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종합 건강 생활가전 기업 쿠쿠전자의 IH압력밥솥의 베트남 인기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베트남은 인구 증가로 쌀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밥솥 수요가 늘고 있다. 쿠쿠 밥솥은 베트남에서 고급형 밥솥으로 상당한 인기몰이 중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쿠쿠전자가 중국 시장 공략 확대를 위해 생산거점을 추가로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표하는 지린성 지방정부 관계자들과 물밑 접촉을 통해 투자 여부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쿠쿠전자는 지난 20일 방한 중인 지린성 경제무역대표단과 만남을 갖고 '중한국제합작시범구'에 합류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지린성 대표단은 성내 대외무역 기업 10여 곳의 대표를 비롯해 중한국제협력시범구와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 관련 부서 직원 등 총 40여명으로 구성됐다. 중한국제합작시범구는 지린성 성도인 창춘시에 위치한 경제복합단지로, 한국과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그리고 일본까지 아우르는 동북아 지역 교통요충지인 창춘에 위치해 한중 경제활성화를 위해 조성되고 있다. 지난 2020년 4월 구문원이 공식적으로 승인한 후 건설 중에 있으며, 2025년까지 210㎢(약 6350만평) 규모로 완공된다. 시범구에는 베이야오위안(北藥圓)이라고 불리는 바이오제약 단지도 조성 중이며 현재 글로벌 헬스케어, 바이오 업계에서의 투자 유치와 사업이 가속화하고 있다. 쿠쿠전자가 지린성에 생산 거점을 확보하려는 배경에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쿠쿠홈시스가 말레이시아를 생산 거점으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나선다. 정수기·공기청정기 등 주력 제품은 물론 에어컨·에어서큘레이터 등 사업 영역을 넓히고 동남아 시장 개척 교두보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쿠쿠는 말레이시아 슬랑고르(Selangor) 지역에 1억 링깃(약 290억원)을 투자, 공장을 설립한다. 이 공장에선 생활 가전을 생산할 계획으로, 오는 2025년 완공한다는 방침이다. 호끼안춘(Hoe Kian Choon) 쿠쿠 인터내셔널 CEO는 "투자금 1억 링깃은 토지를 구입하고 공장을 짓는 데 사용될 것"이라며 "지난 2019년 오픈한 유통센터와 항만이 가까운 지역으로 물색하고 있다. 수방(Subang)과 클랑(Klang)이 유력한 후보지"라고 전했다. 수방은 공항이, 클랑엔 항만이 있는 만큼 물류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쿠쿠의 해외 사업 최대 사업지역은 말레이시아였다. 지난해 말레이시아 락다운(봉쇄령) 악재에도 불구하고 쿠쿠는 현지 매출 2933억원을 달성, 전년도 매출 2959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올해부터 워드 코로나가 시행되면서 매출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
[더구루=길소연 기자] 쿠쿠전자가 베트남 최대 명절인 '뗏(Tet·설)' 맞이 기념 할인 프로모션을 펼친다. 베트남에서 생활가전 전반을 아우르는 리딩 브랜드로서 입지를 굳히기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쿠쿠전자 베트남 법인 쿠쿠비나(Cuckoo Vina)는 베트남 하노이·호찌민에 있는 쿠쿠 쇼룸에 방문 시 40% 할인해주는 '뗏 할인 프모로션'을 진행한다. 프로모션은 뗏 기간인 내년 1월 29일부터 2월 6일까지 9일간 이어진다. 뗏은 베트남 최대 명절로, 가족·지인들과 모여 견과류 등 간단한 간식을 곁들이면서 차와 술을 즐기는 문화가 있다. 한국의 설 명절과 같다. 쿠쿠가 베트남에서 뗏 맞이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건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 상승 때문이다. 지난 2002년 베트남에 진출한 쿠쿠는 베트남 압력솥 점유율 75%를 차지하는 등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식 대신 집에서 밥을 해 먹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현지법인인 쿠쿠비나는 주력 제품인 밥솥을 중심으로 현지 맞춤형 주방가전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인기에 힘입어 실적도 상승세다.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401% 증가하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