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 ⑲] 수시대비 vs 정시대비

  • 등록 2022.03.02 06:00:00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올해 2023학년도 대입일정은 코로나19 상황임에도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정상적인 입시일정으로 진행된다. 수능시험일은 2022년 11월 17일(목), 수시원서 접수기간은 2022년 9월 13일(화)~17일(토), 정시원서 접수기간은 2022년 12월 29일(목)~2023년 1월 2일(월)로 예정되어 있다.

 

9월에 접수하는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 실기전형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78.0%인 272,422명을 선발하고, 12월에 접수하는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모집인원의 22.0%인 76,682명을 선발하여, 올해도 수시모집 선발인원이 훨씬 많다.

 

◆ 기간별 대비

 

1. ‘3월초~5월 중순’ : 3월 2일 입학식부터 4월말 또는 5월초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새롭게 시작하는 학년에 맞추어 필요한 학습과 비교과실적을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다. 이 기간에 본인의 우수한 학생부를 위해 꼭 필요한 동아리에 가입하고 또 좀 더 경쟁력 있는 학생부를 위해 리더십, 수행평가 등을 체크하며 다가올 첫 내신성적인 1학기 중간고사를 위해 마음가짐을 적극적으로 하는 초반 탐색시기이다.

 

2. ‘5월 중순~9월 중순’ : 5월 중순부터 9월 수시접수 이전까지는 학년 초 3~4월 초반 탐색시기를 거치며 수립한 본인의 입시전략에 맞추어 수시와 정시지원에 필요한 평가요소들을 관리하는 시기이다. 수능공부, 내신관리, 비교과관리, 대학별고사 준비 등 해야 할 것들은 많은 반면에 시간이 부족하여 조바심이 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중간고사 결과와 6월 평가원시험 결과가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아 마음을 많이 졸이는 시기이기도 하다.

 

3. ‘9월 중순~11월 중순’ : 9월 수시지원부터 11월 수능시험 이후까지는 수시지원을 마치고 수능공부를 하고, 대학별고사를 준비하고 치르는 시기이다. 11월 17일(목)에 가장 중요한 수능시험이 있지만, 수시에 비중을 두고 지원전략을 설정한 수험생들은 수능공부에 집중하기 쉽지 않다. 마음이 수시합격이라는 기대감에 부풀려 있기 때문에 정시지원에 무게를 둔 수험생들까지도 이러한 분위기 탓에 수능공부에 잘 집중하지 못한다. 11월 수능 가채점결과를 확인한 후 수시에 지원한 논술이나 면접과 같은 대학별고사 응시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이 시기에 해야 할 일이다.

 

4. ‘12월말~1월말’ : 마지막 단계는 12월 ‘정시지원 시기’이다. 수시에 합격하지 못한 수험생들은 정시에 지원하여 최종적으로 진학대학을 결정짓는다. 물론 재도전 여부도 이 시기에 결정해야 한다. 상향위주의 수시지원 경향 때문에 불합격이라는 통보의 휴유증은 생각보다 훨씬 크며 막연한 재수생활에 대한 기대감을 갖는 시기이기도 하다. 정신적으로 상당히 힘든 시기로써 한발 물러서 전체적인 목표를 마지막으로 세심하게 조율해야하는 시기이다.

 

◆ 수시대비 vs 정시대비

 

수시모집은 내신성적을 활용한 진학이 더 유리하거나, 비교과실적을 꾸준히 준비해 온 수험생들에게 유용하다. 물론 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정시모집으로는 쉽지 않겠지만, 논술전형을 통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상위권 대학 진학을 꿈꾼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정시모집은 고득점의 수능성적이 아니면 목표대학에 진학하기 힘들어 이들의 목표는 당연히 수능 고득점 획득이다. 하지만 상대평가인 수능시험에서 모든 수험생이 고득점을 받기는 불가능하며, 전년도와 같은 불수능 체제하에서는 N수생과의 수능점수 차는 훨씬 커진다.

 

수험생들은 일반적으로 ‘전 수시를 목표로 합니다!’ 또는 ‘전 정시를 목표로 합니다!’라고 이야기한다. 수능성적이 잘 나오느냐 안 나오느냐로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하지만 좀 더 효율적인 입시전략을 위해서는 내신성적, 비교과실적 등의 학생부와 수능모의고사결과를 비교하며, 수험생 본인의 희망대학, 희망학과 진학이 수시, 정시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한지를 냉철히 파악한 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최선의 결과를 거두는 것이 좋다.

 

현 시점에서 ‘수시가 목표이다, 정시가 목표이다’라고 스스로를 규정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태도인지를 보다 신중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초반 탐색에 실패하면 향후 입시일정은 전체적으로 꼬일 수밖에 없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는 수시와 정시 모두를 생각하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수험생 본인의 입시준비 상황을 진단하고 입시전략을 차분히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 수시지원, 정시지원 판단 시 필요한 것들

 

1.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 수시와 정시를 바라보는 시선에도 균형이 필요하고, 스스로 자신의 현 상황을 정확히 진단 할 때도 균형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먼저 자신의 3~4월 수능모의고사성적표를 보다 냉철하게 분석해 보아야 한다. 3월 수능모의고사의 출제범위는 2학년 과정이다. 4월 수능모의고사부터 3학년 학습범위가 점점 많이 포함되고, 난이도가 상승하는 수능에서 계속된 수능모의고사에서 계속된 수능성적 상승 결과를 얻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6월 평가원 수능모의고사부터 재수생이 포함되면 일반적으로는 수험생의 수능석차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수능모의고사성적을 지속적으로 올릴 수 있다는 막연한 자만심과 기대감에 초반부터 정시에 치우쳐 남은 1학기 중간·기말시험을 포기하는 행위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입시실패 사례라 할 수 있다.

 

2. ‘막연한 수시 합격을 낙관하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 : 특히 학생부종합전형과 논술전형에 비중을 두고 입시전략을 수립한 수험생이라면 더더욱 객관적으로 자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성평가가 진행되는 학생부종합전형은 ‘하향지원’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안정지원이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항상 정시지원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가령 학생부종합전형에 몰두하여 수능공부를 포기한 경우에도 최소한 학생부교과전형을 활용한 안정지원 방안을 마련해 두는 것이 좋다. 논술전형은 경쟁률이 너무 높아 합격을 기대하기 힘든 전형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달성만을 목표로 수능학습에 몰두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논술과 정시를 묶어서 도전하는 학생들이 범하는 흔한 오류라 할 수 있다.

 

3. ‘여유를 갖도록 하자.’ : 수험생들에게 1년간의 수험생활은 초조하고 조급한 마음에서 벗어나기 힘든 시기이다. 불안감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고자 무엇이든 빠르게 결정해서 집중하고 싶은 것이 수험생의 마음이지만 조급함은 입시성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히 탐색시기에서 남은 3학년 1학기 성적을 미리 확신해 버리는 태도는 매우 위험하다. 우리는 3학년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형편없는 내신성적을 받게 될지도 모른다. 역으로 내신성적이 향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수능모의고사성적도 마찬가지이다. 6월과 9월 평가원 수능모의고사에서 전에는 받아보지 못한 처참한 성적표를 받는 학생들이 많다. 이는 실제 수능시험에도 해당된다는 점에서 수시와 정시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는 점을 잊지 말자.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