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 진출에 속도를 낸다. 특히 단순 자원 채굴에 그치지 않고, 생산 공장 설립으로 범위를 확대해 안정적 소재 수급과 시장 확장을 모두 노린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LG전자가 인수한 오스트리아 헤드램프 전문 기업 ZKW(이하 LG ZKW)가 폴스타3 헤드라이트를 담당한다. 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LG ZKW는 전기차 모델 폴스타3에 '미러Z'(mirrorZ) 기술을 적용한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를 공급, 탑재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헤드램프는 전방 카메라를 통해 마주 오는 차량을 감지한다.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을 사용해 자동으로 빛을 어둡게 하고, 정밀하고 원활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 130만 화소 LED(발광다이오드) 모듈을 탑재했으며, 마주 오는 차량을 확인하면 상향등의 눈부심을 줄이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눈부심을 줄여주는 상향등과 함께 전조등을 자동으로 켜준다. 경고기능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LG ZKW은 이번 공급에 앞서 폴스타2에도 프리미엄 LED 헤드라이트를 제공했다. 폴스타 외에도 BMW·다임러·포드·GM 등 주요 완성차 그룹에 헤드램프를 납품중이며, 지난해에는 랜드로버와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5세대 '올 뉴 레인지로버'에도 지능형 LED 헤드라이트 공급 계약을
[더구루=김도담 기자]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산화리튬 공장이 들어선다. 이 공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면 BMW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를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유로피언리튬(European Lithium)이 사우디아라비아 오베이칸 그룹과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공동설립하기로 했다. 50대 50 조인트벤처로 설립하는 이 공장은 리튬 농축물을 수산화리튬으로 전환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수산화리튬은 배터리 4대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 생산에 쓰인다. 특히 니켈 비중 90% 이상으로 에너지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하이니켈 배터리에 활용돼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수산화리튬은 BMW의 전기차 배터리 소재로 활용될 전망이다. 유로피언리튬은 BMW와 지난해 12월 장기구매계약(Offtake Agreement)을 체결, 2026년부터 2031년까지 6년간 수산화리튬을 공급하기로 했다. 한편 전기차 시장이 나날이 커지면서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비단 배터리 업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도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 확보에 직접 나서고 있을 정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기 위
[더구루=김도담 기자]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전환 속도가 예상보다 더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기차 전환 선두군인 테슬라와 BYD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비영리단체 ICCT(국제청정교통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The Global Automaker Rating 2022’ 조사에서 현대차·기아차의 전기차 전환 역량은 글로벌 11위로 '전환진행 그룹'에 머물렀다. 현대차·기아의 평점은 38점으로 미국 포드, 중국 장성기차와 동률을 기록했다. 이는 이번 조사 1, 2위를 기록, '선도 그룹'에 선정된 테슬라(83점), BYD(73점)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평가다. 3~10위는 △BMW 56점 △폭스바겐 53점 △스텔란티스 50점 △지리자동차 48점 △르노자동차 47점 △메르세데스 벤츠 45점 △제너럴모터스 45점 △상하이자동차 44점 등이다. 이번 평가는 크게 △시장 지배력 △기술 성능 △전략상 비전 등 3개 항목 평점을 종합해 진행됐다. 현대차·기아는 기술 성능에서 58점을 받아 해당 항목 5위에 올랐다. 하지만 전략상 비전에서 20점에 불과해 20개 기업 가운데 17위에 그쳤다. 시장 지배력은 35점으로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 최대 검색기업 바이두가 내년 상반기 중 자율주행 레벨4에 이르는 로보카(Robocar) 콘셉트 모델을 처음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재확인했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기아의 중국 합작법인 '둥펑위에다기아'가 둥펑만 뗀 '위에다기아'로의 재편을 확정했다. 둥펑차가 최근 보유지분 25%를 매각하며 기아가 현지법인을 지분율 100%의 자회사로 재출범할 것이란 관측에서 벗어나 위에다그룹과 지분비율 50대 50은 유지하는 쪽으로 협의를 마쳤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장쑤위에다그룹(江苏悦达集团有限公司·이하 위에다그룹)은 지난 6월 설립한 자회사 위에다자동차를 통해 둥펑차가 내놓은 둥펑위에다기아 지분 25%를 인수했다. 위에다그룹은 이로써 또 다른 자회사 위에다투자 보유 지분 25%를 더해 총 50%의 지분을 확보하게 됐다. 50%의 지분을 보유한 기아와 50대 50의 지분비율을 유지하게 된 것이다. 둥펑차는 지난 11월19일 상하이증권거래소에 보유 중이던 둥펑위에다기아 지분 25%를 2억9700만위안(약 553억원)에 내놨다. 또 위에다차는 지난 12월16일 거래 종료 시점까지 유일한 입찰 참여자로서 지분 매입을 사실상 확정했다. 당초 업계는 둥펑 매각 지분 25%를 기아가 인수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현지에서도 기아가 지분 75% 확보를 통해 독자 경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봤고 관련 보도도 이어졌다. &l
[더구루=김도담 기자] 테슬라가 내년 출시 예정인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의 뒷좌석을 접을 수 있도록 한 디자인 특허를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운송 외 캠핑 등 다목적 활용 가능성을 고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 전기차 시장이 정부의 강력한 지원 아래 올 들어 3배 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대유행과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 차질도 이 성장세를 막지 못했다. 26일 중국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 집계에 따르면 올 1~11월 중국 신에너지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190.2% 늘어난 280만7000대로 집계됐다. 이 추세라면 올해 전기차 판매량 300만대도 무난히 넘어설 전망이다. 중국에서의 신에너지차는 순수 전기차(EV)와 전기 동력을 병용하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PHEV), 내연기관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일부 사용하는 하이브리드(HEV), 수소로 전기를 만드는 수소전기차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나 수소전기차의 경우 아직 그 시장이 크지 않다. 중국에서 판매된 승용차 중 신에너지차, 즉 사실상 전기차의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11월 신에너지차 비중은 15%에 이르렀으며, 특히 11월엔 19.9%에 이르렀다. 중국 내에서 현재 판매되는 승용차의 5분의 1은 전기차라는 것이다. 특히 중국 현지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11월 중국 현지기업의 신에너지차 판매비중은 무려 33.2%에 이르렀다.
[더구루=김도담 기자]테슬라가 전기트럭 '세미(Semi)'에 대한 추가 사전계약에 성공했다. 계속된 출시 지연 상황에서도 세미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크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에 짓고 있는 새 전기차 생산공장에서 차세대 '4680 배터리 셀' 양산용으로 추정되는 설비가 드론 카메라에 포착됐다. 테슬라의 예고 대로 곧 대량생산에 나설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미국 최대 자동차 회사 제네럴모터스(GM)가 산하 쉐보레 브랜드의 전기차 '볼트(Bolt)' 생산중단 시기를 내년 2월 말까지 연장했다. 잇따른 화재 원인을 명확히 분석한 후 생산을 재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기아가 둥펑차와 결별한 데 이어 위에다그룹과도 지분 매입 협상을 시작했다. 기아가 중국의 3개사 합작법인 둥펑위에다기아의 100% 자회사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 2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장쑤위에다투자(江苏悦达投资股份有限公司·이하 위에다)의 둥펑위에다기아 보유지분 25% 매입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업계는 양측이 내년 4월께 협상 결과를 공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협상 성사 땐 기아의 현지 합작법인 둥펑위에다기아는 기아의 100% 자회사가 된다. 지분 25%를 보유하고 있던 또 다른 합작 참여기업 둥펑차는 이미 지난달 말 전체 보유주식을 2억9700만위안(약 553억원)에 양도키로 확정했다. <본보 2021년 11월23일자 참조 "둥펑위에다기아 지분 25% 기아에 양도"…둥펑, 상하이거래소에 공시> 기아와 위에다의 지분 양도 협상도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기아가 이미 사실상 지분 75%를 보유해 독자경영이 가능한데다 투자회사인 위에다로서도 수익성이 격감하는 합작사에 경영권 없는 지분을 남겨둘 개연성도 크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2022년 9월11일이면 합작법인 설립 당시 계약 운영 기한인 20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배터리 내부 구조를 최적화해 제한된 공간에서도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설계 방식에 대한 특허를 확보했다. 상용화시 전기차용 파워팩과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서 배터리 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어 CATL의 차세대 배터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에어팟에 탑재될 'H3' 칩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새로운 H 칩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제품에 탑재될지를 두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