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타
로커스체인(Locus Chain) 기반의 웹3 게임 및 메타버스 플랫폼 크레타(Creta)가 포트리스W의 글로벌 정식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트리스W는 'CCR 콘텐츠 트리(CCR CONTENTS TREE)'가 개발한 인기 온라인 게임 '포트리스M'을 기반으로 한 PC게임으로, 웹3 기술을 접목해 한층 확장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포트리스W는 크레타 플랫폼의 첫 번째 게임 타이틀로 중앙화된 서버 사용을 최소화해 보다 높은 수준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로커스 게임체인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해 안정적인 게임 플레이 환경을 구축하고 원활한 게임 운영과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포트리스W는 게임 내 사용되는 탱크를 대체불가토큰(NFT)으로 발행해 유저간 거래가 가능하게끔 함으로서 차세대 웹3 게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게임 플레이를 넘어 유저 간 자산 거래와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도입, 플레이어들에게 새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트리스W는 동남아시아, 중동,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먼저 출시된다. 해당 지역들은 온라인 게임 산업의 핵심 성장 지역으로 평가되는 만큼 이를 적극 공략해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크레타는 웹3 기반의 지역별 e스포츠 리그 운영 및 지원을 통해 포트리스의 지속적인 재미를 높이는 한편 실력 있는 게이머들이 생태계에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CCR 콘텐츠 트리 관계자는 "오랜 기간 준비해온 포트리스W는 포트리스 시리즈의 정식 타이틀로서 최초로 크레타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서비스를 게시하는 작품이다. 포트리스W 게임을 전세계 팬들에게 소개할 수 있게 돼 매우 설렌다"며 "포트리스만의 독특한 게임성과 웹3 기능을 통해 전 세계 게이머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겠다"고 말했다.
◇갈라뮤직
블록체인 음악 플랫폼 갈라뮤직이 세계 최초로 웹3 랩 배틀 '애니 라스트 워드?(Any Last Words?, 마지막으로 남길 말은?)'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갈라뮤직 아티스트인 'JP 칼리 스무브(JP Cali Smoov)'가 진행하는 이 이벤트는 치열한 랩 배틀에 웹3 기술을 더했다. 또한 갈라뮤직 토큰과 컬렉터블 NFT, 주크박스 노드 조각(Jukebox Node shards)과 같은 다양한 보상이 웹3 기술로 결합돼 랩 배틀 행사의 열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이번 갈라뮤직 랩 배틀에는 미국 전역에서 최고의 MC들과 힙합 인플루언서들이 모여 7개의 배틀 무대를 진행했다. 호스트는 Lush One, Young Deji, Tone Bro가 맡았으며, 칼리 스뭅을 비롯해 14명의 아티스트가 배틀을 벌였다.
현장에는 푸드트럭이 들어서, 축제의 장처럼 행사장을 즐길 수 있게 마련됐다. 갈라뮤직 회원은 무료로 현장에서 참여가 가능하며, 갈라뮤직 플랫폼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이 동시에 진행됐다.
랩 배틀 이벤트를 기념해 갈라뮤직은 한정 수량으로 '배틀 박스(Battle Box)'를 출시했다. 박스에는 랩 배틀 독점 트랙과 웹3 리워드, GALA 토큰, 갈라뮤직 한정 NFT 등 다양한 보상이 포함됐다.
JP 칼리 스뭅은 "랩 배틀은 단순한 경쟁이 아니라 깊은 문화적 뿌리를 가진 예술 형식"이라며 "각자의 활동을 서로 지지하고 응원하는 것이 배틀 랩의 문화"라고 전했다.
갈라뮤직 관계자는 "랩 배틀의 진정한 의미인 연대와 협력의 정신을 바탕으로 웹3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 수 있었다"라며 "이번 이벤트를 바탕으로 웹3가 다양한 문화에 쉽게 결합해여 스며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리플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가 가상자산 인프라 제공 기업 리플의 요청에 따라 가상자산 XRP의 국문 명칭을 '리플'에서 '엑스알피(XRP)'로 변경했다.
리플은 가상 자산인 XRP와 기업명 리플의 명칭 혼용을 방지하고자 전체 거래소 및 플랫폼에 이달 초 명칭 변경을 요청했다. 리플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사실에 입각한 명확한 용어의 정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 내 명칭 혼용에서 비롯된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방지하겠다는 입장이다.
XRP는 글로벌 개발자 커뮤니티가 관리하는 오픈소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 레저 상에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암호화폐이며 리플은 이러한 커뮤니티 기여자 중 하나이다. 또한 리플은 XRP를 자사 제품에 활용하고 있으나, XRP를 관리제어하거나 단독 소유하지 않으며 XRP의 발행사도 아니다.
리플 측은 "리플과 XRP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올바른 명칭 사용함으로써 규제기관, 거래소, 개인 투자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가 디지털 자산과 기업 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페어스퀘어랩
금융 분야 특화 디지털 자산 기술 기업인 페어스퀘어랩과 가상자산 수탁회사인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이 일본 블록체인 기술 기업 프로그매트(Progmat)와 손잡았다. 페어스퀘어랩과 KDAC는 프로그매트와 국제 송금 및 결제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다.
페어스퀘어랩과 KDAC는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송금과 결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개념 증명(PoC)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하고, 프로그매트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경제를 뒷받침하는 국제 송금과 결제 시스템은 혁신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페어스퀘어랩 등은 기존 금융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과 스테이블코인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방안을 시도할 계획이다.
한국디지털자산수탁의 김민수 대표는 "프로그매트와 협력을 통해 국제 금융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한일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