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소득수준 향상과 함께 급성장하는 중국 아웃도어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의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징동닷컴(JD)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핑슈트, 잠수경, 클라이밍 헬멧 및 신발 등 상품의 판매액이 40% 이상 증가했다. 그중 절반은 '고가치' 소비층 대상 판매가 차지했다. 또한 중저가 소비층도 점차 고급 스포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는 중국 '고가치' 소비층은 아웃도어 용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체 판매액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분야별 아웃도어 용품 시장 품목으로는 △캠핑용품 △스키용품 △수상스포츠 △하이킹의류 △사이클링 등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아웃도어 시장에서 소수의 아웃도어 마니아 외 대부분의 사용자는 여전히 디자인과 가격을 보고 제품을 선택한다. 한국 제품의 예쁜 디자인은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더 쉽게 사로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디자인 외 품질도 높아 한국 제품의 신뢰도도 높아졌다. 헬리녹스(Helinox)는 업계 선두 브랜드로 한국 아웃도어 용품에 대한 비교적 높은 기대와 품질 신뢰도를 구축했다. 맥선(MAXSUN)은 긴 호흡으로 중국 시장에 깊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의 건설기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이 북미 건설기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디벨론은 다음달 17~18일(현지시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리는 장비 박람회 '이큅 익스포지션'(Equip Exposition 2024)에 참가한다. 8020D 전시구역에서 미니 굴착기 △DX35Z-7 △DX42-7 △DX62R-7 모델 3대와 DTL35 소형 트랙 로더를 선보일 예정이다. 실내 전시장에서는 DX35Z-7와 DX42-7, DX62R-7 모델과 78인치 브러시 커터 부착물이 있는 소형 트랙 로더 DTL35가 전시된다. DX62R-7 미니 굴착기는 유압식 퀵 커플러, 썸, 버킷과 함께 실외에서 전시된다. DTL35 트랙 로더는 버킷과 함께 야외 데모 구역에서 시연되기도 한다. 올 여름 미국에서 출시된 트랙 로더 DTL35는 84.80kW 엔진과 1727kg의 정격 작동 용량을 갖추고 있다. 윈타 베레케트(Winta Bereket) 디벨론 마케팅 관리자는 "이큅 익스포지션은 디벨론 브랜드를 홍보할 좋은 기회"라며 "소형 장비 라인을 계속 확장함에 따라 이 쇼가 저희 제품을 전시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르비아가 30억 달러(약 4조원) 규모의 프랑스산 라팔 전투기 12대를 구매한다. 러시아의 무기 의존도를 탈피하고자 프랑스 전투기를 도입한다. 세르비아는 서방 전투기 구매로 구 소련산 미그(MiG)-29 전투기와 노후 유고슬라비아 전투기로 구성된 공군을 현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세르비아는 프랑스 다쏘항공과 라팔(Rafale) 전투기 12대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거래 규모는 30억 달러(약 3조 9912억원)에 달한다. 이번 협정은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이 양국 간 관계 강화를 위해 베오그라드(Belgrade)를 방문한 가운데 이뤄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 계약이 세르비아를 러시아와의 전통적인 유대 관계에서 벗어나 유럽연합(EU)에 더 가깝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르이바의 전투기 구매는 러시아의 기술에 의존해온 세르비아는 군대를 현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지난 2006년 이래 러시아 무기를 자주 구매해온 세르비아는 군대 현대화를 위해 역대 가장 큰 규모로 무기를 거래했다. 세르비아는 이웃 발칸 경쟁국인 크로아티아가 10억 유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다임러트럭AG가 카린 로드스트룀(Karin Rådström)을 신임 회장으로 임명했다. 다양한 신형 전기 트럭을 출시하고 서비스 증가를 주도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인 성과를 인정했다. 그는 '트럭맨'이었던 마틴 다움 전 회장에 이어 10월 1일부터 회장직을 맡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다임러트럭AG는 지난 4일(현지시간) 카린 로드스트룀을 신임 회장으로 선임했다. 전임인 마틴 다움 회장은 원활한 인수인계 작업을 위해 올해 말까지 다임러 트럭 AG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카린 로드스트룀 신임 회장은 지난 2021년 다임러 트럭 이사회에 합류한 이후 메르세데스-벤츠 트럭의 경영 전반을 책임져 왔다. 다양한 신형 전기 트럭을 출시하는 한편 서비스 증가를 주도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였다. 다임러 트럭에 합류하기 전에는 유럽 상용차 전문 기업 스카니아에서 영업과 마케팅을 총괄했을 뿐 아니라 버스와 코치 부문 수석 부사장직을 역임한 바 있다. 조 캐저(Joe Kaeser) 다임러 트럭 AG 감사회 의장은 "뛰어난 업계 지식과 리더십을 갖춘 카린 뢰드스트룀을 다임러 트럭 AG의 새로운 회장으로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그녀와 그녀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철강산업 공급 구조개혁을 추진한다. 구조 개혁을 위해 철강 설비 교체를 중단하고, 교체 실시 조치를 개정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제일재경일보(第一财经日报)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는 철강산업의 공급 구조개혁 강화를 위해 철강산업의 생산능력 교체를 중단시키고, 2021년에 발표된 '철강산업 생산능력 교체 시행방안'의 개정에 착수한다. 중국은 철강산업의 공급구조 개혁을 위해 2021년 '철강산업 생산능력 교체 시행방안'을 제정했다. 그러나 공신부는 지난달 23일부터 각 지방정부에 철강산업의 생산능력 교체 관련 공시, 발표를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 공신부의 공지사항을 따르지 않고 철강 생산능력 교체 계획을 계속 공표, 발표하는 사람은 불법적인 새로운 철강 생산능력으로 간주돼 부정적인 사례로 보고된다. 공신부는 철강산업의 생산능력 교체 시행을 통해 산업구조 전환과 업그레이드, 업계 재편성 등을 촉진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정책 집행력 미달, 감독체계 미비, 공급과잉 등 문제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책 개선을 통해 철강산업의 수급 균형, 시장 안정, 투자환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신부는 철강 생산능력 교체
[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글로벌 항공사들이 중국행 노선에서 철수하고 있다. 수요 감소와 러시아의 영공 폐쇄로 인한 운영 비용이 증가해 운항을 중단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항공(British Airways)과 영국 버진 애틀랜틱항공(Virgin Atlantic Airways), 호주 콴타스항공(Qantas Airways) 등 글로벌 항공사들이 중국행 노선 축소를 결정했다. 최소 1년에서 무기한 운항 중단이다. 영국항공은 지난 7월 홍콩행 항공편을 절반으로 줄여 하루 1회로 줄인 데 이어 오는 10월 26일부터 런던-베이징(北京) 노선을 최소 1년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러시아 영공을 피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운항 비용이 증가하면서 이뤄졌다. 영국 버진 애틀랜틱항공(Virgin Atlantic Airways)도 10월 25일부터 '런던-상하이'(上海) 노선을 무기한 중단한다. 버진 애틀랜틱 항공의 중국 시장 철수 결정은 코로나19 이후 중단했던 상하이 노선을 재개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이뤄졌다. 항공사는 중국 노선에서의 상당한 어려움과 복잡성을 철수 이유로 꼽았다. 여기에는 러시아 영공을 피해야는 상황 하에서 운영 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의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인 보쉬(Bosch)가 4개 대륙에서 100만개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한다. 보쉬의 충전소를 찾아 차량을 충전하고 결제하면 유연하게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쉬는 100만개 이상의 충전소를 제공해 충전 인프라에 대한 더 나은 접근성을 위한 이정표를 세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보쉬는 4대륙에 100만 개 이상의 충전소를 제공하는 자체 플랫폼을 제공한다. 보쉬의 충전소는 현재 유럽에만 약 80만 개, 북미에는 약 13만 개의 충전소가 있다. 올해 말에는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에 약 20만 개의 충전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충전과 경제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가능하며 비용 투명성이 극대화된다. 보쉬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신규 등록 차량 3대 중 1대는 순수 전기차가 될 것이며, 2035년에는 2대 중 1대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보쉬는 100만 개가 넘는 충전소를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함으로써 전 세계 운전자들이 전기차를 훨씬 더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마르코 제헤(Marco Zehe) 보쉬 전동화 모션(Electrified Motion) 사업부 사장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의 화물기 함대가 2043년까지 3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붐을 이루고 있는 전자상거래 부문의 수요로 화물 운송이 촉진된 덕분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화물기 함대는 약 20년간 3배 더 늘어날 전망이다. 보잉의 2024년 중국 상업 시장 전망(CMO)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43년까지 170대의 화물기가 인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수치에는 신조 모델과 개조 모델이 모두 포함된다. 중국의 상업용 항공기는 2043년까지 4345대에서 9740대로 매년 4.1%씩 증가한다. 연간 승객 교통량 성장률은 5.9%로 세계 평균 4.7%를 넘어설 예정이다. 보잉은 2043년까지 전 세계 항공기 중 화물기가 3900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43년까지 2845대의 신규 화물기와 개조 화물기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작년의 2825대에 비해 늘어난 수치이다. 대런 헐스트(Darren Hulst) 보잉 상업 마케팅 부사장은 "중국의 여객과 화물 상업 항공 시장은 경제 성장과 항공사의 국내 네트워크 구축에 힘입어 계속 확대되고 있다"며 "중국 항공사는 강력한 수요를 보일 것이며, 현대식 연료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새로운 표준으로 항공기 인증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FAA는 최신 항공기의 연결성 증가에 대응해 항공 적격성 인증 프로세스를 통한 사이버 보안을 통합할 예정이다. FAA는 항공기 설계에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간에 상호 연결된 시스템이 점점 더 많이 통합되고 내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확장됨에 따라 감항 인증 절차에 사이버 보안을 통합하고자 한다. 항공기의 사이버 위협에 취약한 부분은 △현장 로드 가능 소프트웨어(기내 시스템 업데이트) △공항과 항공사 게이트 링크 네트워크 △공공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USB 장치 등이다. FAA는 사이버 보안 요건을 표준화하고 이러한 표준을 기존 규정과 일치시킬 계획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무단 전자 간섭(IUEI)으로부터 운송 부문 항공기, 엔진 및 프로펠러의 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AA 측은 "사전 예방적 접근 방식은 항공 내 사이버 보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위협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록히드마틴, RTX(레이시온 테크놀로지), 노스룹그루먼, 보잉, 제너럴 다이내믹스 등 미국 5대 방산그룹이 돈을 무더기로 벌어들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5대 방위 계약업체는 2026년 말까지 260억 달러(약 34조8000억원)의 현금 흐름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1년의 두 배 이상이다. 이번 집계에서 보잉은 제외됐다. 상위 15개 방위 계약업체는 2026년에 520억 달러(약 70조원)의 잉여 현금 흐름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우크라이나, 대만,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 법안에서 미국의 5대 방위 그룹과 공급업체의 무기 생산에 약 130억 달러(약 17조원)를 할당했다. 미국의 방위산업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동 및 아시아에서의 긴장 고조에 대응해 정부가 예산을 늘리면서 군사 지출이 급격히 증가해 이익을 얻고 있다. 분석가들은 세계 최대 항공우주·방위산업체들은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부의 신무기 주문이 급증하면서 향후 3년 동안 기록적인 수준의 현금을 벌어들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앞으로 몇 년 동안 방위 지출이 강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지만, 최
[더구루=길소연 기자]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이하 우즈벡) 대통령이 포스코 인터내셔널(이하 포스코 인터)을 언급하며 섬유 산업 협력을 요청했다. 우즈벡의 직물 사업 투자 유치를 위한 목적으로, 포스코인터의 사업 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샤브카트 우즈벡 대통령은 최근 국제섬유제조업연합과 국제의류연맹의 공동 컨퍼런스에 참석해 우즈벡의 섬유 산업은 글로벌 생산 공정에 적극적으로 통합돼 모든 대륙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샤브카트 대통령은 우즈벡이 섬유 부문에서 국가 브랜드를 만들고, 명망 있는 국제 브랜드를 우즈벡으로 유치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우즈벡의 투자와 비즈니스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결정적인 조치를 취해 외국과 현지 투자자 모두에게 포괄적인 유리한 조건을 조성했다"며 "섬유와 의류 산업에서도 광범위한 개혁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우즈벡은 포스코인터를 포함해 독일의 '팀드레스'(Timdres), 이탈리아의 '코토넬라'(Cotonella), 싱가포르의 '인도라마'(Indorama), 얀완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웨덴이 우크라이나에 볼보 엔진을 장착한 고이동성 보병전투차(IFV) '판사르반드방(Pansarbandvagn) 302'(PBV 302) 240여대를 기증한다. 스웨덴에서 2014년에 퇴역했지만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돼 우크라이나의 대공방어와 공세 능력을 향상시킨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스웨덴이 자국 군대에 기부한 PBV 302 배치를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스웨덴의 IFV 지원은 스톡홀름이 지난 5월에 우크라이나에 3년간 총 750억 스웨덴 크로나(약 9조8000억원)에 달하는 상당한 군사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지원의 일환으로 스웨덴은 스웨덴 군이 소유한 239대의 PBV 302를 인도하기로 확정했다. 1960년대에 개발한 PBV 302는 1966년 스웨덴군에 도입돼 2014년 퇴역할 때까지 주요 IFV로 사용됐다. 현재 스웨덴군은 PBV 302 후속 차량인 CV90(Combat Vehicle 90)을 운용하고 있다. PBV 302는 보병을 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궤도 차량에는 20mm 대포라는 유기적 무기가 있다. 해글룬드&쇠너(Hägglund &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