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GM·BMW 등 '카벤저스' 뭉쳤다... '테슬라 대항' 충전인프라 확대

혼다·기아·벤츠·스텔란티스 등 연합군 합류..포드·폭스바겐은 제외
10억$ 이상 투자...3만개 충전포트 건설

[더구루=김도담 기자] 주요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북미 지역 급속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은다.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는 한편 테슬라 의존도를 줄인다는 목표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를 포함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북미 지역 고속도로 등 주요 지역에 3만개의 급속 충선포트를 건설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인프라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만도 최소 10억 달러(약 1조2723억원)에 달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현대·기아자동차 외에도 BMW그룹, GM,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스텔란티스 등 7개 주요 브랜드가 참여한다. 다만 포드와 폭스바겐은 참여하지 않는다.

 

이들 7개 주요 브랜드들이 충전 인프라 건설에 힘을 모으기로 한 가장 큰 이유는 전기차 대중화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는 30분 이내에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가 3만6000개에 달한다. 하지만 이들 충전기가 특정 지역에 몰려있어 정작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충전소간 거리가 수백마일 이상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장거리 여행 중 충전기를 찾지 못할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전기차 구매를 꺼리는 잠재 고객층이 다수 존재한다는 설문결과도 이들 주요 완성차 브랜드의 협력을 이끌었다.

 

실제로 전기차의 신차 출고 비중이 높은 노르웨이는 급속충전기 인프라를 갖추자 전기차 판매가 급격히 늘었다.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충전 인프라가 중요하다는 방증이다.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미국 급속충전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테슬라에 대한 충전 인프라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테슬라는 다른 브랜드에도 충전기를 개방하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타사 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는 100개 미만이다. 이에 7개 완성차 브랜드는 향후 건설하는 급속충전기 3만개에 테슬라 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 브랜드의 충전 형식과 호환되는 플러그를 장착할 계획이다. 

 

이들 7개 기업은 도시 지역과 주요 고속도로, 특히 휴가객과 여행자들이 자주 다니는 도로에 급속충전기를 우선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또 공중 화장실, 레스토랑 등 편의시설에 설치해 전기차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는 등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궁극적으로 전기차 판매를 늘리고, 궁극적으로 화석연료에서 전기차로 전환 속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