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 소유한 초고속 진공 열차 '버진 하이퍼루프 원(Virgin Hyperloop One)'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사업 중심이 여객에서 화물로 변경되면서 해고자가 대량 발생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버진 하이퍼루프 원은 18일(현지시간) 사업을 여객 운송에서 화물 운송으로 변경하면서 직원 절반 규모인 111명이 해고됐다. 해고자는 화상 회의를 통해 발표됐으며, 해고의 규모는 예상밖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구조조정은 사업 전략 이동 때문이다. 버진 하이퍼루프 원이 여객 여행 대신 화물 운송에 주력하면서 해고자가 발생한 것이다. 회사는 이번 구조조정을 통해 600mph 이상의 속도로 진공관을 통해 분사되는 하이퍼루프 포드를 통해 화물을 배달하는 데 집중한다. 버진 하이퍼루프 원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코로나19로 인해 회사가 방향을 바꾸고 있다"며 "화물 기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 두바이 정부 소유의 물류 제공업체이자 버진 하이퍼루프 원의 대주주인 DP 월드(World)는 2020년 하이퍼루프 기술을 사용해 화물 시스템 작업을 시작했다. 문제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 소유한 초고속 진공 열차 '버진 하이퍼루프 원'이 포르투갈 입성을 원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버진 하이퍼루프 원은 포르투갈에 하이퍼루프 기술 전수를 바라고 있다. 이를 위해 버진 하이퍼루프 원은 지난해 2월 안토니우 코스타(António Costa) 포르투갈 총리에게 소개서를 보낸바 있다. 서한에는 하이퍼루프가 작동하는 모빌리티 솔루션에 대한 소개가 담겨있다. 이후 몇 달 동안 버진 하이퍼루프 원과 협력하고 있는 포르투갈 회사와 경영진간 협의가 이뤄졌다. 하이퍼루프 도입 여부나 시기 등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퍼루프는 테슬라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가 2013년 고안한 개념이다. 캡슐 형태의 객차가 자기장으로 추진력을 얻어 밀폐된 진공 파이프 속을 달리는 기술로 비행기보다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기존 고속철도의 10분의 1에 불과한 건설 비용, 친환경성으로 미래 이동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버진 하이퍼루프 원는 작년 10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람을 태운 유인 시험 주행에 성공했다. 라스베이거스 근처 네바다 사막에서 500m 트랙을 시속 172km로 완주했다. 한편 버진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 소유한 초고속 진공 열차 '버진 하이퍼루프 원'이 경영진 공백으로 프로젝트 차질이 우려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버진 하이퍼루프 원(Virgin Hyperloop One)은 하이퍼루프 프로젝트의 실험 운송 기술 발전이 지연되면서 경영진이 잇따라 이탈하고 있다. 차기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최고위급 임원이 지난해 회사 방향을 놓고 충돌한 뒤 회사를 떠났다. 이탈자 중에는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조시 기겔(Josh Giegel)과 시속 760마일의 포드 기술을 이론에서 현실로 바꾸려는 최고 기술자 등이 포함된다. 버진하이퍼루프 원을 이끌던 전 CEO 제이 왈더(Jay Walder)가 회사 전략 문제로 논쟁을 벌이다 떠났고, 2014년 회사를 공동 설립한 조시 기겔이 그 자리를 대신했지만, 그마저 작년 말에 떠났다. 제이 왈더 전 CEO는 최근 런던 교통 앱인 시티매퍼(Citymapper) 이사회에 합류했다. 이밖에 △브라이언 가우머(Brian Gaumer) 엔지니어링 책임자 △세바스찬 비그네론(Sebastian Vigneron) 제품 개발 책임자 △애란 킨스(Erin K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게임·e스포츠 기업 나자라 테크놀로지(Nazara Technologies, 이하 나자라)의 미국 스포츠부문 자회사인 앱솔루트 스포츠(Absolute Sports)가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를 인수했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격투 스포츠 부문 입지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앱솔루트 스포츠는 영국 미디어 기업 '타이탄 인사이트 디지털(Titan Insider Digital)'로부터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 TJR레슬링(TJRWrestling)과 ITR레슬링(ITRWrestling)을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규모는 125만 달러(약 17억5000만원)이며, 인수 작업은 45일 이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앱솔루트 스포츠가 인수한 TJR레슬링과 ITR레슬링은 각각 2009년과 2020년 설립됐으며, 글로벌 프로레슬링 팬 커뮤니티 내에서 탄탄한 독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두 매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OU)는 170만 명에 달하며, 월간 조회수는 460만 회가 넘는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자회사인 스포츠 전문매체 스포츠키다(Sportskeeda)의 격투 스포츠 부문을 강화한다. 또한 프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