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이 캐나다 비행 시뮬레이터 제작사와 군사 항공 우주 협력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캐나다 항공우주 기술 제조업체 CAE와 파트너십을 확장해 새로운 팀 구성 기회와 군사 항공 부문의 잠재적 공동 제안을 추구했다. CAE는 방위 산업 고객이 승무원 교육과 서비스 중 지원 요구 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CAE는 보잉을 국제 공급업체 네트워크로 성장시킨다. 댄 겔스톤(Dan Gelston) CAE 국방·보안 사업 사장은 "우리의 목적은 고급 훈련과 임무 준비를 통해 군 고객들이 안전하고 성공적인 임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CAE는 향후 독일과 보잉의 쌍발 수송용 헬리콥터(CH-47) 생산 계약에서 주요 시뮬레이션 기술 파트너 역할을 한다. 또 캐나다, 독일, 노르웨이 정부를 위해 P-8 시스템 제공을 확장할 계획이다. P-8은 B737-800ERX 기종을 바탕으로 제작한 미 해군의 대잠초계기이다. 스테파니 포프 보잉 글로벌 서비스 조직 사장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협력은 정부와 업계가 전 세계 고객들에게 혜택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SK텔레콤 파트너 미국 에어택시 스타트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캐나다 항공 시뮬레이터 제작 기업과 손을 잡고 전기 수직 이착륙(eVTOL) 비행 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eVTOL 시뮬레이터로 차세대 조종사 양성에 적극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 에비에이션은 CAE와 파트너십을 맺고 손잡고 2024년 서비스 시작 예정인 eVTOL 비행 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자격을 취득했다. 보니 시미(Bonny Simi) 조비 항공 작전·인재 책임자는 성명을 통해 "CAE는 우수한 시뮬레이션·교육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다"며 "매일 수천 명의 조비 조종사가 eVTOL 항공기를 조종하는 세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CAE는 캐나다 퀘벡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 최대의 시뮬레이터 제작사로 항공기 모의조종훈련 시뮬레이터 생산, 판매 및 조종훈련분야 세계 1위 기업이다. 75년 이상의 비행 시뮬레이터 설계, 개발, 제조 경험을 가졌다. 닉 레온티디스(Nick Leontidis) CAE 민간 항공 훈련 솔루션 그룹 사장은 "CAE는 새로운 항공기 유형에 대한 광범위한 전문 지식을 제공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호주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인공지능 산업(AI산업)을 성장시키고 있다. 호주 AI산업 성장에 국내 기업들의 협력 확대도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코트라 멜버른무역관은 '호주의 인공지능 혁신: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 보고서를 통해 호주 AI산업을 소개했다. 호주 정부는 2018년 5월 AI기술의 윤리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한 청사진을 공개하고 2990만 호주 달러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5월에는 자국 내 AI기술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1억120만 호주 달러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호주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로 2030년까지 AI분야에서 120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AI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판단해 2019년 5월 '윤리 프레임워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공공의 이익 창출 △안정성 △법률 및 규제 △사생활 보호 △공정성 △투명성 △경합성 △책임성 등의 AI 핵심 8원칙 발표했다. 또한 호주 기업들도 AI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CSIRO(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는 AI스파크를 개발해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이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는 전세계에서 인공지능(AI) 산업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국가다. 싱가포르는 생성형 AI에 대해 우려보다는 기회에 중점을 두며 초기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코트라 싱가포르무역관은 6일 '싱가포르 생성형 인공지능(GenAI) 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싱가포르의 AI 시장 트렌드와 한국 기업과의 협력 등을 소개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생성형AI 솔루션 도입과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최근 5년간 AI연구개발에 약 5억 싱가포르 달러를 투자하고 민간 파트너도 지속적으로 찾고 있다. 11월에는 싱가포르통화청(MAS)이 금융산업을 위한 생성형AI 활용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젝트 '마인드포즈'의 1단계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스마트네이션디지털정보청은 구글 클라우드와 AI트레일블레이저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에 따르면 202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AI 준비 지수에서 싱가포르는 70.1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기술수준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은 59.7점이었다. 싱가포르 기업들은 AI와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