기차 배터리와 파워트레인 개발에 집중했다. 이후 2016년 10월 사명을 루시드모터스로 변경하고 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마이크론과 인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반도체 회사들이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 매출도 2029년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뉴욕과 아이다호주에 반도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약 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번 투자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은 2% 미만에서 2035년 약 10%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은 투자 대가로 지난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61억6500만 달러(약 8조94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버지니아주 마나사스에 위치한 D램 생산시설의 확장을 추진하며 최대 2억7500만 달러(약 4000억원)도 추가로 수령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미국 내 유일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사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했다. 엔비디아의 AI GPU(H200)에 HBM3E를 공급하면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있다.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HBM 투자에 따른 추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이 속도가 나질 않고 있다. 애플은 보급형 버전 개발을 연기하는 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좀체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소프트웨어 구독 플랫폼 셋앱(Setapp)에 따르면 개발자 중 3%만이 비전프로용으로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 있다. 50%의 개발자는 비전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 자체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다. 셋앱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의 개발자는 비전프로용 앱 개발 계획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신 60%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AI) 기능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다소 비싼 가격, 미성숙한 생태계 등으로 판매가 미비한 상황이다. 블룸버그 IT전문 기자 마크 거먼에 따르며 비전프로는 출시된 이후 50만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심지어 구매자들조차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플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초광각을 지원하는 비전OS 2.2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상황을 역전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올해 말 비전프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