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이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LC타이탄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업황 회복 지연으로 실적 개선이 더딘 탓이다. LC타이탄 주가 역시 상장 대비 80% 이상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고민을 가중시키고 있다. 말레이시아 경제지 '디엣지말레이시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어려운 사업 환경으로 인해 롯데케미칼의 LC타이탄 투자와 관련해 민영화부터 지분 매각까지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LC타이탄은 롯데케미칼이 2010년 말레이시아 최대 석유화학사인 타이탄케미칼을 인수하며 출범했다. 동남아 핵심 사업장으로 2017년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로 생산한다. 롯데케미칼은 LC타이탄 지분 75.86%를 가진 대주주다. 말레이시아 최대 신탁 관리 회사 ASNB(Amanah Saham Nasional Berhad)와 공무원연금 운영기관인 KWAP(Kumpulan Wang Persaraan Diperbadankan)이 각각 2.45%, 1.0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LC타이탄 실적은 작년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LC타이탄이 하반기 실적 반등을 예고했다. 다만 높은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이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업황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12일 말레이시아 통신사 베르나마(Bernama)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박현철 LC타이탄 대표이사는 최근 "수요 개선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면서도 "하반기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 수요가 소폭 증가해 손실이 줄어들어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어려운 시기를 보이고 있지만 6억 링깃(약 1788억원) 이상 순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등 재정적으로는 안정적인 상황"이라며 "생산 효율성을 낮추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동률을 최적화하는 등의 조치도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이사는 최대 시장이었던 중국의 자급자족으로 인한 공급 과잉을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올 초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리오프닝으로 공급량 확대를 기대했으나 정유와 화학 부문 자체 공장을 짓어 원료를 수급하면서 수출 물량이 예상보다 저조했다는 설명이다. 지정학적 긴장 상태와 이에 따른 유가 상승 여파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LC타이탄이 올해 3분기 매출 선방에 성공했지만 이익이 대폭 감소했다. 세금, 원료 비용 상승, 공장 가동률 저하 등 대내외 환경 악화 탓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LC타이탄은 올 3분기 매출 22억3700만 링깃(약 6350억원), 세후이익(PAT) 4800만 링깃(약 136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5% 늘어난 반면 세후이익은 38% 줄었다. 수익이 급감한 것은 이연법인세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LC타이탄은 일부 비과세 공제 비용을 비롯해 이연법인세비용 충당금으로 6600만 링깃(약 187억원)을 지출했다. 가팔라진 공급 원료 가격 상승세와 공장 정기 보수에 따른 생산량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는 지적했다.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은 지난 1분기와 2분기 호실적을 견인한 일등공신이었지만 원료 가격 증가폭이 더 커지면서 마진이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LC타이탄은 지난 8월부터 약 한 달간 납사크래커(LCC)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공장 정기보수를 실시했다. 9월 초부터 정상 운영에 돌입했으나 보수 기간 동안 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