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나라에서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화이자를 팔고 모더나에 베팅해 눈길을 끈다. 모더나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의 출시가 속도를 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아크인베스트는 지난 8일(현지시간) 모더나 주식 17만2939주를 매입했다. 이달 종가(148.53달러)를 반영, 약 2600만 달러(약 330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아크인베스트는 대신 화이자 주식 15만2823주를 팔았다. 이날 종가(53.47달러) 기준 820만 달러(약 100억원)어치다. 모더나는 올해 늦여름 출시를 목표로 코로나19 오미크로 변이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한 백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모더나가 지난 8일 공개한 임상시험 잠정 결과에서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과 기존 코로나19 백신을 결합한 '콤보' 백신 부스터샷(추가접종)이 기존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437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시험에서 콤보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 백신과 비교해 1.75배 수준의 중화항체를 생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생산량을 확대하고자 채권 발행을 통해 1조2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다. 화이자는 17일(현지시간) 10억 달러(약 1조1800억원) 규모로 10년 만기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지속가능채권은 사회·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가운데 하나다. 주로 사회 지원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화이자는 조달한 자금을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이에 화이자의 실적 개선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이자는 올해 들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높은 매출을 거뒀다. 실제 상반기에만 코로나 백신 매출 108억 달러(약 12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올해 335억 달러(약 39조4000억원)의 백신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산했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테크과 공동으로 전령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해 지난해 미국과 유럽 당국으로부터 가장 먼저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와 존슨앤드존슨(J&J)이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성분명 인플릭시맙) 분쟁을 종식하기로 합의했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미국 판매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는 J&J와 레미케이드 독점금지 소송에 관해 합의를 이뤘다. 세부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양사가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며 공방은 4년 만에 종결됐다. 화이자는 2017년 9월 필라델피아 소재 연방지방법원에 J&J를 제소했다. J&J가 레미케이드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미국 주요 보험사, 병·의원 등과 계약을 맺고 화이자 제품을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연방 독점 금지법'과 '바이오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BPCIA)'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화이자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인플렉트라'라는 제품명으로 미국에서 판매해왔다. 램시마는 레미케이드의 세계 첫 바이오시밀러로 201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았다. 화이자가 소송 리스크를 해소하며 인플렉트라의 판매에 '청신호'가 켜졌다. 인플렉트라는 2016년 4분기 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YMTC(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가 제3공장 건설을 공식화했다. YMTC는 3D 낸드플래시 메모리 생산량을 확대,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추격한다는 목표다. 12일 중국 기업 데이터 플랫폼 치차차(企查查)에 따르면 YMTC는 지난 5일(현지시간) 창춘3기 우한집적회로유한책임공사(长存三期(武汉)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이하 창춘3기)라는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창춘3기의 자본금은 총 207억2000만 위안(약 4조450억원)이며, 이중 YMTC가 104억 위안(약 2조300억원)을 출자해 지분 50.1931%를 보유한다. 나머지 103억2000만 위안(약 2조150억원)은 국영 후베이 창성 3단계 투자(湖北长晟三期出资)가 출자하며, 지분율은 49.8068%다. 지분에 따라 창춘3기의 법정대표자는 YMTC 천난샹 회장이 맡게됐다. 후베이 창성 3단계 투자는 창춘3기 설립 이틀 전인 3일 설립됐으며, 자본금은 151억2000만 위안(약 2조9500억원)이다. 후베이 창성 3단계 투자는 우한시 동호 신기술개발구 국유 자산 플랫폼인 '옵틱스 밸리 금융지주', 우한시 공산당 위원회와 시 정부가 산업 시설 건설 가속화
[더구루 타이페이(대만)=오소영 기자] "공동패키징형광학(CPO) 생태계가 올해 성숙기에 접어들고 내년에 대규모로 배포될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콘래드 영 TSMC 전 연구·개발(R&D) 책임자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타이완'의 부대 행사인 '2025 베트남 반도체 투자 세미나(The 2025 Vietnam Semiconductor Investment Seminar)'에서 이같이 예측했다. 그는 2027년을 CPO의 원년으로 꼽으며 "시장 전문가들은 CPO 시장이 2030년 100억 달러(약 14조원) 규모로 커진다고 전망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CPO는 전기 신호를 빛으로 변환하는 광(光)트랜시버와 각종 반도체를 하나로 통합한 차세대 패키징 기술이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구리 배선과 칩을 패키징하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데이터 병목 현상도 해소할 수 있어 AI 시대에 각광받고 있다. AI의 핵심은 생산성 향상이다. 영 책임자는 "현재 인력의 10%만으로 기존 업무를 수행할 시대가 올 것이라 믿는다"며 "이는 곧 생산성이 10배 향상된다는 뜻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