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지난달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일궜다. 전통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토레스를 앞세워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토레스 EVX 가세로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나선 만큼 향후 판매량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10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지난달 독일 시장에서 총 19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5.1%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0.1%, 브랜드별 월간 판매 순위는 37위를 기록했다. 이번 월간 판매량 조사 목록에 이름을 올린 브랜드는 KG모빌리티 포함 61개였다. 지난달 독일 자동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3% 감소한 23만6425대였다. 올해 들어 누적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17만4312대로 나타났다. KG모빌리티의 경우 올들어 5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7.7% 확대된 922대, 점유율은 0.1%인 것으로 집계됐다. KG모빌리티는 브랜드 정통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토레스 앞세워 현지 운전자들의 남심을 저격하고 있다. 지난 2022년 7월 출시된 토레스는 KG모빌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에서 미국 포드를 338대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월간 판매 순위 8위를 기록했다. 올해 누적 판매량 기준에서는 1635대 뒤처진 상태이지만, 현재 추세라면 3분기께에는 역전이 가능할 전망이다. 기아의 경우 '톱10' 진입까지 1계단을 남기고 있는 상황에서 같은 기간 두 자릿수에 가까운 약진을 나타내며 10위 토요타를 맹추격하고 있다. 10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독일 자동차 시장에서 총 1만3920대를 판매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13.0% 하락한 8129대, 기아는 전년 대비 13.4% 감소한 5791대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3.4%와 2.4%, 브랜드별 월간 판매 순위는 8위와 12위로 집계됐다. 지난달 독일 자동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3% 감소한 23만6425대였다. 올해 들어 누적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17만4312대로 나타났다. 1위는 폭스바겐이 차지했다. 같은 달 총 4만7636대를 판매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1만9832대로 2위, BMW는 1만8568대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아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랜드 전용 전기차를 앞세워 캐나다 전기차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지난달 역대 최다 월간 판매를 기록한 데 이어 이르면 이달 중 지난해 기록한 연간 판매 신기록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9일 기아 캐나다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캐나다 전기차 시장에서 총 1899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255% 수직성장한 수치이며, 역대 최고 월간 판매 기록이다. 판매 라인업 중에선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EV6가 같은 달 887대 판매를 나타내며 실적을 견인했다. EV9은 515대로 뒤를 이었다. 소형 전기 SUV 모델 니로EV는 497대가 판매됐다. 전기차 매출이 크게 상승한 지역은 퀘벡과 뉴브런즈윅, 앨버타, 브리티시 컬럼비아, 온타리오, 순이었다. 각각 전월 대비 352%와 283%, 130%, 117%, 113% 세 자릿수 상승했다. 이들 지역은 같은 달 기아 전기차 전체 판매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전기차에 호의적이었다. 이르면 이달 중 지난해 세운 연간 판매 신기록도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 들어 누적 전기차 판매량은 6138대로 이미 지난해 연간 판매량의 78%를 채웠다. 앞서 기아는 지난해 캐나다 전기차 시
[더구루=윤진웅 기자] 케냐 유명 여배우가 새로 구매한 자동차 애칭을 '기아'로 부여해 눈길을 끌었다. 구체적인 모델명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해당 차종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케냐 유명 여배우 포이 왓부이(Foi Wambui)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인생 첫 차를 구매했다고 알렸다. 과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일궈낸 자신의 인생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성장과 성공을 나타낸다는 게 왓부이의 설명이다. 왓부이는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다재다능한 연기를 펼치며 케나 영화 산업에서 영향력을 쌓은 인물이다. 지난 2020년 칼라샤 어워드(Kalasha Awards)에서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칼라샤 영화 & TV 어워드(Kalasha Film & TV Awards)는 케냐 TV 및 영화 산업에서 성취한 업적을 인정하고 축하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냐 영화 위원회(Kenya Film Commission)가 매년 수여하는 상이다. 왓부이가 새 차에 부여한 애칭은 '기아'(Kia)이다. 따로 모델명을 언급하지 않은 채 애칭만 공개해 궁금증을 키웠고, 일시적으로 이 차 애칭과 동일한 브랜드명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고성능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코나 일렉트릭 N 라인'이 호주 시장에 출격했다. 현대차는 현지 인기 모델인 코나 전동화 모델을 다양화해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호주 시장에 2025년형 코나 일렉트릭 N라인을 출시했다. N브랜드 현지 인기를 이어가기 위해 라인업을 확대한 것. 실제 지난 2023년 현지 판매 모델 3분의 1가량이 N브랜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은 드라이빙 본연의 재미를 일상에 전달하겠다는 목표로 탄생했다. N브랜드는 고성능 N과 준고성능 N라인 두 가지로 나뉜다. 'N 라인'은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를 일컫는 'N'과 일반 차종 사이의 중간 단계에 있는 모델에 붙는 명칭이다. 'N 라인'이 붙은 모델의 디자인과 부품은 고성능차와 유사하게 변형돼 적용된다. 코나 일렉트릭 N라인은 코나의 전동화 모델인 코나 일렉트릭을 고성능 형태로 개량한 모델이다. '코나 일렉트릭'에 없는 19인치 전용 휠과 금속 페달, 빨간색 줄이 들어간 시트 등이 탑재된다. 현대차는 지속해서 호주 시장에 고성능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일본 판매가 제자리에 선 채 옆으로 움직이는 '게걸음'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다만 로컬 완성차 브랜드의 전기차 판매가 사실상 '제로'(0)이라는 점에서 향후 존재감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7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일본 시장에서 총 2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39대)과 비교하면 절반 가량 축소된 수치다. 전체 점유율 0.1% 수준이며, 전기차 점유율 1% 안팎이다. 다만 올들어 5월 까지 누적 판매량은 317대로 전년 동기 대비(199대) 160% 증가했다. 현대차와 현지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중국 비야디(比亞迪·BYD)는 같은 달 총 101대를 판매했다. 현대차와 비교해 4배 더 많이 팔았다. 올해 들어 누적 판매량은 현대차 보다 618대 많은 935대를 기록했다. 소형 전기 SUV 모델 '아토3'(ATTO3)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1회 충전 주행거리 480km의 성능을 갖춘 아토3 현지 판매 가격은 440만엔(한화 약 4418만 원)으로 동급 일본 브랜드 전기차와 비교해 100만엔(약 1004만 원)가량 저렴하다. 다만 현대차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유럽 생산기지인 슬로바키아 질리나 공장 누적 생산량이 지난 4일(현지시간) 500만대를 돌파했다. 지난 2006년 가동을 시작한 뒤 17년 만에 성과다. 500만번째 생산 모델은 유럽 SUV 시장에서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지난 2004년 10억 유로(1조 3600억원)를 투자한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건설을 시작한 질리나 공장은 완성차 조립뿐만 아니라 주행 테스트 시설까지 갖춘 첨단 시설이다. 질리나 공장에서는 유럽 전용 모델인 씨드(Ceed) 시리즈와 스포티지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 2012년 누적 생산량 100만대 돌파 이후 매 3년마다 100만대를 추가해 왔다. 현재는 7.5km에 이르는 생산 라인에서 8개 모델 이 혼류 생산되고 있다. 질리나 공장 연간 차량 생산량은 35만 대 이며, 연간 엔진 생산량은 54만 개이다. 엔진의 경우 지난 2006년부터 총 700만 개 이상 생산됐다. 기아는 질리나 공장을 토대로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나설 계획이다. 내년까지 질리나 공장 일부 생산 라인을 전기차 라인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른바 '프랑스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불리는 전기차 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유럽 친환경차 시장에서 점유율 기준 7위를 달리고 있다. 8%대 점유율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톱5' 진입을 위해서는 두 자릿수까지 점유율을 끌여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반기 신형 전기차 모델 출시를 토대로 현지 수요 확보에 드라이브를 거는 만큼 향후 점유율 상승을 기대해볼만 하다는 평가이다. 6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점유율 기준 유럽 플러그인(BEV+PHEV) 시장에서 7위를 달리고 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4개월간 약 7만5000여 대를 판매, 시장 점유율 8.2%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유럽 플러그인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92만3171대로 집계됐다.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로 나타났다. BEV는 약 59만 대, PHEV는 약 33만 대로 추정된다. 1위는 폭스바겐그룹이 차지했다. 같은 기간 시장 점유율 20.2%를 기록했다. 스텔란티스는 13.2%로 2위, 테슬라는 10.8%로 3위에 올랐다. 이어 BMW와 지리가 각각 10.8%와 10.4%로 4위와 5위에 랭크됐다. 6위와 7위 자리에는 볼보(10.4%)와 메르세데스-벤츠(9.9%)가 이름을 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 내 리더십이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SAIC 등 중국 브랜드는 약진했다. 6일 미국 비영리기관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의 '2023년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순위: 전동화 전환 리더는?'(The Global Automaker Rating 2023: Who Is Leading The Transition To Electric Vehicles?)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전동화 전환 지수는 100점 만점에 34점으로 조사 대상(21개 브랜드) 가운데 공동 1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공동 11위(38점)에서 2단계 하락했다. ICCT는 지난 2015년 독일 폭스바겐그룹의 배출가스 조작사건인 ‘디젤게이트’를 폭로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곳이다. ICCT가 발표한 이 보고서는 완성차 기업별 단순 전기차 시장 점유율 뿐만 아니라 전동화 기술 확보와 투자, 리싸이클링 계획, 전략적 비전 등을 토대로 이뤄졌다. 한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과 중국, 인도, 일본, 미국 등 6개 시장에 관한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한다. 현대차·기아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생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단종 모델 쉐보레 볼트EV의 부활을 예고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추세와 중국 브랜드의 저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동일 세그먼트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선보이고, 전기차 대중화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GM은 오는 2026년 쉐보레 볼트를 재출시할 계획이다. 단종 결정 약 3년 만이다. 중국 브랜드에 대응하기 위해 동일 세그먼트 중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선보이겠다는 설명이다. 앞서 GM은 지난해 이전 세대 볼트 EV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마리사 웨스트(Marissa West) GM 북미 책임자는 "얼티엄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존 모델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볼트EV를 선보이게 될 것"이라며 "1회 충전 주행 거리 등 성능은 물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 적용된다"고 예고했다. 신형 볼트EV는 3만 달러 미만으로 출시가 유력하다. 단종된 볼트 EUV의 시작 가격이 2만7800달러이고, 이쿼녹스 EV의 가격이 3만4995달러라는 점을 고려한 예상 가격이다. 현재 시중에서 가장 저렴한 차량은 닛산 리프(2만8040달러)와 미니 쿠퍼EV(3만900달러)이다. 리프의 경우 2026년 전 단종이 유력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주지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 기아 멕시코 신규 전기차 공장 설립을 예고했다. 기아가 이미 한차례 공식 부인한 내용을 재차 발표하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주정부에 따르면 기아는 멕시코에서 전용 전기차 모델 EV6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1일 사무엘 알레한드로 가르시아 세풀베다(Samuel Alejandro García Sepúlveda) 누에보레온 주지사가 본인의 SNS 공식 계정을 통해 직접 밝힌 내용이다. 가르시아 주지사는 EV6 GT를 제공해 준 기아 현지 법인에 감사 인사를 전하면서 "EV6는 기아 페스케리아 공장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르시아 주지사가 기아 전기차 현지 생산을 예고한 것은 이번이 벌써 두 번째이다. 지난해 5월에도 SNS를 통해 기아가 10억 달러(한화 약 1조3400억 원) 추가 투자를 통해 전기차 모델 전용 생산 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공언한 바 있다. 당시 가르시아 주지사의 이 같은 발표는 누에보레온주 대표단이 한국에서 기아 임원진과 투자 유치 방안에 대해 논의한 직후 공개됐다는 점에서 기정사실로 여겨졌지만, 다음달 기아가 해당 발표
[더구루=윤진웅 기자] 이탈리아 이베코가 브랜드 전동화 5개년 계획에 따라 유럽과 남미 시장에 순수 전기 경상용차(LCV·Light Commercial Vehicle)를 공급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파트너십에 이어 중국 트럭 시장 1위 업체와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경상용차 라인업 확대를 통해 시장 내 입지를 키우겠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이베코는 전날 포톤과 LCV 부문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유럽과 남미 전기 상용차 시장 공략을 위한 협력과 공동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뜻을 모았다. 포톤은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BAIC) 산하 상용차 업체이다. 중국 트럭 시장 1위 점유율을 자랑한다. 순수 전기차(BEV)와 하이브리드(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 신에너지차량(ZEV) 관련 전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양사는 LCV 판매 라인업 GVW(자동차 총중량) 범위를 2.5톤부터 7.2톤까지 확장하고, GVW 3.5톤 이하 모델에 대해서는 섀시 캡과 패널 밴까지 100% 전동화를 이루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GVW 3.5 이하 모델 섀시 캡은 현대차가 맡는다. 이베코는 이번 포톤과의 MOU에 앞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