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도 미국과 중국의 상호 관세 인하 합의가 투자심리를 지지하면서 구리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섰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7월물 구리 가격은 13일(현지시간) 전 거래일 대비 1.3% 상승한 톤당 1만296달러에 거래됐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는 오전 거래 기준 0.3% 오른 톤당 9544달러를 기록, 지난달 초 이후 최고치에 근접했다.
이번 반등은 미국과 중국이 지난 12일 발표한 '관세 휴전' 조치에 따른 것이다. 두 나라는 90일간 상호 관세를 115%포인트씩 인하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미국의 대중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는 1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된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번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중국과의 첫 관세 전쟁 이후, 미래의 협상을 위한 매우 유의미한 틀"이라며 "미국은 중국과의 경제를 완전히 단절하려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중국의 구리 수입 증가도 가격 상승세를 뒷받침했다. 지난달 중국의 구리 원광 수입량은 300만 톤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 내 가격 안정을 도우면서, 원광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제련업체의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공급 측면에서는 여전히 불안 요소가 남아 있다. 전 세계적으로 구리 원광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제련소의 처리 능력만 늘어나면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제련국인 중국은 생산량을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가공된 구리 생산이 최근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