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TCL이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공장에 대한 소유권을 100% 확보했다. 중국 국영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잔여 지분까지 모두 사들이고, 안정적인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에 이어 델이 높은 재고에 대응하고자 패널 주문량을 대폭 축소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와 글로벌 경기 둔화로 가전·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위축되며 디스플레이 업계의 손실이 커질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델은 LG디스플레이와 중국 BOE·CSOT, 대만 이노룩스, 샤프 등 패널 공급사에 모니터·노트북용 패널 주문을 오는 3분기 50% 줄이겠다고 통보했다. 재고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다. 델은 올해 상반기 모니터용 패널 2000만 대를 샀고 1500만 대를 썼다. 노트북용 패널은 2300만 대를 구매했으나 노트북 출하량은 1500만 대에 그쳤다. 재고 압박이 커지며 주문을 조정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델은 연간 모니터·노트북용 패널을 각각 5000만 대, 4000만 대 구매했었다. 모니터용의 경우 세계 주문량의 25%를 차지하며 패널 시장의 가장 큰 고객사로 꼽힌다. 노트북용 패널 시장에서는 HP와 레노바에 이어 3위를 차지한다. 모니터·노트북용 패널 시장의 '큰 손'인 델이 발주량을 조정하며 디스플레이 업계는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가뜩이나 가전과 IT 기기 수요는 둔화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 TCL의 자회사 차이나스타옵토일렉트로닉스(CSOT)이 인도 공장에서 생산한 패널을 공급받기 시작했다. CSOT의 패널을 스마트폰에 탑재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지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CSOT는 최근 인도 남부 안드라 프라데시 공장에서 삼성전자 인도법인에 첫 패널 공급을 기념하는 선적식을 열었다.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CSOT의 패널을 받아 중저가 스마트폰에 탑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주에 노이다 공장을 가동하며 연간 최대 1억2000만대의 휴대폰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연간 생산량의 3분의 1이 노이다에서 만들어진다. 삼성전자는 CSOT의 저렴한 패널을 활용해 중저가 스마트폰 사업에서 수익성 확대를 꾀한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18.9%로 1위를 차지했지만 매출 성장률은 0.9%로 상위 5개 업체 중 최하위다. 반면 점유율 13.5%를 기록해 처음으로 3위에 오른 중국 샤오미는 매출 성장률이 35.1%에 달한다. 샤오미는 가성비를 앞세워 상위 5곳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샤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SOT가 애플에 아이폰용 OLED 패널 공급을 추진한다. 애플이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가운데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TCL의 자회사 CSOT가 우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에 속도를 낸다. T4 공장의 2·3단계 건설을 마치고 생산량을 늘려 대형 OLED 수요를 잡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SOT가 우한에서 18개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생산량을 대폭 늘린다. 특히 2조원 이상 투자한 T5 라인 건설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며 OLED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디스플레이 회사 BOE와 TCL의 자회사 CSOT가 증설을 단행한다. 스마트폰과 IT·차량용 수요에 대응해 생산량을 늘리며 국내 강화유리 업체 제이앤티씨를 비롯해 공급사의 수혜가 예상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가 내년에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출, 첨단 에너지 저장 분야의 주요 국가로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국가 개혁 프로그램인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른 경제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지속가능성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사우디는 배터리 산업에 진출해 깨끗한 에너지 혁신과 지속 가능한 산업 성장의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사우디가 배터리 산업 진출로 글로벌 공급망 확대에 나서면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K-배터리' 3총사와의 배터리 협력도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폴란드가 유럽연합(EU)의 인공지능(AI) 생태계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EU의 전략에 따라 폴란드가 중동부 유럽의 AI 허브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