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폴란드 국방부가 현대로템과 K2전차 2차 수출 협상에 신중을 기하는 분위기입니다. 디펜스24와 폴스카 즈브로이나 등 외신에 따르면 파베우 베이다(Paweł Bejda) 폴란드 국방부 차관은 지난 2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K2PL 도입에 대해 "(계약 체결을) 서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성능 강화와 현지화로 1차 계약보다 높은 가격이 예상되므로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원하는 조건을 최대한 계약에 반영한다는 전략입니다. 계약 체결이 늦어져도 적기 인도에는 문제가 없다고 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폴란드 "현대로템 K2PL 계약 서두를 필요 없어"
[더구루=김은비 기자] 치안 문제로 중단됐던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가 재개에 들어갈 전망입니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켄이치 호리 미쓰이 앤 코(Mitsui & Co)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토탈에너지, 모잠비크 정부와 협력해 200억 달러(약 28조7200억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건설 재개 계획을 마무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불안했던 치안 리스크가 해소됐다는 판단에서입니다. LNG선 수주가 유력한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토탈·미쓰이,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 재개 임박…HD현대·삼성중공업 '6조' 잭팟 초읽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6개월 연속 월간 2만 대를 판매,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아 중국 합작사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有限公司, 이하 기아기차)에 따르면 지난달 2만4310대를 판매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33.4% 증가한 수치입니다. 6개월 연속 월간 2만 대 이상 판매를 달성했습니다. 현지 맞춤형 전략에 따른 판매 라인업 강화와 옌청공장 글로벌 수출 기지화를 토대로 입지를 키웠습니다. 연간 판매량도 4년 만에 20만대 선을 회복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중국 부활 ' 기아, 1~11월 中 22만4201대 판매…전년 대비 51.9%↑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크리스마스를 맞아 특별한 캠핑 이벤트를 열었다. 이 이벤트에서 현대차는 아이오닉 시리즈에 탑재된 V2L(Vehicle to Load)을 활용해 전력을 제공했다. 현대차 브랜드 가치인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한편, 자사의 첨단 V2L 기술력을 과시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유럽법인은 지난 3일(현지시간) 마드리드에 위치한 리야드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에서 '크리스마스 에코 캠핑'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는 스폰서십 파트너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선수들과 팬 8명이 참여했으며, 현대차는 아이오닉 5와 6에 탑재된 V2L 기술을 활용해 특별한 체험을 제공했다. V2L은 전기차 배터리 전력을 전자 제품에 공급하는 기술을 말한다. 가정에서 콘센트에 코드를 꽂아 전자제품을 이용하듯 야외에서도 전기차 내부 전력을 이용해 전자제품을 구동할 수 있다. 전기차만 있으면 전기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 어디에서나 난방용품이나 조명 기구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캠핑에서의 전력 공급은 필수적인 요소다. 현대차는 이번 행사에서 V2L 기능을 활용해 난방용품 및 조명, 전자기기 등 널리 전력을 공급하며 기술력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필리핀 경찰과 복지당국에 다목적 미니밴(MPV) 스타게이저와 경형 트럭 H-100(국내명 포터)을 기부했다. 지역 사회와 상생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다하기 위한 행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필리핀법인(HMPH)은 최근 필리핀 국가 경찰(PNP)에 스타게이저 5대를 전달했다. 이번 기부는 필리핀 경찰의 치안 강화와 행정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됐다. HMPH와 PNP의 협력은 이번이 두 번째다. 현대차는 차량 기부와 더불어 2년 무상 유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경찰차의 전반적인 도로 주행 안전성을 보장하고, 애프터서비스(AS)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현대차는 필리핀 사회복지개발부(DSWD)에도 H-100 트럭 2대를 기부했다. 이 차량들은 비상 물품과 서비스를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대차의 이러한 활동은 필리핀 공공서비스와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지난 2020년에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의료진 수송을 지원하는 H-100 개조 차량을 기부하는 등 지속적으로 CSR 활동을 펼쳐왔다. 손지호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무벡스가 대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주주환원 정책에 시동을 걸었다. 현대무벡스는 9일 임시이사회에서 25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을 의결했다. 매입한 자사주는 전량 소각할 예정이며, 이를 계기로 주주가치 제고를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취득 예정 주식 수는 지난 6일 종가 2820원 기준으로 추산할 때 총 886만5248주로, 전체 주식 수의 약 7.5%에 해당한다. 향후 6개월간 보통주를 장내 매수할 계획이며, 한국투자증권이 위탁 업무를 수행한다. 현대무벡스가 자사주 소각을 추진하는 것은 2021년 상장 후 처음이다. 유통 주식 수를 줄여 주주지분 가치를 높이기 위한 포석인 동시에 강력한 주주환원 기조와 ‘밸류업’(기업가치제고)에 대한 의지가 반영된 행보다. 또한, 최근 호실적과 더불어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 기조를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다. 현대무벡스는 5분기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가며, 올해 가파른 실적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217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3억원으로 큰 폭의 흑자를 이뤄냈다. 지난해부터 급증한 수주 성과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멕시코에서 지난달 월간판매량 최고치를 기록했다. 멕시코 진출 9년만에 ‘월 1만 시대’를 열면서 현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9일 멕시코 통계청(INEGI)에 따르면 기아 멕시코법인은 지난달 현지 자동차 시장에서 1만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4.7% 수직 상승한 수치다. 점유율은 6.7%를 기록했다. 지난달 월간 판매량 순위는 '6위'를 기록했다. 1위는 2만5893대를 판매한 닛산이 차지했다. 이어 △제네럴모터스(GM)가 1만8224대 △폭스바겐 1만4108대 △마쯔다 1만3684대 △토요타 1만1935대 순으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의 이같은 성과는 다양한 신차 라인업 출시 전략 덕분이다. 올해 기아는 K3 해치백 모델 출시를 시작으로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리뉴얼된 쏘렌토 △쏘넷 △텔루라이드 △K4 등을 연달아 내놓으며 소비자 선택 폭을 넓혔다. 특히 지난달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은 K3로, 총 5139대를 판매했다. 이는 출시 이후 최고 판매 기록이다. 이어 △셀토스(1554대)와 △쏘넷(1146대) △K4(1131대)도 실적을 견인했다. 기아는 올들어 11월까지 누적 판매량 9만4883대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튀르키예에서 현지 대학과 협력해 스마트폰 생산 공정 기술 개발에 나섰다. 삼성전자의 기술 교육 역량을 제공하는 한편 인공지능(AI) 오류 검증 시스템을 통한 품질 개선에 나서,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한다. 9일 트라키아 대학교에 따르면 삼성전자 튀르키예 법인은 최근 트라키아 대학교와 스마트폰 생산 공정 내 품질 개선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오는 2026년까지 이어진다. AI 기반 모바일 오류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이 시스템은 AI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이나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사람의 육안 대신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고도로 정확하고 빠른 오류 감지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 내에서 오류를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보완해,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한편 산업 안전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이번 트라키아 대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생산 기술 개발과 CSR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복안이다. 먼저 현지 학생들과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게 되면, 이를 튀르키예 스마트폰 공장에 테스트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산 스크린도어가 호주 현지에서 성능, 신뢰성, 안정성 모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수행하는 현대그룹의 스마트 물류 계열사 현대무벡스의 글로벌 진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NSW)주는 지난달 사우스웨스트 지하철 현대화 공사 현황을 전하며, 한국산 스크린도어와 기계식 안전발판 설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9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NSW)주에 따르면 사우스웨스트 노선 10개 역에 설치할 360개 스크린도어 중 이날까지 뱅크스타운 등 5개 역에 160개를 설치했다. NSW주 당국은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식 안전발판(Mechanical Gap Fillers) 또한 총 170개 중 105개를 구축, 벨모어·펀치볼·라켐바 등의 역사에서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계식 안전발판은 호주에 최초로 도입되는 지하철 안전 설비로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현대무벡스가 호주 NSW주 사우스웨스트 노선 스크린도어 구축 사업을 수행하면서 해외 이목도 집중되고 있다. 현대무벡스는 2022년 12월에 시드니메트로로부터 이 사업을 수주했다. 당시 약 3년에 걸친 어려운 입찰 과정을 모두 통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웨어러블 로봇 기업 사이버다인(Cyberdyne)이 말레이시아 사회보장기구(PERKESO)에 웨어러블 로봇을 공급한다. 재활 의료 시장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사이버다인은 글로벌 시장에서 각광받으며 잇딴 ’러브콜‘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사이버다인에 따르면 이 회사는 PERKESO에 웨어러블 로봇 ‘HAL(Hybrid Assistive Limb)’ 65대를 렌탈 방식으로 납품한다. 이는 5년 계약으로 맺어졌으며 계약 금액은 약 7억엔(약 66억원)이다. HAL은 뇌가 신체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미세한 생체 전위 신호를 감지해 동작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이다. 피부에 부착한 센서가 생체 신호를 감지하면 내장된 컴퓨팅 시스템이 이를 분석해 환자가 움직이는 것을 도와준다. HAL의 무게는 약 3kg으로, 하반신 및 팔과 다리 관절, 허리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제공된다. 201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의료기기 승인을 받은 HAL 시리즈는 일본 후생노동성이 의료보험 지원 대상에 포함된 바 있다. 이번 계약은 말레이시아 정부 주요 관계자가 지난 5월 이바라키현 츠쿠바시에 위치한 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두산밥캣이 벨기에 신트니클라스(Sint-Niklaas)에 위치한 사무소의 리노베이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업무 환경으로 탈바꿈하며 현지 및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각오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법인은 벨기에 신트니클라스 사무소의 리노베이션을 완료했다. 이 사무소는 유럽 전역 지게차와 창고 장비, 예비 부품의 유통 및 지원을 담당하는 핵심 거점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약 200만 유로(약 28억 원)가 투자됐으며 이를 통해 최신식 설비를 갖추고 두산밥캣만의 스타일을 반영한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이 사무소는 약 60명이 근무하는 2층 규모로, 이번 리노베이션을 통해 오픈 오피스 형태로 재구성, 협업 환경을 강화했다. 또한 재택근무 증가 추세를 반영해 유연한 사무 공간과 다양한 회의 공간을 추가로 마련했다. 작업장도 새단장했다. 오버헤드 크레인과 리프팅 브릿지를 새로 설치해 한국 공장에서 제조된 기계를 유럽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개조하고 사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히 유럽 사무소 공통으로 적용되는 두산밥캣 스타일로의 리모델링을 통해 자사 브랜딩도 강
[더구루=김은비 기자] 두바이 '억만장자' 후세인 사즈와니(Hussain Sajwani)가 이끄는 다막그룹(Damac Group)이 동남아시아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약 30억 달러를 투자한다. 동남아시아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이를 집중 공략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다막그룹 계열사 에지넥스 데이터 센터(Edgnex Data Centers, 이하 에지넥스)는 30억달러(4조2570억원)를 투자, 첨단 디지털 인프라를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및 태국으로 확장한다. 에지넥스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와 담맘에 두 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에지넥스는 동남아시아에 AI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성능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막그룹 투자 및 합병을 담당하는 대니시 나야르(Danish Nayar) 수석 부사장은 "주로 두바이에서 부동산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다막그룹은 기술 및 패션 등의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며 “에지넥스는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약 50억~70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했으며, 동남아시아에 대한 투자는 이같은 사업 계획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데이터센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반덤핑위원회(Anti-Dumping Commission, ADC)가 중국산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을 포함한 대호주 철강 수출 기업들의 전략 계획에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호주 반덤핑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직경 50mm 이하 중국산 열간압연 변형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기존 오는 10월 7일에서 2026년 2월 9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장은 자료 검증 지연과 추가 정보 분석 필요에 따른 것이다. 추가 절차를 거쳐 핵심 사실 진술서(SEF)는 오는 12월 10일까지 공개된다. 공개 후 이해관계자는 20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며, 최종 보고서는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장관에게 제출된다. 위원회는 호주 철강업체 '인프라빌드(InfraBuild)'의 신청을 계기로 지난 5월 5일 기존 반덤핑 조치에 대한 일몰재심을 개시했다. 인프라빌드는 호주 최대 철강 생산·유통 업체로, 건설용과 산업용 철근을 주로 공급한다. 이번 조사는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가 중국만리장성산업공사(CGWIC)와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영공 수호를 위해 글로벌 방산 기업들에게게 손을 내밀고 있다. 입찰이 시작되면 LIG넥스원과 CGWIC의 양강 구도가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디펜스 시큐리티 아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다툭 록만 하킴 알리(Datuk Lokman Hakim Ali) 사무차관은 지난 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푸지헝(Fu Zhiheng) 회장을 비롯한 CGWIC 경영진과 만났다.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HQ-16(红旗-16·수출형 LY-08)'의 공급과 기술 이전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면담 자리에는 말레이시아 컨설팅 회사인 IDC 테크놀로지스(IDC Technologies Sdn Bhd) 임원도 참석해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검토했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많이 국방에 투자하는 국가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되며 2000년대 이후 군비 지출을 늘렸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전년 대비 약 10.5% 증가한 42억 달러(약 5조8200억원)를 국방 예산으로 책정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