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YMTC(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의 소비자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브랜드 '지타이(ZhiTai)'가 현지 상반기 최대 쇼핑 행사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중국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와 자립화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경쟁 구도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반도체 시장이 최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분석이 나왔다. 상반기 바닥을 찍은 후 반등해 내년부터 본격 회복세에 접어들 전망이다. 10일 중국 국영 매체 증권시보(STCN) 등 외신에 따르면 안루커지 차이나리소시스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China Resources Microelectronics) 최고재무책임자(CFO)는 4일(현지시간) '2023년 커촹반(科创板) 반기 실적 설명회-반도체 업계 특별 설명회'에서 "상반기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재고를 소화하는 기간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운스트림 수요가 감소하고 시장 회복 속도가 전망을 밑돌았다"고 덧붙였다. 실제 반도체 판매액은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 연속 줄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감소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2분기 반도체 매출이 1년 사이 17.3%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다. 안루커지 CFO는 "재고가 점차 줄고 통신과 신흥 산업 등에서 수요가 성장하며 반도체 시장은 바닥을 찍고 회복한다"고 예상했다. 중국 크리스탈그로우스·에너지 장비(Crystal Growth&Energy Equipment Co Ltd)의 리후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의 3차원(3D) 낸드플래시 가격 10% 인상안을 중국 고객사들이 수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반도체 시장이 얼어 붙으며 판매 단가가 급락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추가 수익으로 숨통을 트일 수 있을 전망이다. 대만 디지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삼성전자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일부 중국 고객사들이 최근 삼성전자의 낸드 가격 인상 방침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제재로 반도체 공급망이 불안정해지자 삼성전자가 대안으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달 삼성전자가 낸드 계약 가격을 최대 10% 상향 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YMTC의 빈자리를 꿰찰 수 있다는 자신감이 반영된 행보였다. <본보 2022년 12월 21일 참고 대만 매체 "삼성 3D낸드 가격 10% 인상"…YMTC 제재 반사이익 현실화> 미국은 작년 10월 첨단 반도체의 군사적 활용을 막아야 한다며 중국 기업을 상대로 신규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두 달의 조사 끝에 36개 기업을 수출 통제 명단에 추가했다. 중국 화웨이와 하이크비전에 반도체를 공급했다는 의혹을 받은 YMTC도 포함됐다. YMTC는 미 상무부 허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3차원(3D) 낸드플래시 가격을 최대 10% 올렸다. 미국의 제재로 위기를 맞은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의 빈자리를 꿰차고 수주를 확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대만의 IT전문지 디지타임즈는 20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이달 초·중순 이뤄진 3D 낸드 계약에서 가격을 최대 10% 상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YMTC가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르면서 수혜를 입게 되자 가격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 10월 첨단 반도체의 군사적 활용을 막아야 한다며 중국 기업을 상대로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했다. 두 달의 조사 끝에 36곳을 수출 통제 명단(Entity List)에 추가했다. 중국 화웨이와 하이크비전에 반도체를 공급했다는 의혹을 받은 YMTC도 포함됐다. 이로써 YMTC는 미 상무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업으로부터 반도체 장비와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구매할 수 없게 됐다. 미국 기업의 장비를 활용한 외국 업체의 제품도 받을 수 없다. YMTC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빠르게 성장해왔다. 2016년 설립 후 4년 만인 2020년 128단 낸드 양산에 성공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창장메모리(YMTC)가 196단 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했다. 연내 양산을 목표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주요 기업들을 제치고 세계 최초 타이틀을 거머쥘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가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을 철회했다. 모회사 칭화유니그룹이 과도한 부채로 파산 구조조정에 돌입한 여파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YMTC가 미국 엑스페리(Xperi)의 반도체 특허를 활용해 차세대 낸드플래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YMTC는 최근 엑스페리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엑스페리의 DBI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비롯해 반도체 관련 특허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DBI는 웨이퍼 두 장에 각각 메탈 전극을 형성한 다음 전극 부분을 맞붙이는 기술이다.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엑스페리 측은 "DBI 하이브리드 본딩은 고성능·고용량 3D 낸드를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YMTC가 당사의 기본 특허권에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향후 협력을 확장하길 고대한다"고 밝혔다. YMTC는 엑스페리의 특허를 토대로 3D 낸드를 개발하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선도 업체들과 기술 격차를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3D 낸드는 평면으로 펼친 셀을 수직으로 쌓는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단수가 높을수록 용량이 커지며 단수에 따라 3세대(32단), 4세대(64‧72단), 5세대(92‧96단), 6세대(128단)로 구분된다. YMTC는 32단을 개발한 후 2018년 말 64·96단을 뛰어넘고 128단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가 128단 3차원(3D) 낸드플래시 양산에 성공했다. 모회사 칭화유니그룹의 경영난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도체 업체들과의 기술 격차를 1~2년으로 좁히며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거세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파워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Powev Electronic Technology)는 자체 브랜드 아스가르드(Asgard)를 통해 YMTC의 128단 3D 낸드플래시 기반의 솔리드스트레이트드라이브(SSD)를 선보였다. YMTC는 작년 4월 128단 3D 낸드플래시를 개발했다. 당초 연내 양산이 점쳐졌지만 늦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칭화유니의 유동성 위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SSD 출시로 YMTC는 사실상 128단 3D 낸드플래시 생산 시작을 공식화했다. YMTC는 2014년 32단, 2019년 64단 3D 낸드플래시 양산에 돌입했다. 128단까지 생산에 나서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는 국내 업체를 빠르게 추격하는 분위기다. 특히 저가형 USB가 아닌 SSD에 낸드플래시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낸드플래시는 쌓아 올리는 층수가 많을수록 용량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