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SK가스가 미국 기업으로부터 당초 계약된 액화천연가스(LNG) 물량을 받지 못할 우려가 커지자 윤병석 사장이 팔을 걷어붙였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 함께 미국 정부에 레이크 찰스 LNG 수출 시설에 대한 허가 연장을 승인해달라고 촉구했다. 19일 S&P글로벌 등에 따르면 윤 사장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DOE)에 보낸 서한에서 "DOE가 (수출 허가 연장을) 승인하면 레이크 찰스 LNG 시설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이 즉시 완료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어 "레이크 찰스 LNG가 이룬 진전과 미국 LNG 프로젝트 중 가장 친환경적인 수출 시설로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해 (SK가스는) 구매 계약을 결정했다"며 사업의 신뢰성을 거듭 강조했다. 미국 최대 천연가스 생산 업체인 EQT 코퍼레이션과 다국적 기업 쉘도 수출 허가 연장 승인을 촉구했다. EQT 코퍼레이션은 이틀 뒤인 29일 서한에서 "우리는 다양한 LNG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였고 레이크 찰스 LNG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음을 인지하고 있다"며 "FID에 도달하도록 신속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주문했다. 쉘은 이달 9일자 서
[더구루=오소영 기자] 고려아연과 한화임팩트, SK가스가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와 녹색 암모니아 사업에 힘을 합쳤다. 호주에서 녹색 암모니아를 생산해 연간 100만t 이상을 국내로 들여온다. 퀸즐랜드 주정부는 고려아연, 한화임팩트, SK가스와 녹색 암모니아 사업을 위한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세 회사는 '한-호 수소(Han-Ho Hydrogen) 컨소시엄'을 꾸려 퀸즐랜드에서 녹색 암모니아 생산을 모색한다. 고려아연의 호주 풍력발전 자회사 아크 에너지가 추진 중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서 생산한 전력을 활용해 녹색 암모니아를 만든다. 아크 에너지는 퀸즐랜드주 보웬 남서쪽 지역에서 최대 3000㎿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콜린스빌 그린 에너지 허브(Collinsville Green Energy Hub)를 구축하고 있다. 한-호 수소 컨소시엄은 이번 MOU를 토대로 구체적인 협력 방법과 지분 등을 논의한다. 투자를 확정하고 2032년까지 연간 100만t 이상의 녹색 암모니아를 한국에 수출할 계획이다. 녹색 암모니아는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생산한 녹색 수소로 제조한 암모니아를 뜻한다. 수
[더구루=오소영 기자] SK가스의 계열사 SK가스트레이딩이 미국 에너지트랜스퍼(Energy Transfer LP)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받는다. SK가스의 미래 먹거리인 'LNG·수소' 사업에 탄력이 붙었다. 에너지트랜스퍼는 지난 2일(현지시간) "SK가스트레이딩과 장기 판매·구매계약(SPA)을 체결했다"라고 밝혔다. SK가스트레이딩은 국내 기업 최초로 에너지트랜스퍼로부터 LNG를 도입하게 됐다. 18년 동안 '레이크 찰스(Lake Charles) LNG' 시설에서 생산한 LNG 연간 40만t을 조달한다. 가격은 북미 지역의 대표적인 천연가스 가격 지표인 헨리 허브 벤치마크에 고정액화요금을 더해 정해진다. 수출항에서 계약 물품을 인도·인수하는 선적지 거래 조건인 본선인도조건(FOB)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SK가스트레이딩은 이르면 2026년부터 가스를 수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에너지트랜스퍼가 레이크 찰스 LNG 사업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을 내리는 시점을 감안해 계산한 결과다. 레이크 찰스 LNG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에서 기존 LNG 저장시설과 해상부두설비를 활용하고 새 액화플랜트를 지어 연간 1644만t의 LNG를 생산하는 사업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SK가스의 자회사인 SK어드밴스드가 울산 프로판탈수소화공정(PHD) 공장 가동률을 낮춘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SK어드밴스드는 울산 PDH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110%대에서 105%대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PDH는 프로판(C₃H₈)에서 수소(H₂)를 분리해 프로필렌(C₃H₆)을 생산하는 공정을 뜻한다. 프로필렌은 에틸렌과 함께 석유화학 산업의 주원료로 자동차부품과 합성수지, 섬유 등의 기초원료로 쓰인다. SK어드밴스드는 2014년 약 1조원을 쏟아 울산시 남구 신항만 인근에 PDH 공장을 착공했다. 2년 후 상업가동에 돌입해 프로필렌 약 60만t을 생산했다. 당시 프로필렌 전용 공장으로서는 세계 최대 규모였다. 프로필렌 투자를 완료한 후 3년 만에 폴리미래와 합작사를 만들고 프로필렌을 원료로 쓰는 폴리프로필렌(PP) 공장(연 40만t)을 지어 작년부터 가동에 착수했다. 이로써 'PDH-프로필렌-PP'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 SK어드밴스드는 PP의 시황을 고려해 생산량 축소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P 가격은 지난달 25일 기준 t당 1240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월(1130)보다 소폭 올랐지만 나프타 가격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