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JB자산운용 호주 부동산 펀드 투자 사기의 주모자가 호주 현지 사법당국으로부터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27일 호주 언론 등에 따르면 호주 빅토리아주(州) 대법원은 지난 24일(현지시간) 현지 부동산 개발사 LBA캐피탈의 최고투자책임자(CIO)였던 드미트리오스 차리시오(Demetrios Charisiou)에 NDIS펀드 투자 사기 혐의로 징역 12년형을 선고했다. 그는 지난 2019년 4~7월 LBA캐피탈의 CIO를 맡았던 당시 KB증권과 JB자산운용의 'JB 호주NDIS펀드'를 약정 내용과 다르게 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금전적 이득을 취했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본보 2021년 3월 12일자 참고 : 호주 경찰, 'KB증권·JB운용 투자사기 논란' 핵심 인물 기소> JB 호주NDIS펀드는 호주 현지 사업자가 호주 정부의 장애인 주택 임대 사업에 투자하는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펀드다. KB증권이 판매하고 JB자산운용이 운용했다. KB증권은 지난 2019년 3∼6월 이 펀드를 기관투자가에게 2360억원, 법인과 개인에게 904억원어치를 각각 판매했다. 해당 펀드는 호주 현지 사업자인 LBA캐피탈이 호주 정부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이 LX인터내셔널의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 인수를 지원했다. 인도네시아 투자은행(IB)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KB증권 인도네시아법인 KB발부리증권은 LX인터내셔널의 인도네시아 AKP(Adhi Kartiko Pratama) 광산 지분 인수 자문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LX인터내셔널은 앞서 지난달 16일 AKP 광산 지분 60%를 1330억원에 취득하고 경영권을 확보했다. AKP광산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모로왈리 산업단지 인근에 있는 니켈 광산이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7배에 달하는 약 2000만㎡의 면적이다. 광산 인근에 니켈 제련 단지가 들어서 입지가 뛰어나고, 가행 광산으로 운광로·저광장·항만 등 인프라가 이미 갖춰져 있다. 이 광산의 원광 기준 매장 자원량은 5140만t이며, 이 가운데 검증된 가채광량은 3600만t에 이른다. 이는 전기차 700만대분에 해당하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규모다. LX인터내셔널이 생산된 물량 전량에 대한 인수(Off-take) 권한을 갖는다. KB증권은 지난 2022년 2월 현지 중형 증권사인 발부리증권 지분 65%를 550억원에 인수하며 현지법인을 출범했다. 현지 1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이 캐나다 핀테크 기업 핀헤이븐 테크놀로지(Finhaven Technology)와 손잡고 토큰증권발행(STO)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미래 신사업으로 토큰증권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핀헤이븐과 KB증권은 토큰증권발행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국내에서 토큰증권 발행·거래 플랫폼 구축에 협력할 방침이다. 핀헤이븐은 한국인이 창업한 핀테크 기업이다. 메릴린치 출신 김도형 대표가 지난 2018년 캐나다 벤쿠버에서 설립했다. 지난 2020년 캐나다 금융당국으로부터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증권거래소 허가를 받았다. 가상자산거래소가 아니라 증권거래소를 국가에서 공식으로 허가한 것은 핀헤이븐이 처음이었다.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 받은 핀헤이븐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와 벤처캐피털(VC)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등에서 600만 달러(약 8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토큰증권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을 뜻한다. STO는 토큰증권의 발행‧유통을 제도권 내에서 허용해 최근 출현한 다양한 권리의 증권화를 지원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주식시장에서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사그라들었다. 미국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지난해 글로벌 증시가 모두 크게 부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베트남 10대 증권사의 신용융자 잔고는 72조2630억 동(약 3조7940억원)으로 전분기 말 100조1850억 동(약 5조2600억원) 대비 27조9220억 동(약 1조4760억원) 감소했다. 신용융자는 증권회사가 투자고객으로부터 일정한 증거금을 받고 주식거래의 결제를 위해 매매대금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업체별로 보면 자본금 기준 베트남 2위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은 지난해 말 신용융자 잔고가 12조6260억 동(약 663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2조4780억 동(약 1300억원) 줄었다. 신융용자 잔고 규모는 10대 증권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다른 한국계 증권사인 KB증권 베트남법인은 작년 3분기 말 5조6540억 동(약 2970억원)에서 4분기 말 5조1530억 동(약 271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한국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같은 기간 4조5830억 동(약 2410억원)에서 4조7510억 동(약 249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법인 KB부코핀은행이 유상증자 주관사를 선정하며 자본 확충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증자가 완료되면 경영 정상화 작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코핀은행은 KB증권 현지 법인 KB밸버리증권과 미래에셋증권 인니법인을 유상증자 주관사로 선정했다. 부코핀은행은 두 증권사와 협력해 내년 초 증자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부코핀은행 보유 지분의 67% 규모인 8조4360억 루피아(약 7000억원) 한도로 증자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는 경영권을 인수한 이후 네 번째 증자다. 국민은행은 지난 2020년 7월과 9월 두 차례의 유상증자를 통해 지분율을 22.0%에서 67.0%로 확대하며 경영권을 인수했다. 이어 작년 말에도 5600억원을 추가로 투입했다. 국민은행이 지금까지 부코핀은행에 투자한 금액은 약 8000억원에 달한다. KB부코핀은행은 인도네시아 상업은행 115곳 중 자산규모가 19위에 달하며, 인도네시아 전역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현지 금융당국 OJK가 부여하는 은행종합건전성등급(RBBR)에서 2등급으로 평가가 상향되며 디지털 뱅킹 서비스와 신상품 출시가 가능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동방항공이 지난 2019년 3000억원 규모로 발행한 아리랑본드를 상환한다. KB증권이 중국동방항공의 채권 발행부터 상환까지 모든 과정을 이끌며 국내 자금조달 시장의 채권 명가로서의 역량을 증명했다. 중국동방항공은 내달 6일 3000억원 규모 아리랑본드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한다고 29일 밝혔다. KB증권이 주관사를 맡았다. KB증권은 채권 발행 당시에도 단독으로 주관·인수 업무를 수행했다. 중국동방항공은 앞서 지난 2019년 12월 해외기업으로는 최초로 국내에서 QIB(적격기관투자자대상증권) 채권을 발행했다. QIB채권은 적격기관투자자 대상으로만 거래되고, 사모와 달리 권종이나 투자자 수 제한 없이 자유로운 매매가 가능한 준공모 성격의 채권이다. 중국동방항공이 국내 채권 시장에서 아리랑 본드를 발행한 것은 두 번째다. 지난 2016년 9월 처음으로 아리랑본드는 1750억원 규모로 발핸한 바 있다. 아리랑본드는 외국인에 의해 국내 자본시장에서 발행·판매되는 원화표시 채권이다. 국동방항공은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소속의 중앙 공기업으로 에어차이나(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과 함께 중국 3대 국적 항공사다. 한편, KB증권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이 베트남 1위 대학인 베트남 국립대(VNU)와 손잡고 인재 육성에 나선다.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이를 통해 베트남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VNC는 지난 27일(현지시간)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있는 대학 본관에서 KB증권과 인재 육성에 협력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측은 장학금 후원을 비롯해 채용·인턴십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VNC는 1993년 설립된 국립 종합대이자 현지 1위 대학이다. 우리나라의 서울대 격이다. 팜 바오 손 VNC 부총장은 "KB증권은 젊은 과학자 육성을 위해 지난 1년간 40명에게 장학금을 지원했다"며 "이번 협약으로 VNU가 KB증권 성장에 기여하고 고객과 파트너를 확대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성현 KB증권 사장은 "KB증권은 앞으로 5년 내 베트남을 대표하는 디지털 증권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느며 이를 위해 최고의 인재 확보가 중요하다"며 "VNC의 젊은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베트남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B증권은 지난 2017년 현지 증권사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과 이지스자산운용이 글로벌 투자은행(IB) 크레디트스위스의 취리히 본사 건물 인수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금리인상 등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6일 해외 부동산 전문매체 리액트뉴스(React News) 보도에 따르면 KB증권·이지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은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크레디트스위스 본사인 '위틀리호프(Uetlihof)'의 인수를 철회했다. KB증권·이지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은 앞서 지난 7월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 등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결국 인수를 포기했다. 매각가는 13억 스위스프랑(약 1조8700억원) 수준이었다. 이 건물은 13층짜리와 17층짜리 건물 2개로 이뤄져 있다. 전체 면적인 약 14㎡에 이른다. 세계 최대 국부펀드 가운데 하나인 노르웨이중앙은행(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이 지난 2012년 크레디트스위스로부터 이 건물을 10억 스위스프랑(약 1조4400억원)에 인수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이 건물을 매각한 이후 임대 계약을 맺고 본사로 사용 중이다. 현재 약 8500명이 근무하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에서 'K-금융' 열풍이 거세다. 국내 금융사들이 인수·합병(M&A)를 통해 인도네시아에 활발히 진출하면서 현지에서 주목도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CNBC인도네시아는 2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금융시장을 지배하는 한국 기업의 행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한국 회사들이 인도네시아 금융사를 계속 인수하고 있고 일부는 이미 진출해 메인 플레이어가 됐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빠르게 성장하고 미래 잠재력이 큰 인도네시아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한국 금융사들은 이러한 흐름에 뒤쳐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케이팝 국가의 금융사들이 인도네시아 금융 서비스 부문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은행뿐만 아니라 보험사, 증권사, 여신금융사 등 다양한 업종의 금융사들이 인도네시아 진출에 나서고 있다. CNBC인도네시아가 소개한 대표적인 금융사가 한화생명과 우리카드, KB증권이다. 한화생명은 인도네시아 종합 보험사인 리포보험의 경영권 인수를 추진 중이다. 한화손해보험과 함께 이 회사 지분 62.6%를 인수할 계획이다. 우리카드는 현지 중견 할부금융사 바타비야 프로스페린도 파이낸스의 지분 85% 인수할 예정이다. 올해
[더구루=최영희 기자]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인 수퍼게이트㈜가 IBK캐피탈과 DA밸류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IBK금융그룹 뉴딜 소부장 투자조합과 KB증권으로부터 35억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수퍼게이트는 2018년 8월 설립한 시스템반도체설계 및 주문형반도체설계 전문 회사다. 시스템반도체 칩의 내재화로 경쟁력을 갖추려는 반도체 비전문기업 혹은 팹리스기업이 주요 고객이다. 수퍼게이트는 주문형 반도체 및 시스템반도체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무선충전 주문형반도체, 인공지능 자율주행 시스템반도체, 동형암호 신뢰기반 보안 기술,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반도체, 임베디드 인공지능 모델링, 시스템반도체 소프트웨어 등이 사업의 영역이다. IBK 금융그룹 뉴딜 소부장 투자조합과 KB증권은 담대하고 도전적인 수퍼게이트의 성격을 가감없이 보여주는 한국형 완전자율주행 프로세서 과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반도체 과제 및 신뢰기반 보안 컴퓨팅 과제 등의 미래 지향적인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수퍼게이트는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주목할 기업으로 프런티어 벤처기업 및 BIG3 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 심승필 수퍼게이트
[더구루=최영희 기자] KB증권은 LG전자, KOSPI200지수와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KB able ELS 2491호(3년 만기, 6개월 단위 조기상환, 조건 충족 시 세전 연 11.5%)를 포함한 원금비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14종 상품과 원금지급형 ELB 1종 상품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개인 일반투자자는 19일 16시까지(영업점 기준), 법인 및 전문투자자는 22일 14시까지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금번 공모에서 KB증권은 원금지급형 ELB 상품, 리자드 스텝다운형 상품, KOSPI200 싱글 인덱스 상품, 저낙인(45 배리어) 상품, 만기 1.5년 상품, 월지급식 상품 및 종목형 상품 등 다양한 ELS를 공모한다. KB able ELS 2479호(1인덱스 스텝다운형)는 KOSPI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3년 만기에 6개월 단위로 조기상환 기회와 조건 충족 시 최고 연 6.8%(세전)의 수익을 제공한다. KB able ELS 2480호(3인덱스 스텝다운형)는 KOSPI200지수, HSCEI지수와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1.5년 만기에 6개월 단위로 조기상환 기회와 조건 충족 시 최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금융그룹이 인도네시아에서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현지 계열사 간 협업 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KB국민카드 인도네시아법인은 현지 대출 공동 마케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 인도네시아법인 부코핀은행은 자사 고객이 국민카드 인도네시아법인 KB파이낸시아멀티파이낸스를 통해 사업 자금·주택 리모델링·교육비·휴가비 등 다목적 금융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KB금융은 최근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계열사 간 시너지를 강화하며 현지 종합금융그룹 도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제로 이달 들어 부코핀은행은 KB증권 인도네시아법인 KB밸버리증권, KB캐피탈 인도네시아법인 순인도국민베스트파이낸스와 잇따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2년 7월 8일자 참고 : [단독] 국민은행·KB증권, 인도네시아 시너지 본격화…전략적 MOU 체결> <본보 2022년 7월 14일자 참고 : 국민은행·KB캐피탈, 인도네시아 자동차금융 시장 공략 맞손> 윤종규 회장은 2014년 취임 이후 공격적인 인수·합병(M&A)를 통해 해외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