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아르헨티나에서 모바일 기기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비중을 확대한다. 중남미 시장에서 중화권 업체들의 추격이 거센 가운데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3일 아르헨티나 전자제품 조립업체 '미르고르(Mirgor)'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1000만 달러(약 128억원)를 투자해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에스코바르 파르티도 가린에 위치한 공장을 증설한다고 발표했다. 핵심 고객사인 삼성전자 OEM 품목을 스마트폰에서 노트북, 스마트워치 등으로 다변화할 계획이다. 가린 공장은 태블릿 생산 전용 시설이었다. 미르고르는 이번 투자를 통해 노트북, 스마트워치, 헤드폰 생산라인을 추가했다. 200여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미르고르는 삼성전자의 아르헨티나 주요 협력업체다. 지난 2010년대 초반부터 삼성전자의 휴대폰과 TV 생산을 맡아왔다. 기술력을 입증하며 작년부터 삼성 갤럭시S 시리즈 등 플래그십 모델도 생산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 생산한 최초의 5G 스마트폰 갤럭시S21를 시작으로 S22 시리즈도 제조한다. 이 곳에서 생산된 제품은 파라과이 등 아르헨티나 인근 남미 국가로 수출되기도 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샤오미가 아르헨티나 기업과 손잡고 스마트폰 현지 생산을 추진한다. 중남미 내 화웨이와 LG전자의 빈자리를 꿰차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아르헨티나 '에테르코르(Etercor)'의 티에라 델 푸에고 소재 공장에 스마트폰을 위탁생산하기로 했다. 오프라인 매장인 ‘샤오미 미 스토어’도 확대, 고객과의 접점을 늘린다. 에테르코르는 1978년 설립된 전자기업으로 국영 자본으로 설립됐다. 전자제품 생산부터 수입, 유통 등의 사업을 영위한다. 보스, 노키아, 애플 등 아르헨티나에 진출한 전자기업들에 사후서비스(AS)도 제공한다. 샤오미의 스마트폰 생산부터 사AS까지 현지 사업 전반을 담당할 예정이다. 샤오미는 스마트폰 성장 시장으로 꼽히는 중남미 내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현지 사업 강화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의 제재로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웨이와 휴대폰 사업을 철수한 LG전자의 공백을 차지해 점유율을 흡수하겠다는 것이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샤오미는 작년 3분기 중남미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2%로 삼성전자, 모토로라의 뒤를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다국적 광산기업 리오틴토(Rio Tinto)가 아르헨티나 대규모 리튬 광산을 손에 넣었다. 배터리 등급 리튬을 채굴, 전기차 핵심 공급망으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