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칠레 리튬 생산업체인 'SQM'과 호주 광산업체 '핸콕 프로스펙팅(이하 핸콕)'이 호주 애저 미네랄즈의 주주들로부터 지분 인수에 대한 지지를 받았다. 호주 규제기관의 허가를 거쳐 최종 인수 작업을 마무리한다. 리튬 자산을 확보해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 [유료기사코드] 애저 미네랄즈는 8일(현지시간) 임시 주주총회에서 SQM과 핸콕의 합작사 'SH마이닝'에 지분을 매각하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을 토대로 오는 30일까지 호주 외국인투자심사위원회(FIRB)의 허가를 받을 예정이다. 당초 FIRB의 승인 마감일은 10일이었으나 30일로 연장됐다. 애저 미네랄즈는 최근 공식 성명을 통해 "FIRB가 연장을 요청해 SH마이닝의 동의를 받았다"며 "FIRB의 승인이 아직 떨어지지 않은 이유는 모른다"고 밝혔었다. 애저 미네랄즈는 내달 1일 서호주 대법원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갖는다. 2일까지 호주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을 거래를 종료하고, 10일 상장폐지를 해 매각을 최종 완료한다. 이번 매각은 애저 미네랄즈와 SQM, 핸콕이 작년 말 체결한 계약에 따른 것이다. SQM과 핸콕은 약 17억 호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광산회사 핸콕 프로스펙팅(Hancock Prospecting, 이하 핸콕)이 라이온타운 리소스(Liontown Resources, 이하 라이온타운)의 지분을 매수했다. 업계에서는 미국 1위 리튬 업체 앨버말의 인수를 앞두고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핸콕에 따르면 회사는 라이온타운의 지분 19.9%를 샀다. 매수 가격은 주당 가격은 3호주달러(약 2500원) 이하다. 핸콕은 "라이온타운의 최대 주주로 회사의 미래에 큰 영향력을 미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06년 설립된 라이온타운은 서호주 캐슬린 계곡의 리튬 광산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최종 타당성 조사에서 연간 250~400만t의 리튬 정광을 생산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내년 상반기부터 채굴에 돌입한다. 서호주 골드필드 지역에서 매장량이 1500만t으로 추정되는 불다니아 광산도 탐사를 추진하고 있다. 라이온타운은 LG에너지솔루션, 미국 테슬라와 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LG에너지솔루션에 2024년부터 5년간 리튬 정광 70만t을 공급한다. 테슬라에도 동일한 기간 동안 10~15만 건조미터톤(DMT)을 납품한다. 라이온타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의 파트너사인 호주 자원개발 회사 핸콕(Hancock)이 아라푸라 리소시스(Arafura Resources, 이하 아라푸라) 지분을 샀다. 희토류 광산을 보유한 아라푸라를 활용해 배터리 광물 시장에 진출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핸콕은 아라푸라의 지분 약 10%를 매입했다. 아라푸라는 최근 자금 조달을 위해 1억2100만 호주달러(약 1070억원) 규모의 보통주를 발행했는데 핸콕이 일부를 샀다. 아라푸라는 호주 북부 노던 준주에 10억 호주달러(약 8538억원)를 투입해 놀란스 희토류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이 광산은 세계 희토류 수요의 10%를 채울 수 있을 정도로 매장량이 풍부하다. 채굴 리스크가 낮고 교통·전력 인프라도 우수해 개발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라푸라는 지난달 현대차와 놀란스 광산에서 생산한 NdPr(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산화물을 연간 1500t 공급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었다. NdPr은 전기차용 전기모터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본보 2022년 11월 7일 참고 [단독] 현대차, 호주 희토류 확보 성공…아라푸라, NdPr 年1500t 공급 계약>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 수출될 FA-50 경공격기(FA-50PL)에 미국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이하 레이시온)의 차세대 능동위상배열(AESA·이하 에이사) 레이더 장착이 임박했다. 레이시온의 팬텀스트라이크(PhantomStrike) 레이더가 비행 테스트에 성공하며 국내 반입이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수출형 'FA-50GF' 조기 납품에 이어 'FA-50PL'도 적기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레이시온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에 있는 멀티프로그램 테스트베드 항공기에서 팬텀스트라이크 레이더의 첫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여러 공중 표적을 추적하고 지형을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성공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장거리 위협 탐지, 추적 및 목표물 표적화가 가능한 완전 공랭식 레이더이다. 레이시온이 업계 최초로 개발한 소형 AESA 레이더로 동급 AESA 레이더 대비 작고 가벼우며 적은 양의 전력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경공격기, 헬기, 무인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 사용 가능하다. 디지털 빔 형성 및 조향(Digital Beam Forming and Steering), 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사우디아라비아 수처리 인프라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NWC)가 발주한 대규모 수처리 프로젝트 계약이 임박한 가운데, 현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의 향후 관련 사업 참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유료기사코드] 9일 톰슨로이터 계열 중동뉴스 매체 자우야(ZAWYA)에 따르면 NWC는 사우디 마흐드(Mahd) 지역 수처리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입찰을 마감하고 낙찰자와의 계약을 준비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리야드 남서부 일대에 걸쳐 송수관, 펌프장, 저류조 등을 설치하는 대형 인프라 사업이다. NWC의 마흐드 지역 수처리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사우디 정부의 상하수도 현대화 전략의 일환이다. 계약 규모는 총 2억2000만 달러(약 3100억원)에 이른다. NWC는 올 2분기 내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8년 3분기 완공한다는 목표다. 입찰에 참여한 기업 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엔지니어링·건설 회사 '마스코(MASCO)'와의 협력 기반을 갖춘 코오롱글로벌의 참여 가능성이 점쳐진다. 실제 계약이 성사될 경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