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앤트그룹과 일본 소프트뱅크가 '인도판 알리페이'로 불리는 핀테크 기업 페이티엠(Paytm)의 지분 매각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앤트그룹과 소프트뱅크는 페이티엠을 운영하는 원97커뮤니케이션과 지분 매각과 관련해 논의를 진행했다. 앤트그룹은 이 회사 지분 25%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고, 소프트뱅크는 13%를 가진 3대 주주다. 앤트크룹과 소프트뱅크는 대규모 블록딜을 통한 매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2위 통신사 바르티 엔터프라이즈 등이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2021년 11월 상장 이후 페이티엠 주가가 계속 추락하면서 주요 투자자가 잇따라 자금을 회수하고 있다. 앞서 소프트뱅크는 작년 11월 페이티엠 주식 2900만주를 블록딜로 처분했다. 이는 기존 보유하던 주식 가운데 3분의 1 수준이다. 알리바바도 올해 초 이 회사 지분 3.1%를 팔았다. <본보 2023년 1월 13일자 참고 : 소프트뱅크 이어 中 알리바바도 인도 페이티엠 '손절'> 2000년 설립한 페이티엠은 '인도판 알리페이'로 불리는 인도 최대 핀테크 기업이자 세계 3대 전자결제기업이다. 월 이용자 수와 가맹점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에 이어 중국 알리바바도 인도 최대 핀테크 기업 페이티엠(Paytm) 지분을 대량 매각했다. 이 회사의 주요 주주들이 주가 하락으로 인해 잇따라 손절에 나선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최근 블록딜을 통해 인도 증시에 상장된 페이티엠 모회사인 원97 커뮤니케이션 지분 3.1%를 1억2500만 달러(약 1550억원)에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지분율이 작년 9월 30일 기준 6.3%에서 절반으로 줄었다. 앞서 소프트뱅크도 지난해 11월 페이티엠 주식 2900만주를 매각했다. 이는 당시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지분의 3분의 1 수준이다. 작년 9월 말 기준 소프트뱅크는 원97 커뮤니케이션 지분 17%를 보유한 2대 주주다. <본보 2022년 11월 17일자 참고 : 위기의 소프트뱅크, '인도판 알리페이' 페이티엠 지분 2900억 블록딜> 2000년 설립한 페이티엠은 '인도판 알리페이'로 불리는 인도 최대 핀테크 기업이자 세계 3대 전자결제기업이다. 월 이용자 수와 가맹점 수만 각각 5700만명, 2200만개에 달한다. 중국 알리바바 계열사 앤트그룹이 최대 주주로 있다. '투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전 세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최대어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인도판 알리페이' 전자결제기업 페이티엠(Paytm)이 최근 10년간 최악의 IPO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상장 후 1년새 주가가 폭락했기 때문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블룸버그통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페이티엠의 모회사 원97 커뮤니케이션(One 97 Communications)은 작년 11월 인도 증시에 상장한 이후 1년간 주가가 75%나 폭락했다. 이는 2012년 IPO 이후 85%의 하락률을 기록한 스페인 금융사 방키아(Bankia SA)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2000년 설립한 페이티엠은 인도 최대 핀테크 기업이자 세계 3대 전자결제기업이다. 월 이용자 수와 가맹점 수만 각각 5700만명, 2200만개에 달한다. 지난해 말 인도 증시 사상 최대인 24억 달러(약 3조1930억원)를 조달하면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마윈을 비롯해 손정의(손마사요시), 워런 버핏 등 글로벌 큰손들이 이 회사에 투자했다. 하지만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와 금융시장 불활실성 확대 등으로 주가가 거듭 추락해 왔다. 여기에 최근 보호예수(락업) 기간까지 만료되며 주
[더구루=길소연 기자]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로 사실상 멈춰섰던 일본의 원전 정책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인공지능(AI) 보급 확대에 따른 전력수요 급증과 에너지 안보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을 늘리기로 하면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에너지 전환과 신산업 육성, 전력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신규 원전 건설과 기존 원전 재가동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간사이전력은 오는 11월에 일본 서부에 위치한 미하마 발전소의 신규 원자로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재개할 예정이다. 미하마 원전의 신규 원자로 조사 재개는 원자력 산업에 대한 투자 재개를 위한 장기적인 공공 노력의 일환으로, 신규 원전 건설을 향한 첫걸음이다. 신규 원자로의 타당성 조사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중단됐다. 원전 사고로 2030년까지 연장된 타당성 조사는 건설에 적합한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부지 내부와 주변 지역의 광범위한 지질 조사로 시작한다. 이후 지형과 지반 상태 평가가 이어질 예정이다. 간사이 전력은 조사가 일단락되면 기본설계를 책정하고, 이를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제출하게 된다. 위원회로부터 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과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산업 진흥책에 이어 용어 표준도 공개했다. 중국은 용어 표준을 통해 개발과정에서 혼란을 막고 상용화 기간을 단축해 뉴럴링크, 싱크론과 같은 미국 기업을 따라잡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16일(현지시간) 의료기기 산업 표준 'YY/T 1987-2025'를 발표했다. 해당 표준의 제목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의료기기-용어(采用脑机接口技术的医疗器械 术语)'로 BCI의 개념과 기술 용어 등을 규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표준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YY/T 1987-2025 표준은 BCI 관련 용어 130개 가량을 △기본 개념 △분류 △패러다임 △피드백 및 자극 △시스템 구성요소 △신호 처리 △신호 형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기술 △알고리즘 △안전 등 11개 카테고리로 분류해 정의했다. NMPA는 이번 표준 제정을 통해 BCI 업계의 용어 불일치와 개념 비표준화 등 기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본격적인 용어 표준 마련에 나선 것은 지난해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