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새 45곳 사라졌다…저축은행, PF 후폭풍에 구조조정 '칼바람'

4년 새 점포 14.8% 감소…시중은행보다 빠른 축소 속도
PF 부실·비대면 전환 겹치며 저축은행 오프라인 점포 급감

 

[더구루=진유진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에 부담이 커진 저축은행이 대대적인 점포 구조조정에 나섰다.

 

1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저축은행 오프라인 점포 수는 259개로, 전년보다 17곳 줄었다. 2020년 304개였던 점포 수는 4년 만에 14.8% 감소했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과 SC제일·한국씨티은행 등의 점포는 3651개에서 3262개로 10.6% 줄었다.

 

저축은행업계는 PF 부실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타개하기 위해 인력과 고정비가 많이 드는 점포부터 정리하는 중이다. OK저축은행은 지난 3월 전주지점을 폐쇄하고 광주지점과 통합했다. 대전지점은 지난달 28일 대전중앙지점과, 동대문지점은 본점과 각각 합쳐졌다.

 

한국투자저축은행도 지난달 말 잠실지점을 정리하고, 인근 테헤란로지점으로 흡수 통합했다. 기존 테헤란로지점은 강남금융센터로 확대 이전된다. 이외에도 모아저축은행은 수원지점을 분당지점과 합쳤으며, SBI저축은행은 강남·전주지점을 폐점하고 강남금융센터와 광주지점에 각각 통합·이전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영업점이 줄어든 측면도 있다. 비대면 거래가 일반화된 상황에서 고령층을 제외한 대부분 고객은 영업점을 찾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마다 비효율 지점을 줄이고, 일부 거점 점포를 대형화해 운영하는 전략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