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2일 코트라 영국 런던무역관의 '영국의 해상풍력 산업, 바람은 어디로 불까'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은 해상풍력 강국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해상풍력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23년 해상풍력을 통해 공급한 전력은 49TW(테라와트)에 이른다. 이는 영국 가정의 5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영국 정부는 청정에너지 초강대국 전환 목표와 함께 해상풍력의 발전용량을 2023년 14.7GW(기가와트)에서 2030년 55GW로 4배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해상풍력 확대 정책에 힘입어 해상풍력 시장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해상풍력 발전은 바다에 설치된 풍력 터빈을 이용해 풍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바닷속 지반과 수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하부구조물을 사용하게 된다. 이를 해저에 고정하는지 부유하는지에 따라 크게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구분된다.
고정식 하부구조물은 해저 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해 풍력발전기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수심이 60m 이하인 경우에 사용한다.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은 깊은 바다의 해수면에 구조물을 띄운 상태에서 그 위에 발전기를 설치한다.
현재 운영되는 대부분 해상풍력 발전소는 고정식 하부구조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데 최근에는 기술 발전으로 많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단지가 건설되고 있다. 깊은 수심에 설치가 가능해 먼 바다의 풍부한 바람을 활용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채광과 소음 문제없이 에너지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영국은 '해저 임대권 경매(Seabed Lease Auctions)'를 통해 정부가 관리하는 해역을 민간에 장기 임대해 해상풍력 개발 사업자를 선정한다. 계획된 시장 규모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절차와 기준에 따라 적합한 입지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찰을 통해 사업자가 결정되는 구조다.
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차액결제거래(CfD)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한다. CfD는 15년간 유효한 장기 계약 형태로, 전력 도매 가격의 변동성으로 인한 사업자의 위험을 완화한다. 해상풍력 프로젝트 입찰에서 기준 가격을 설정한 뒤 도매 가격이 기준보다 낮으면 정부가 차액을 보전하고 반대로 기준보다 높으면 정부가 초과 수익을 환수하는 구조다.
현재 영국 해상풍력 발전의 가장 큰 장애 요소로 해상풍력 단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력망 부족이 지적된다. 영국 정부는 전력망 제약으로 인해 발전된 전력을 육지로 전달할 수 없는 일부 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고 대신 가스 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 약 10억 파운드 이상의 혼잡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기존 전력망이 빠르게 확장되는 풍력발전 용량을 수용하지 못하면서 전력망 확충 및 개혁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