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무인 트럭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수혈했다. 현지 금융 회사 호라이즌 테크놀로지 파이낸스(이하 호라이즌)로부터 대출을 지원받았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SK㈜ 파트너사로 알려진 미국 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한 상품 운송 서비스 영역을 확장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의 파트너사인 미국 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대규모 자금을 수혈 받으며 규모 확장에 나선다. 코디악은 10일(현지시간) 시리즈 B 라운드 펀딩을 통해 총 1억 2500만 달러(약 1480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 주요 투자사는 브릿지스톤 아메리카, BMW i 벤처스, SIP 글로벌 파트너스, 라이트스피드 벤처스 파트너스 등이 참가했다. 코디악은 이번에 확보된 자금을 합쳐 지금까지 총 1억 6500만 달러를 투자받게 됐다. 코디악은 이번 라운드에서 확보된 자금으로 내년에 85명의 신규직원을 채용하며 직원 수를 두 배로 늘리고 최소 15대 이상의 자율주행 트럭을 서비스에 추가 할 계획이다. 코디악 관계자는 "이번 펀딩으로 우리의 팀과 차량을 두 배로 늘리며 빠르게 우리 사업을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우리는 향후 자율주행 운송 상용화를 위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서비스를 출시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디악은 지난 2018년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 각각 본사와 테스트 및 운영시설을 두고 있다. 주로 화물 운송을 위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한다. 올 1월 '코디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코디악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기업공개(IPO)를 긍정적으로 검토한다. 목표액이던 5억 달러(약 5750억원)를 확보해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매진한다. 돈 버넷 코디악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주식 시장은 분명 매력적이고 흥미진진하다"며 "적절한 지표와 모멘텀, 파트너를 갖춘 회사가 IPO를 성공할 수 있음을 투심플이 보여줬다고 믿는다"라고 밝혔다. 중국 자율주행 트럭 회사 투심플은 올해 4월 나스닥에 상장해 13억5000만 달러(약 1조5540억원)를 확보했다. 투심플의 성공 사례를 볼 때 상장은 실탄 마련의 좋은 대안이라는 게 버넷 CEO의 판단이다. 버넷 CEO는 앞서 자율주행 트럭을 상업 생산해 출시하는 데 5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었다. 코디악은 현재 4000만 달러(약 460억원)를 조달한 상태다. 이 격차를 줄이는 방법으로 상장뿐 아니라 벤처캐피탈(VC) 투자 유치 등 여러 방안을 살피고 있다. 버넷 CEO는 "우리는 상장과 VC 등 모든 대안을 살피고 있다"며 "코디악을 위한 최선의 길이 무엇인지 내부적으로 끊임없이 대화하고 있다"고 말했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세계 최초로 거점 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에어택시 상용화가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