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종합 건강 생활가전 기업 쿠쿠전자의 IH압력밥솥의 베트남 인기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베트남은 인구 증가로 쌀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밥솥 수요가 늘고 있다. 쿠쿠 밥솥은 베트남에서 고급형 밥솥으로 상당한 인기몰이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쿠쿠 IH압력밥솥이 베트남 프리미엄 밥솥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쿠쿠 IH압력밥솥은 쿠쿠전자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프리미엄 이미지를 통해 국내외 많은 선택을 받으며 매출 1등 공신으로 자리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이준호, 김수현, 짜 미(Tra My), 바오 아인(Bao Anh), 등 한국과 베트남의 인기 연예인을 동원해 광고를 진행, 현지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높여가고 있다. 지난 2002년 베트남에 진출한 쿠쿠는 베트남 압력솥 점유율 75%를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식 대신 집에서 밥을 해 먹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밥솥 수출이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 변수가 사라지면서 수출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2019~2023년까지 한국의 대(對)베트남 전기밥솥 수출 규모는 2019년 840만 달러에서 2023년 1296만
[더구루=길소연 기자] 쿠쿠전자가 중국 시장 공략 확대를 위해 생산거점을 추가로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표하는 지린성 지방정부 관계자들과 물밑 접촉을 통해 투자 여부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쿠쿠전자는 지난 20일 방한 중인 지린성 경제무역대표단과 만남을 갖고 '중한국제합작시범구'에 합류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지린성 대표단은 성내 대외무역 기업 10여 곳의 대표를 비롯해 중한국제협력시범구와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 관련 부서 직원 등 총 40여명으로 구성됐다. 중한국제합작시범구는 지린성 성도인 창춘시에 위치한 경제복합단지로, 한국과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그리고 일본까지 아우르는 동북아 지역 교통요충지인 창춘에 위치해 한중 경제활성화를 위해 조성되고 있다. 지난 2020년 4월 구문원이 공식적으로 승인한 후 건설 중에 있으며, 2025년까지 210㎢(약 6350만평) 규모로 완공된다. 시범구에는 베이야오위안(北藥圓)이라고 불리는 바이오제약 단지도 조성 중이며 현재 글로벌 헬스케어, 바이오 업계에서의 투자 유치와 사업이 가속화하고 있다. 쿠쿠전자가 지린성에 생산 거점을 확보하려는 배경에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쿠쿠홈시스가 말레이시아를 생산 거점으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나선다. 정수기·공기청정기 등 주력 제품은 물론 에어컨·에어서큘레이터 등 사업 영역을 넓히고 동남아 시장 개척 교두보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쿠쿠는 말레이시아 슬랑고르(Selangor) 지역에 1억 링깃(약 290억원)을 투자, 공장을 설립한다. 이 공장에선 생활 가전을 생산할 계획으로, 오는 2025년 완공한다는 방침이다. 호끼안춘(Hoe Kian Choon) 쿠쿠 인터내셔널 CEO는 "투자금 1억 링깃은 토지를 구입하고 공장을 짓는 데 사용될 것"이라며 "지난 2019년 오픈한 유통센터와 항만이 가까운 지역으로 물색하고 있다. 수방(Subang)과 클랑(Klang)이 유력한 후보지"라고 전했다. 수방은 공항이, 클랑엔 항만이 있는 만큼 물류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쿠쿠의 해외 사업 최대 사업지역은 말레이시아였다. 지난해 말레이시아 락다운(봉쇄령) 악재에도 불구하고 쿠쿠는 현지 매출 2933억원을 달성, 전년도 매출 2959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올해부터 워드 코로나가 시행되면서 매출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
[더구루=길소연 기자] 쿠쿠전자가 베트남 최대 명절인 '뗏(Tet·설)' 맞이 기념 할인 프로모션을 펼친다. 베트남에서 생활가전 전반을 아우르는 리딩 브랜드로서 입지를 굳히기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쿠쿠전자 베트남 법인 쿠쿠비나(Cuckoo Vina)는 베트남 하노이·호찌민에 있는 쿠쿠 쇼룸에 방문 시 40% 할인해주는 '뗏 할인 프모로션'을 진행한다. 프로모션은 뗏 기간인 내년 1월 29일부터 2월 6일까지 9일간 이어진다. 뗏은 베트남 최대 명절로, 가족·지인들과 모여 견과류 등 간단한 간식을 곁들이면서 차와 술을 즐기는 문화가 있다. 한국의 설 명절과 같다. 쿠쿠가 베트남에서 뗏 맞이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건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 상승 때문이다. 지난 2002년 베트남에 진출한 쿠쿠는 베트남 압력솥 점유율 75%를 차지하는 등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식 대신 집에서 밥을 해 먹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현지법인인 쿠쿠비나는 주력 제품인 밥솥을 중심으로 현지 맞춤형 주방가전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인기에 힘입어 실적도 상승세다.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401% 증가하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였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